코인 투자에서 ‘실사용 가치’로…코넛코인, 산업 활용 본격화 암호화폐 교육·콘텐츠·실물상품까지…단계별 협력 로드맵 가동 블록체인 기업 대체불가능회사와 의료인 연합체 서울다나운네트워크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암호화폐 ‘코넛코인(CONUT)’을 중심으로 한 실생활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이번 협약은 암호화폐의 실사용 사례를 의료 분야로 확장하려는 시도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양측은 협약을 통해 △코넛코인의 전략적 비축 및 배당 지급 △코넛 캐릭터 IP 기반 사업 협력 △코넛코인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생산·판매 △의료 서비스 접근성 개선 등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단순한 기술 제휴를 넘어, 블록체인 기술을 실생활 서비스와 연결하는 실질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대체불가능회사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코넛 뉴스레터’와 ‘퀴즈앱 코퀴즈(COQUIZ)’를 운영 중이다. 2025년 6월에는 자사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해 자체 암호화폐 ‘코넛코인’을 발행했으며, 이용자들은 퀴즈를 풀고 보상으로 코인을 받을 수 있다. 코넛코인은 단순한 투자 자산이 아닌, 콘텐츠 참여형 보상 구조를
서울TP·한국공학대, ‘AI·DX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AI 시대 스마트제조 실무자를 위한 현장 중심 실습형 강의 서울테크노파크(서울TP)와 한국공학대학교 미래인재개발센터가 오는 11월 6일부터 7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2025)’ 기간 중 스마트제조 분야 실무자를 위한 ‘AI·DX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의 기술 실무자와 관리자에게 인공지능 전환(AX)과 디지털 전환(DX) 실무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전문 교육으로 구성됐다. 첫째 날은 ‘AI 기반 제조혁신’을 주제로 스마트공장의 구조부터 AI 적용 사례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심화 교육이 진행된다. 강연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DX 멘토단 윤일철 전문위원이 맡으며, △스마트공장 기술 운영 동향 △자율제조 구현 전략 △제조 AI 적용 사례 △업무별 AI 활용 전략 △사업 추진 자료 작성 방법 등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둘째 날은 AI 솔루션 전문기업 이미지데이의 이찬우 대표가 강연자로 나서 ‘ChatGPT와 AI를 활용한 디지털 전환(DX)’ 실무 교육을 진행한다. 이
RAPA 인재 육성, 보안 분야로 확장…12월 22일부터 6개월 동안 진행 실전형 보안 전문가 육성...글로벌 자격증·취업 연계로 이어지는 기회 한국전파진흥협회(RAPA)가 사이버보안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시스코 보안 아카데미 4기’ 교육생 모집에 나섰다. 이번 과정은 글로벌 IT 기업 시스코와 국내 ICT 특성화 대학이 협력해, 실무 중심의 보안 전문가를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시스코는 최근 스플렁크(Splunk) 인수를 통해 AI 기반 보안 역량을 대폭 강화한 글로벌 리더다. 이번 4기 과정에서도 시스코코리아와 주요 파트너사의 엔지니어들이 직접 교육에 참여해, 현장감 있는 실습과 실제 산업 환경에 맞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RAPA는 이미 카카오, 현대로템, AWS, 네오위즈 등과 함께 K-디지털트레이닝 ‘디지털선도기업아카데미’를 운영해오며 디지털 인재 양성의 허브 역할을 해왔다. 이번 프로그램 역시 그 연장선상에서, 차세대 보안 인재를 산업 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교육은 ICT폴리텍대학(경기도 광주시)에서 오는 12월 22일부터 내년 6월 23일까지 총 6개월 동안 진행된다. 커리큘럼은 네트워크 기초부터 물리·사이버보안까지 포괄
ISO Class 3~4 인증으로 초청정 제조 공정 대응 내구성·청정도 모두 잡은 자동화 솔루션 한국이구스가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공정을 위한 ‘드라이 클린룸 인증 솔루션’을 선보이며 청정 자동화 분야 공략을 본격화했다. 이 솔루션은 독일 Fraunhofer IPA 등 전문 기관으로부터 ISO Class 3~4 수준의 드라이 클린룸 인증을 획득, 습도 1% 이하·이슬점 –40℃의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입증했다. 또 최대 1,500만 회의 반복 스트로크 시험을 통과하며 내구성까지 확보했다. 이구스가 새롭게 선보인 드라이 클린룸 솔루션은 배터리 제조 라인의 까다로운 요건을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e-skin 및 e-skin flat 에너지 체인과 케이블 가이드는 정전기 방전(ESD)과 내분진 구조로 구성돼 고빈도 스트로크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직동 가이드(drylin®)는 무급유·PTFE-Free 구조를 채택해 윤활 없이도 정밀한 포지셔닝을 지원한다. 선회 베어링과 플레인 베어링은 경량성과 내마모성을 갖추고 있으며, 로봇 및 협동로봇용 솔루션은 배터리 셀 핸들링 및 자동화 공정에 최적화되어 있다. 여기에 스톡 바와 특수 제작품을 통한 모듈화 설계
요꼬가와, ‘Lunar Cruiser’ 기술 고도화 주도 2030년대 달 탐사 시대 대비 우주 사업 본격 확대 요꼬가와가 토요타자동차와 손잡고 일본의 첫 유인 달 탐사 로버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이번 협력은 토요타와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공동 추진 중인 ‘Lunar Cruiser’의 계측·제어 장비 개발 계약 체결로 공식화됐다. 유인 가압 로버는 일본이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첫 유인 우주 시스템으로, 향후 달 표면 탐사의 범위를 비약적으로 넓힐 핵심 기술로 평가받는다. 단순한 탐사차를 넘어, 장기간의 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가압된 실내 공간과 자율운행·원격조종 기능을 갖춰 인류의 지속 가능한 달 탐사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요꼬가와는 이번 계약을 통해 프로토타입 개발의 설계 및 주요 부품 조달을 담당한다. 특히 로버의 제어 플랫폼과 배터리 측정 시스템에 대한 개념 연구를 토요타와 공동으로 진행하며, 오는 2031년 또는 그 이후 예정된 발사 일정에 맞춰 기술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수십 년간 정밀 계측과 제어 시스템 분야에서 쌓아온 노하우는 요꼬가와가 우주 산업에 진입할 수 있는 기반이 됐다. 회사는 이미 극지방, 심해 등
4개 지점 동시 제어·70bar 압력으로 유연한 설비 대응 실현 ‘옵타임 앱’ 연동으로 예지 진단·데이터 기반 관리 가능 글로벌 모션 테크놀로지 기업 셰플러코리아가 윤활 지점과 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 윤활 시스템 ‘FAG 옵타임 C4(FAG OPTIME C4)’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설비 운영의 효율성과 유지보수 자동화를 강화하며, 셰플러의 ‘라이프타임 솔루션(Schaeffler Lifetime Solution)’ 포트폴리오를 한층 확장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FAG 옵타임 C4는 설비 내 각 윤활 지점을 상시 모니터링해 최적의 타이밍에 윤활유를 자동 공급함으로써, 베어링의 조기 고장이나 예기치 못한 가동 중단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복잡한 설비 윤활 과정을 단순화하고,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장치로 최대 4개의 윤활 지점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각 지점의 공급량과 주기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내부 구조가 복잡하거나 설치 공간이 협소한 설비에도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다. 이는 광업, 중공업, 발전소 등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산업 자동화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고성능 HMI(Human Machine Interface) 신제품 ‘Advanced 그래픽 패널 iTP 시리즈’를 공식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생산 현장의 모니터링과 제어 효율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으로, 오토닉스의 소프트웨어 역량과 하드웨어 기술이 결합된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iTP 시리즈는 오토닉스의 원격 감시·제어 소프트웨어 ‘SCADAMaster’의 런타임을 직접 구동할 수 있는 고성능 HMI다. 이를 통해 대규모 생산라인에서도 실시간 운영 제어가 가능하며, 현장 데이터의 시각화와 통합 관리 기능을 강화했다. 특히 PC용 프로젝트와 HMI용 프로젝트 간 변환이 손쉬운 동일 작화 소프트웨어를 적용해 개발 효율을 높였고, 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수천 개의 SVG 이미지 라이브러리를 제공해 사용자 친화적 그래픽 설계가 가능하다. 하드웨어 사양 역시 업계 최고 수준이다. 쿼드코어 CPU와 4GB 메모리를 탑재해 빠르고 안정적인 시스템 구동이 가능하며, 8.4인치부터 15인치까지 다양한 디스플레이 라인업을 갖췄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없는 게이트웨이 모델도 제공돼, 별도의 서버 없이 장비 간 데이터를 실시간 중계할
한중 문화·상업·관광 교류 새로운 교두보 구축 김승현 대표 “지속가능한 협력 모델 만들 것” 지난 10일 중국 산둥성 린이 국제 엑스포 센터에서 열린 ‘한중 상업·문화·관광 교류 협력회’에서 하얀뿔미디어 김승현 대표가 린이시 상업·문화·관광 홍보대사로 공식 위촉됐다. 이번 회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제3회 린의상성 국제바이어대회의 주요 행사로, 양국 간 경제·무역·문화·관광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중국과 한국의 주요 기관 및 기업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한국 측에서는 칭다오 주재 한국 총영사관의 장허추 경제영사와 실무 담당관 웬채영이 직접 린이를 방문해 의미를 더했으며, 중국 측에서는 린이시정협 고스성 부주석(린이시 문화관광국 국장), 장이강 린이시문련 부주석, 리해민 린이시상무국 부주임 등 지방정부 핵심 관계자들이 함께했다. 또한 린이시 문화관광국과 쇼핑몰 관리기관, 지역 상인단체 및 양국 문화관광 기업, 여행사, 바이어 등 다양한 산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양국의 실질적 교류 의지를 확인했다.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김승현 대표의 홍보대사 임명식이었다. 김 대표는 린이시의 상업 및 문화관광 진흥을 이끌 민간
API 보안 및 관리 전문기업 위베어소프트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운영하는 ‘2025 창업도약패키지(딥테크 분야)’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번 협약 체결로 위베어소프트는 정부의 기술 성장 지원을 기반으로 AI·데이터 인프라 고도화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창업도약패키지’는 기술 중심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정부 프로그램으로, 특히 ‘딥테크 분야’는 고난도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의 사업화 및 시장 진출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선정은 위베어소프트의 기술 경쟁력과 시장 확장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된다. 위베어소프트는 독자 개발한 고성능 API 관리 솔루션 ‘OSORI APIM’을 핵심으로, 공공 및 민간 부문의 데이터 자산을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하는 기술력을 갖춘 기업이다. ‘OSORI APIM’은 기업이 자사 데이터를 안전하게 API화하고, 외부 시스템과 유연하게 연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근 AI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 속에서 API 관리 기술은 AI 모델 학습과 서비스 구현의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으며, 위베어소프트는 이 분야에서 국내 대표 기술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운타임 최소화로 데이터센터에 안정적 전력 공급 가능한 솔루션 공동 개발 상업·산업용 빌딩시장 겨냥 모듈형 BESS 공동 개발 … 북미 브랜드 입지 강화 LS일렉트릭이 글로벌 산업 자동화 기업 하니웰과 손잡고 북미 데이터센터 전력 관리 시장 공략에 나선다. 양사는 전력 인프라와 AI 제어 기술을 융합해 차세대 전력 관리 솔루션 및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BESS)를 공동 개발, 급성장 중인 글로벌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LS일렉트릭은 지난 8일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데이터센터월드 아시아(Data Centre World Asia)’ 현장에서 하니웰과 ‘전력 관리·분배 및 BESS 공동 개발을 위한 전략적 협력 협약(Strategic Partnership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김종우 LS일렉트릭 사장과 빌랄 하무드 하니웰 빌딩자동화 부문 사장을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LS일렉트릭의 전력 인프라 및 BESS 솔루션과 하니웰의 빌딩 자동화·제어 플랫폼 역량을 결합, 데이터센터와 상업·산업용 빌딩(C&I)을 위한 통합 전력 관리 시스템을 공동
위블록, RWA 모델…블록체인으로 실물자산 유동성 혁신 예고 한국 부동산 토큰화 현실화…위블록, 4대 원칙으로 신뢰 강화 블록체인 기반 실물자산 토큰화(RWA) 전문 핀테크 기업 위블록(WeBlock)이 싱가포르에서 열린 글로벌 블록체인 컨퍼런스 ‘TOKEN2049’에서 한국형 RWA 모델을 제시하며 글로벌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이더리움의 비탈릭 부테린과 아발란체의 에민 귄 시러 등 블록체인 거물들이 대거 참석한 자리로, 위블록은 한국 주거 자산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토큰화 모델을 통해 새로운 유동성 비전을 제시했다. 위블록은 “미국 국채가 금융공학적 무위험 수익률의 기준이라면, 실거주 수요에 기반한 한국의 ‘아파트’는 실질적 안정성의 기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주거 자산이 가진 지속적 수요·입지 경쟁력·보수적 금융규율·예측 가능한 현금 흐름이 토큰화 이후 2차 시장의 유동성을 견인할 핵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위블록이 제안한 한국형 RWA 표준은 네 가지 축으로 요약된다. 첫째, 표준화된 법·세무 구조로 SPC(특수목적법인) 보유, 권리관계 명확화, 이해상충 방지 등을 포함한다. 둘째, 데이터 투명성 확보로 월·분기
감사원이 드러낸 9가지 병폐 … 산업단지의 두 얼굴 공공성 잃은 제도, 기업 경쟁력·근로자 삶 모두 위협 산업단지는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 경제의 도약을 이끈 핵심 성장 엔진이었다. 1960년대 수출지향형 산업화 전략의 상징으로 시작된 산업단지는 제조업 집적 효과와 고용 창출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높여왔다. 그러나 최근 감사원이 실시한 대규모 감사 결과는 그 이면에 감춰져 있던 구조적 부실과 제도적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지정 지연, 펀드 남용, 불법 행위 방치, 편법 분양 등 9건의 주요 사안은 단순한 행정 미비를 넘어 산업단지 제도 전반에 대한 근본적 신뢰를 흔들고 있다. 이번 감사 결과는 산업단지가 더 이상 과거의 영광에만 기댈 수 없음을 보여준다. 낡은 제도와 허술한 관리, 책임 회피 문화가 복합적으로 얽히면서 산업단지는 국가 성장의 심장이 아니라 관리 부실의 온상으로 변질되고 있다. 기업은 불합리한 규제로 투자 타이밍을 놓치고, 근로자는 주거·편의 인프라 부족으로 삶의 질이 추락한다. 전문가들은 “제도 본래의 철학, 즉 기업 활동 지원과 국가 성장 견인이라는 목표가 현장에서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번 기획 특집에서는 감사원이 지적한
보안기능 확인서 발급으로 공공 조달 및 글로벌 시장 확대 기대 사이버 위협 고도화 대응, 디지털 안전과 보안 인식 확산 전환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회장 손승현)는 ㈜트루엔의 IP카메라 펌웨어 ‘TR12_V1.0’이 국내 최초로 ‘영상정보처리기기 보안기능 확인서’를 발급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인증은 지난 9월 30일 공식 발급됐다. ‘보안기능 확인서’는 국가정보원에서 운영하는 ‘보안적합성 검증’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사전 인증 제도 중 하나다. 특히 영상정보처리기기(IP카메라, 영상정보 관리·저장 장치 등)는 올해 4월부터 보안적합성 검증 대상으로 포함되면서, 국가·공공기관 도입 시 해당 확인서를 필수적으로 요구받게 되었다. TTA는 지난 4월 국가정보원으로부터 영상정보처리기기 분야 공인 시험기관으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IP카메라와 NVR, VMS 등 영상정보 관리·저장 장치에 대해 보안기능 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 트루엔의 인증 발급은 그 첫 번째 사례가 됐다. 이번에 인증을 획득한 ‘TR12_V1.0’ 펌웨어는 국가정보원의 ‘IP카메라 보안요구사항 V3.0’을 충족한 제품이다. 해당 펌웨어가 탑재된 주요 모델은 ‘TN-B3204U6
연구·실증·운영 전 주기를 아우르는 통합 로봇 생태계 구축 AI-로봇 융합 실증 확대, 글로벌 로보틱스 혁신 선도 선언 로봇 전문기업 뉴로메카가 글로벌 휴머노이드 경쟁에 본격 합류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뉴로메카는 지난 9월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국제 로보틱스 학회 ‘IEEE RSA Humanoids 2025’에서 차세대 휴머노이드 플랫폼 ‘ZEN(젠)’과 ‘NAMY(나미)’를 최초 공개했다. 뉴로메카는 연구·산업·서비스·의료 등 총 4개 분야별 현장 특화형 휴머노이드 플랫폼을 개발 중이며, 이번 행사에서는 연구용 ZEN과 서비스용 NAMY를 먼저 선보였다. ZEN은 포스텍과 카이스트와의 산학연 공동연구를 기반으로 설계된 통합 연구 플랫폼으로, 동일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스택을 활용해 데이터 수집, 모델 개발, 스킬 검증, 현장 실증까지 전 주기를 아우른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물리적 제약 없이 빠르게 실험과 검증, 운영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서비스용 NAMY는 실내 반복 작업과 안전 협업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실증이 추진된다. 뉴로메카는 다양한 파트너 기관과 협력해 NAMY가 실제 현장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스킬 확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는
자동차·기계 설비부터 가전까지 활용 가능한 다목적 솔루션 360도 분사 밸브와 저취 원료로 편의성과 안전성 강화 글로벌 모션 테크놀로지 기업 셰플러코리아(대표 이병찬)가 자동차와 기계 설비 유지보수 시장을 겨냥한 신제품 ‘셰플러 트루파워 다목적 윤활방청제’를 출시하며 자동차 라이프타임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이번 제품은 금속 표면에 얇은 유막을 형성해 녹 발생을 방지하고, 동시에 마찰을 줄여 원활한 작동을 지원하는 스프레이형 윤활방청제다. 체인, 기어, 볼트·너트, 잠금장치 등 마찰과 소음이 잦은 부위에 적합하며, 좁은 틈새까지 침투해 금속 부품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호한다. 제품은 360ml 용량의 스프레이 타입으로, 360도 회전 분사 밸브와 접이식 스트로우를 적용해 어떤 각도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미세 틈새까지 정밀하게 분사돼 먼지, 오염물질, 녹 제거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부터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인증을 획득했으며, 저취 원료를 사용해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셰플러코리아 자동차 라이프타임 솔루션 사업부 윤오석 전무는 “이번 제품은 자동차 및 기계 설비는 물론, 가전기기 등 일상 속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