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어플랫이 ‘THE AI SHOW 2024(TAS 2024)’에 참가해 자율주행 과수농가 추종형 운반 로봇 ‘무브봇(Move Bot)’을 선보였다. TAS는 지난해 10월 처음 포문을 연 국제 AI 전시회다. AI 기술을 한눈에 엿볼 수 있는 전시회와 기술 동향을 소개하는 AI 콘퍼런스, AI 기술과 안전성 모두를 평가해 시상하는 AI 시상식인 ‘Good AI Awards’가 함께 열린다. 무브봇은 AI 기반 객체 인식 기술을 통해 농경지에서 두둑, 고랑, 작물, 사람 등을 구분, 주행 경로를 자동으로 추출한다. 3D 카메라와 AI 알고리즘을 통해 실시간으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가상의 주행 경로를 따라 자율주행한다. 과수원에서는 과수나무와 고랑을 인식해 자율적으로 이동한다. 전방에 사람을 있을 경우 일시 정지한다. 현재 쉐어플랫은 무브봇 시제품 제작을 완료해 오는 12월까지 KC 인증을 받을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무브봇에 대한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한다. 이지훈 쉐어플랫 대표는 “농업 인력 부족과 인구 증가로 인한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용 자율주행 로봇을 개발했다”며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개선함으로 농가 소득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뉴본이 ‘THE AI SHOW 2024(TAS 2024)’에 참가해 딥러닝 기반 작물유무 분별 AI 농약분사 시스템을 선보였다. TAS는 지난해 10월 처음 포문을 연 국제 AI 전시회다. AI 기술을 한눈에 엿볼 수 있는 전시회와 기술 동향을 소개하는 AI 콘퍼런스, AI 기술과 안전성 모두를 평가해 시상하는 AI 시상식인 ‘Good AI Awards’가 함께 열린다. 딥러닝 기반 작물유무 분별 AI 농약분사 시스템은 자동으로 영상을 해석하는 AI 기술을 사용해 농작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농약분사가 필요한 구간에만 농약을 뿌린다. 실제 스마트팜 농장 환경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한 AI 모델을 싱글보드 컨트롤러에 저장해 농약살포기와 연결된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영상을 분석한다. 작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농약분사가 필요한 구간에만 농약분사를 하며 작물이 없는 구역에서는 밸브를 잠가 불필요한 분사를 방지함으로써 비용절감에 기여한다. 뉴본은 2024년 6월 창립 이후, 스마트팜 농가에 AI 기술을 더해 스마트팜 환경에서 농업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특히 팀 구성원 모두 데이터사이언스 전문인력으로 구성돼 있다. 현재 고흥스마트
빅웨이브에이아이가 ‘THE AI SHOW 2024(TAS 2024)’에 참가해 AI를 활용해 작물 재배 생산성을 높이는 솔루션을 선보였다. TAS는 지난해 10월 처음 포문을 연 국제 AI 전시회다. AI 기술을 한눈에 엿볼 수 있는 전시회와 기술 동향을 소개하는 AI 콘퍼런스, AI 기술과 안전성 모두를 평가해 시상하는 AI 시상식인 ‘Good AI Awards’가 함께 열린다. 빅웨이브에이아이가 전시회에서 선보인 'AI 작물 생육 예측 기반 유리온실 자율재배 시스템'은 기존 작물 단위 생육 측정의 문제점을 보완해 AI를 기반으로 다중 생육 수준 측정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자율 재배 전략을 수행하는 솔루션이다. 이 시스템은 일정한 높이에서 설치한 Top View Depth 카메라를 통해 RGBD 작물 이미지 데이터셋을 수집 및 분석 가능하며, 작물의 생장(높이, 중량, 엽면적)과 개화(꽃 수), 착과(과실 수, 숙도), 작물 밀집도를 AI 기반으로 예측값을 생성한다. 또한, 생육 정보를 기반으로 온도, 습도, 환기, 재식 간격 등 제어 설정값 최적화를 추천한다. 빅웨이브에이아이는 빅데이터 분석, AI 시스템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지역 청년 창업 기업이다.
클라비가 ‘THE AI SHOW 2024(TAS 2024)’에 참가해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 X RAG 기반 생성형 AI 솔루션을 선보였다. TAS는 지난해 10월 처음 포문을 연 국제 AI 전시회다. AI 기술을 한눈에 엿볼 수 있는 전시회와 기술 동향을 소개하는 AI 콘퍼런스, AI 기술과 안전성 모두를 평가해 시상하는 AI 시상식인 ‘Good AI Awards’가 함께 열린다. 클라비는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생성형 AI 챗봇 어시스턴트 솔루션 ‘클라리오’, 생성형 AI 평가솔루션 ‘클라리오-EVA’를 보유하며, 클라우드 CMP 솔루션인 ‘클라-맥스’, ‘클라-빌’, 클라우드 DX 솔루션으로 ‘클라-원’, ‘클라-엑스’, ‘클라-넷’ 등의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 분야에서 기계 독해(MRC), 자연어 이해(NLU), 텍스트 분류, 감성 분석, 챗봇, 스마트 디바이스 등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클라비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역량을 기반으로 네이버클라우드 MSP 파트너 중 최단기간에 최고등급을 달성하는 성과를 기록했으며, 공공, 교육, 엔터프라이즈, 금융, 리테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클라우드 컨설팅부터 마이그레이션 및 매니지드 서비스를
모두의연구소가 ‘THE AI SHOW 2024(TAS 2024)’에 참가해 AI 연구 인프라와 커리큘럼을 선보였다. TAS는 지난해 10월 처음 포문을 연 국제 AI 전시회다. AI 기술을 한눈에 엿볼 수 있는 전시회와 기술 동향을 소개하는 AI 콘퍼런스, AI 기술과 안전성 모두를 평가해 시상하는 AI 시상식인 ‘Good AI Awards’가 함께 열린다. 모두의연구소는 AI 연구를 원하는 이들에게 그에 적합한 연구환경과 협업체계를 지원하고 있다. 모두의연구소는 경쟁보다 상생을 추구하는 문화를 지향하며, AI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 활동을 추진해 왔다. 현재 AI 혁신학교 '아이펠(AIFFEL)'을 운영 중이며, 연구모임 '랩(LAB)', 플립 러닝 기반 스터디 모임 '풀잎스쿨', 논문 작성을 돕는 '페이퍼샵' 등 다양한 활동을 기획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생성형 AI 교육을 원하는 재직자를 위한 'K-하이테크플랫폼'과 구직자를 위한 'K-디지털트레이닝'을 소개했다. K-하이테크플랫폼에서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업무 자동화, 생성형 AI를 활용한 15초 광고 만들기, 고급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RAG를 활용한 챗봇 제작 등을 다룬다. K-디지털트레이닝에
제조 AI 컨퍼런스인 'AIM with POSTECH 2024'가 24일인 오늘 일산 킨텍스 제 2전시장 303·304호에서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THE AI SHOW 2024(TAS 2024)'의 대표 부대행사 중 하나다. '한국 제조산업의 힘, AI'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제조에서 활용되는 AI 기술 동향과 적용 사례를 알아보고, 성공적인 AX(인공지능 전환)를 준비하기 위해 마련됐다. AIM with POSTECH 2024는 포항공과대학교 인공지능연구원, THE AI이 주최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포티투마루가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되는 THE AI SHOW 2024(TAS 2024)에서 초거대 AI 기반 심리케어 ‘상담사 보조 서비스’ 개발 사업을 소개한다고 23일 밝혔다. 포티투마루는 킨텍스 제2전시장 10홀 내 초거대 AI관 입구에 대규모 전시 부스를 준비해 초거대 AI 기반 심리케어 ‘상담사 보조 서비스’ 개발 사업을 소개했다. 초거대 AI를 활용해 심리 상담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심리 상담사의 업무를 경감하고, 마이데이터로 내담자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내담자와 더 깊이 있는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전 국민 정신건강 개선에 기여하는 서비스다. 이 사업은 2027년 12월까지 3년 6개월간 총 사업비 112.9억 원 규모로 진행된다. 포티투마루는 이 외에도 각 산업 분야에 최적화한 설치형 경량형 언어 모델인 LLM42와 RAG42를 선보였으며, 전문가 업무 지원 AI Agent인 ‘DocuAgent42’도 함께 공개했다. 포티투마루는 초거대 언어모델의 단점인 환각 현상을 검색증강생성 기술인 RAG42와 인공지능 독해 기술인 MRC42와의 엔지니어링으로 완화하고 전문 산업 분야에 특화된 경량화 모델 LL
인텔리빅스가 ‘THE AI SHOW 2024(TAS 2024)’에 참가해 '차세대 AI 영상관제 시스템 AMS(AI Monitoring system)'와 'AI 엣지형 영상분석 장치 빅스원(VIXone)'을 소개했다. TAS 2024는 지난해 10월 처음 포문을 연 국제 AI 전시회다. AI 기술을 한눈에 엿볼 수 있는 전시회와 기술 동향을 소개하는 AI 콘퍼런스, AI 기술과 안전성 모두를 평가해 시상하는 AI 시상식인 ‘Good AI Awards’가 함께 열린다. 인텔리빅스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AI 영상관제 시스템 AMS는 CCTV 영상에서 AI가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 여부, 위험 상황 인식 등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산업 안전관제 시스템에 즉시 반영하고, 분석된 영상 데이터를 텍스트로 자동으로 보고서를 생성하는 최첨단 기능을 제공한다. AMS에는 생성형 AI와 비전 AI 기능, 언어모델(LLM)을 결합한 시각언어모델(VLM) 엔진을 통해 영상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이 적용됐다. 이에 작업자의 쓰러짐, 중장비 협착, 불꽃 및 연기 감지 등 산업 현장의 다양한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THE AI SHOW 2024(TAS 2024)’가 23일인 오늘부터 25일까지 총 3일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리는 가운데, 이번 전시회와 함께 열린 'Originated from HI X AI 展'에 참관객의 이목이 쏠렸다. TAS 2024 사무국은 THE AI ART와 함께 AI 그린 그림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사무국은 "사람만의 영역이라고 생각됐던 창작까지 AI로 가능하게 됨에 따라 AI 기술 발전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이 같은 요구를 반영해 이번 전시회에 AI가 그린 그림 전시회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THE AI SHOW 2024(TAS 2024)’가 23일부터 25일까지 총 3일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렸다. 이날 주요 내빈으로 참석한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은 AI 융합농업 글로벌 애그테크 컨퍼런스 개막식에서 축사를 전한 뒤, 전시장 내부에서 진행된 VIP 투어에 참석했다. 이날 이준석 의원은 국내 농업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이며, 경쟁력 확보를 위해 AI를 비롯한 신기술 융합을 강조했다. 이 의원은 씽크포비엘,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등 전시장 내 마련된 주요 부스를 다니며 관계자와 이야기를 나눴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농업 분야에 적용되는 AI 및 신기술 트렌드를 공유하는 ‘AI 융합 애그테크 컨퍼런스’가 23일인 오늘 일산 킨텍스 제 2전시장 303호·304호에서 개최됐다. 이번 AI 융합 애그테크 컨퍼런스는 국내에서 이러한 첨단 농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재 농업 분야에 활용되는 AI 기술과 향후 발전 가능성 등을 논의했으며, 컨퍼런스에는 영국, 미국 등 국내외 농업, AI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섰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농업 분야에 활용되는 AI 기술과 향후 발전 가능성 등 논의해 농업 분야에 적용되는 AI 및 신기술 트렌드를 공유하는 ‘AI 융합 애그테크 컨퍼런스’가 23일인 오늘 일산 킨텍스 제 2전시장 303호·304호에서 개최됐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30분 내로 음식을 배달받을 수 있는 현대 사회 이면에는 식량 위기가 도사리고 있다. 극심한 기후 변화와 농업 인구 및 농지 면적 감소로 인한 식량 생산량은 갈수록 줄고 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 등이 발간한 ‘2024 세계 식량위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8개국 77만 명이 극심한 식량 불안에 시달렸다. 한국 역시 식량 위기 문제에 직면해 있다. 2021년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44.4%에 불과하다. 1970년대 86.2%에 육박하던 식량자급률이 절반으로 떨어졌다. 2022년 기준 한국 식량안보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였다. 식량 위기는 식료품 가격 증가 등 부정적 영향을 가져온다. 코로나19와 같은 글로벌 팬데믹이 장기간 발생하면 각 국가의 유통망에 끊겨 국민에게 원활한 식량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실제로 코로나19 당시 러시아, 우크라이나, 베트남 등 주요 곡물 수출국은 식량
AI 기술을 한눈에 엿보는 전시회와 컨퍼런스, Good AI Awards 등 다양한 행사 마련돼 ‘THE AI SHOW 2024(TAS 2024)’가 23일인 오늘부터 25일까지 총 3일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다. 올해로 2회째를 맞은 TAS 2024는 AI 신뢰성과 교육, 농업관 등이 별도로 편성돼 다양한 산업과 일상에 융합하는 AI 기술을 다채롭게 선보인다. 농업 AI와 제조 AI를 주제로 한 컨퍼런스도 23일, 24일 양일간 열려 AI 융합 트렌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도 소개될 예정이다. TAS는 지난해 10월 처음 포문을 연 국제 AI 전시회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AI 기술을 한눈에 엿볼 수 있는 전시회와 기술 동향을 소개하는 AI 콘퍼런스, AI 기술과 안전성 모두를 평가해 시상하는 AI 시상식인 ‘Good AI Awards’가 함께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AI 교육관과 농업 AI관, 초거대 AI관, AI 신뢰성관, AI 안전관 등이 꾸려졌다. AI 교육관에서는 성균관대, 한양대, 아주대, 부산대, 포항공대 등 현재 AI 교육과 연구 선봉에 선 대학, 대학원이 대거 출동했다. 이들 대학에서는 현재 수행하는 연구 등을 전시하며, 이외에도 모두
약 900㎡ 규모 극장 콘셉트로 꾸미고 생성형 AI 기반 홈 솔루션 전시 LG전자가 22일부터 나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 55회 한국전자전 2024(KES 2024)'에 참가했다. LG전자는 이번 전시를 관람객이 몰입해서 체험하도록 약 900㎡ 규모 전시관을 극장 콘셉트로 꾸미고 생성형 AI 기반의 홈 솔루션을 선보였다. 전시관 전면에는 55인치형 투명 올레드 디스플레이 20대를 설치해 냉장고∙세탁기 등 실제 제품과 AI칩셋 그래픽을 겹쳐 보이도록 연출한 미디어아트로 AI홈의 근간이 되는 ‘AI 코어테크’를 표현했다. AI 코어테크는 모터∙컴프레서 등 LG전자의 차별화된 핵심부품 기술력에 제품 사용 환경을 분석하는 AI 기술을 접목, 최적화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제품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모두 끌어올린다. 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연내 출시 예정인 AI홈 허브 'LG 씽큐 온'을 기반으로 일상이 편리해지는 AI홈 라이프스타일을 라이브 연극 형식으로 선보였다. 무대에 등장하는 남편과 아내는 업계 최초로 생성형 AI를 탑재한 허브 ‘씽큐 온’과 대화하며 캘린더에 등록된 기념일에 어울리는 음식과 와인을 추천 받는다. 음성으로 오븐 내 조리 과정을 확
주요 데이터 센터 기능 가속화하는 DPU 제품군의 대대적 판매 시작해 망고부스트는 현지 시각 지난 15일부터 사흘간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열린 ‘2024 OCP 글로벌 서밋(OCP Global Summit)’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망고부스트는 OCP 글로벌 서밋에서 PCIe 카드, 서버,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 시스템 전 단위에서 스토리지, GPU 통신, AI 추론 및 학습 등 주요 데이터 센터 기능을 가속화하는 DPU(Data Processing Unit) 제품군의 대대적 판매를 개시했다. OCP 글로벌 서밋은 세계 최대 규모의 개방형 데이터 센터 기술 커뮤니티인 OCP(Open Compute Project)가 주최하는 연례 행사로, 업계 전문가들이 모여 다양한 기술력과 비전을 공유하는 장이다. 올해 망고부스트는 AMD, 삼성전자, 슈퍼마이크로 등 반도체 및 서버 분야의 글로벌 유수 파트너사와 함께, PCIe 카드, 서버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이뤄진 최신 DPU 제품군을 공개했다. 망고부스트는 스토리지 통신, GPU 간 통신, AI 및 LLM 추론, 학습 및 서비스 제공 등 AI 시대의 데이터 센터가 수행하는 주요 기능에 대한 DPU 제품군을 공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