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엔비디아 젠슨 황 CEO, 컴퓨텍스서 일거수일투족 관심 '집중'

URL복사
[#강추 웨비나] 자동화 공정 최적화를 위한 유니버설로봇의 최신 기술 소개합니다...유니버설로봇과 모바일매니퓰레이 (6/18)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은 올해 대만 컴퓨텍스 2024에서 K-팝 아이돌 그룹 부럽지 않은 팬들을 구름떼처럼 몰고 다녔다.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가 인류가 맞이해야 할 인공지능(AI) 시대의 '예언'인 양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웠다.

 

9일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북부 타이베이 난강 전람관에서 4∼7일 나흘간 열린 이번 행사에 관련 업계 바이어와 전문인력이 지난해보다 70% 늘어난 8만5179명이 찾았다. 가장 많이 방문한 상위 10대 국가엔 일본, 미국, 중국, 한국, 홍콩, 싱가포르, 인도 등으로 집계됐다.

 

컴퓨텍스는 이전에도 아시아 최대의 정보기술(IT) 행사였지만 올해는 특히 AI 열풍을 주도하는 '빅 스타'가 한자리에 모여 더욱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그 가운데 젠슨 황은 단연 빛났다. 행사는 나흘간이었지만 그가 8일까지 '조국' 대만에 머문 기간은 보름이었다.

 

행사장 내부의 업계, 학계의 전문가뿐 아니라 대만의 식당, 야시장을 찾으며 일반 시민과 스킨십을 이어갔다. 타이베이시 관광전파국은 젠슨 황이 방문한 장소를 '미식 지도'로 만들어 공개했다. 대만언론은 그가 '대만 관광 홍보대사' 역할까지 했다고 반겼다. 가는 곳마다 사진 촬영, 사인 요청이 쇄도했고 젠슨 황 역시 이를 거부하지 않고 '팬들'과 호흡을 함께 했다.

 

그가 지난달 26일 대만에 도착한 후 여러 공개 석상에서 대만을 '국가'라고 칭한 점도 큰 관심을 끌면서 정치적 해석까지 이어졌다. 그는 지난달 29일 야시장에서 "대만이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country) 중 하나"라고 말했다.

 

계속해서 대만을 국가라고 지칭한 것과 관련, 중국 매체가 해명을 요구하자 "지정학적 정치의 논평을 한 것은 아니다"라며 "단지 우리의 모든 과학기술 산업 파트너들의 지지와 산업에 대한 공헌에 대한 감사를 표명한 것"이라고 선을 긋긴 했다.

 

젠슨 황의 친척 동생이기도 한 리사 수 AMD CEO도 행사기간 대만을 찾았다. 그는 7일 남부 타이난에서 열린 '남부 반도체 포럼'에서 "대만의 산업 생태계가 매우 특별하다"고 말했다. 이어 AMD와 대만의 공급망, 설계 파트너 등과 긴밀한 협력을 하고 있다면서 "대만이 공급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에이서의 천췬성 회장은 "세계에 AI와 공급망 재구성이라는 양대 추세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이 여전히 중요하지만 기업은 더 이상 그들에게 계속해서 의존할 계획이 없다고 주장했다. 대만 대외무역발전협회(TAITRA) 황즈팡 회장은 이번 행사가 성공할 수 있었던 원인이 AI에 대한 폭발적인 반응 덕분이라며 "AI 시대에 대만의 중요성을 세계 어떤 나라도 대체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황 회장은 1981년부터 시작한 컴퓨텍스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PC), 인터넷, 모바일,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AI 등의 국제 교류가 이뤄졌다면서 교류를 위한 가장 좋은 플랫폼이라고 소개했다. 또 관련 업계가 대만 컴퓨텍스 행사를 통해 행사장 내·외부에서 대만 내 현지 공급망과 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컴퓨텍스 2025'는 내년 5월 20일부터 나흘간 열릴 예정이라면서 이미 기조연설을 하려는 CEO의 신청이 오고 있다고 전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