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글로벌NOW] '빅뱅' 터진 글로벌 산업·기술 생태계...각 분야 이주의 화두는?

URL복사

세상의 흐름을 읽는 스마트한 습관 [글로벌NOW]

 

매주, 세계는 조용히 변화를 시작합니다. 기술이 바꾸는 산업의 얼굴, 정책이 흔드는 공급망 질서, 기업이 선택하는 미래 전략. 세계 곳곳에서 매주 벌어지는 이 크고 작은 변화는 곧 우리 산업의 내일과 맞닿아 있습니다. 글로벌NOW는 매주 주목할 만한 해외 이슈를 한 발 빠르게 짚어주는 심플한 글로벌 브리핑입니다. AI, 제조, 물류,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벌어지는 굵직한 사건과 트렌드를 큐레이션해 독자들이 산업의 큰 그림을 한눈에 파악하도록 돕겠습니다.


[로봇] 피겨AI, 기업가치 390억 달러 돌파...휴머노이드 산업의 ‘대형화’ 시작되나


· 美 휴머노이드 스타트업 피겨AI(Figure AI), 10억 달러 이상 신규 투자 유치

· 가정용 보조, 물류 자동화, 데이터 수집 플랫폼까지 사업 영역 확장 시발점 마련해

· 전문가들 “휴머노이드 산업이 실험실 단계를 넘어 대규모 산업화 국면으로 진입”


▲ 피겨AI가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피겨AI의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피겨 01(Figure 01)'가 활동하는 모습. 로봇에는 시각언어(Language)행동(Action)을 담당하는 자사 VLA(Vision·Language·Action) AI 모델인 '헬릭스(Helix)'가 탑재됐다. (출처 : 피겨AI)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피겨AI(Figure AI)가 최근 신규 투자 라운드에서 10억 달러(약 1조4000억 원) 이상을 조달하며 기업가치를 약 390억 달러(약 54조 원)로 끌어올렸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25억 달러(약 3조5000억 원) 수준이던 수치가, 단기간에 몸값을 15배 이상 불린 것이다.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벤처캐피털(VC)과 글로벌 전략적 투자자들이 이번 라운드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겨AI는 지난해 휴머노이드 로봇 ‘피겨 01(Figure 01)’ 프로토타입을 공개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인간과 유사한 형태의 로봇으로, 보행·물체 조작·간단한 대화까지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세대 인공지능(AI)·로봇 통합 플랫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투자금은 연구개발 가속화와 제조 인프라 구축, 데이터 수집 확대에 투입될 예정이다.

 

회사는 특히 ▲가정용 보조 ▲소매·물류업 지원 ▲공장 자동화 ▲데이터 플랫폼 등 네 가지 핵심 사업 축을 구성했다. 이는 데모나 파일럿 프로젝트 수준에 그쳤던 활동이 실제 양산 체제로 넘어가는 길목에 돌입했다는 평가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휴머노이드 산업의 대형화가 본격화하는 신호탄”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라운드는 엔비디아(NVIDIA)·테슬라(Tesla) 등 글로벌 빅테크의 움직임과도 맞물린다. 미국의 대표적 휴머노이드 모델인 테슬라의 ‘옵티머스(Optimus)’와 앱트로닉(Apptronik)의 ‘아폴로(Apollo)’, 그리고 중국 유니트리(Unitree)의 ‘H1’ 등 다양한 휴머노이드가 시장에 속속 등장하면서 경쟁은 이미 치열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규모 양산을 통한 상업적 성과는 전무하다. 피겨AI의 이번 결정은 스타트업이 본격적으로 ‘양산 경쟁’에 뛰어든 첫 사례로 기록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피겨AI가 단기간에 기업가치를 폭증시킬 수 있었던 배경으로 휴머노이드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를 꼽는다. 챗GPT(ChatGPT)와 같은 AI 대화형 모델이 소프트웨어 영역에서 혁신을 만들었다면, 이제는 AI를 담아낼 하드웨어 플랫폼으로서의 로봇이 각광받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실제로 투자업계에서는 휴머노이드가 데이터 수집의 새로운 통로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하드웨어 신뢰성, 배터리 지속 시간, 인간과의 안전한 협업, 사회적 수용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여전히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대하는 ‘양산 체제’는 소규모 시제품 시연과 달리 여러 요소를 갖춰야 한다. 대규모 부품 공급망, 안전 규제, 서비스 인프라 등이 포함된다. 한 글로벌 컨설팅 관계자는 이에 대해 “수십억 달러 투자와 함께 현실의 장벽도 함께 높아진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겨AI는 이번 투자로 명실상부하게 휴머노이드 산업의 선두 주자로 올라섰다는 평가다. 업계는 이번 기업가치 급등을 “챗봇 산업의 폭발 이후, 하드웨어 차세대 아이콘을 향한 자본의 쏠림 현상”으로 해석하고 있다.

 

[로봇] “챗봇 다음은 휴머노이드”...투자·기대·한계가 뒤엉킨 ‘차세대 아이콘’ 급부상


· 와이어드(WIRED), 오픈AI의 로봇 연구 재개, 테슬라·피겨AI·앱트로닉 등 주요 기업 전략 조명

· 글로벌 빅테크·스타트업 동시 시장 진입으로 투자·기술 경쟁 가속화 점쳐

· 하드웨어 내구성, 학습 데이터 부족, 안전·윤리 등 문제 우려하기도


 

글로벌 기술 매체 와이어드(WIRED)가 최근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챗GPT·제미나이(Gemini) 등 대화형 AI 열풍 이후 차세대 기술 아이콘은 휴머노이드 로봇이 될 가능성이 크다.

 

와이어드는 테슬라·피겨AI·앱트로닉·유니트리·오픈AI(OpenAI) 등 주요 기업들의 전략을 집중 조명했다. 매체는 “휴머노이드는 이제 단순한 미래 상상이 아니라, 본격적인 산업 경쟁 무대로 진입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투자자들의 관심이다. 오픈AI는 최근 로봇 연구를 재개하며 AI 모델을 현실 세계에 접목하는 실험을 강화하고 있고, 테슬라와 피겨AI는 대규모 자본을 기반으로 상용화를 노리고 있다. 스타트업과 대기업 간의 경쟁 구도가 동시에 형성되고 있다는 점은 챗봇 열풍 당시와 흡사하다.

 

그러나 와이어드는 동시에 냉정한 평가도 내놨다. ▲로봇 하드웨어의 내구성·신뢰성 문제 ▲학습 데이터의 부족 ▲인간과 로봇이 함께 생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사회적 문제 등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하드웨어·데이터·사회적 수용성이라는 세 가지 병목이 풀리지 않는다면 휴머노이드도 ‘과대포장(Overhyped)’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가진 실제적 가치는 아직 검증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짚었다. 물류 창고에서 상자를 옮기거나, 가정에서 단순한 심부름을 하는 정도는 가능하더라도, 복잡한 상황에 즉각 대응하는 능력은 부족하다는 게 그 이유다. 와이어드는 이를 “챗봇의 화려한 언어 능력과 달리, 휴머노이드가 실제 환경에서 겪는 ‘물리적 제약의 벽(The physical world remains the ultimate barrier)'”이라고 표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계는 낙관적이다. 엔비디아 등 반도체 기술 기업이 로봇 학습에 필요한 연산 능력을 제공하고, 데이터 수집·공유 생태계가 확대되면서 기술적 한계는 점차 극복될 것으로 전망한다.

 

결국 AI와 인간의 관계를 재정의하는 ‘사회적 실험장’이 될 수 있는 관측이다. 와이어드는 “휴머노이드는 산업과 가정에서 모두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며 “챗봇 이후, 인류가 직면할 새로운 기술 아이콘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결론지었다.

 

[AI] WTO “AI, 2040년까지 세계 교역 34~37% 확대”...격차 심화 경고도 이어져


· 보고서서 물류 최적화, 서비스 자동화 이끄는 AI 영향력 확대 전망

· 글로벌 무역 구조 변화 예고...선박·항공 운송 효율 개선, 통관·보험 등 거래 비용 하락?

· 디지털 인프라가 부족한 개발도상국 우려...“디지털 격차 심화 확대 줄이는 전략 필요”


 

세계무역기구(WTO)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AI가 2040년까지 전 세계 무역 규모를 최대 37%까지 확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AI가 물류 효율화, 서비스 디지털화, 거래 비용 절감에 직접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하며, “AI가 향후 15년간 세계 무역 성장의 핵심 엔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AI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은 구체적이다. 물류 최적화를 통해 선박·항공 운송의 효율이 높아지고, 통관·보험 등 서비스 영역도 자동화되면서 거래 비용이 줄어든다. 보고서는 이 같은 요인들이 합쳐져 세계 교역량을 최소 34%, 최대 37% 끌어올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동시에 WTO는 경고도 던졌다. AI 인프라와 제도적 기반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에 비해 활용 속도가 크게 뒤처질 수 있다는 것이다. “AI가 세계 무역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기존의 디지털 격차를 심화시키는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보고서가 단순히 기술 전망을 넘어, 국제 규범·통상 협력까지 아우르는 AI 시대의 ‘거시적 변수(Macro Variable)’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한다. 각국이 AI 규제, 표준화, 데이터 유통 규범을 둘러싸고 경쟁·협력을 병행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IT] 엔비디아·인텔 동맹설...차세대 ‘윈텔’ 시대 본격화?


· 엔비디아의 인텔 지분 매입설 보도 후 인텔 주가 급등...시장, “단순 투자 아닌 전략적 신호”

· ‘GPU 절대 강자’ 엔비디아, ‘CPU·파운드리 전통 강호’ 인텔 융합 시너지 기대

· AI 인프라 공급망 리스크 분산 효과 기대, 반면 반독점 심사, 규제 리스크 주요 변수 우려


 

최근 월가에서는 엔비디아가 인텔의 지분·옵션 매입을 추진한다는 보도가 나오며 시장이 술렁였다. 실제 계약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 소식만으로도 인텔 주가는 단숨에 급등했다. 시장은 이를 단순한 투자 이상의 전략적 시그널로 해석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에서 압도적 1위를 차지하며 AI 인프라 패권을 장악하고 있다. 반면 인텔은 중앙처리장치(CPU)·반도체위탁생산(Foundry)에서 강점을 갖고 있으나, AI 전환기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만약 양사가 전략적으로 손을 잡는다면 과거 PC 시대의 ‘윈텔(Wintel)’ 동맹을 잇는 새로운 패권 구도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소문을 “엔비디아가 공급망 리스크를 줄이고, 인텔이 AI 시대의 재도약 발판을 마련하는 윈윈 전략”으로 본다. 특히 엔비디아가 최근 데이터센터·슈퍼컴퓨터 영역에서 CPU·GPU를 모두 아우르는 ‘풀스택’ 전략을 구사하는 만큼, 인텔의 파운드리 역량과 결합하면 시너지가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신중론도 존재한다. 실제 지분 매입으로 이어질지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고, 반독점 규제 당국의 심사 가능성도 크다. 그러나 단순한 ‘동맹설’만으로도 IT 시장에 파장이 컸다는 점에서, AI 인프라 시대의 경쟁 구도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모빌리티] 웨이모, ‘공공교통형 로보택시’ 첫 사례…자율주행의 새 분기점 뜰까?


· 아리조나주 챈들러서 대중 셔틀 서비스 ‘챈들러 플랙스(Chandler Flex)’와 로보택시 연계

· ‘개인 호출 중심’ 자율주행차 양상에 서비스 가치 확장 가능성 제시...공공교통 편입 첫 사례

· “도시 교통 혼잡 완화, 탄소 배출 절감 효과 도출할 것”


 

구글(Google)의 모회사 알파벳(Alphabet)의 자율주행 부문 웨이모(Waymo)가 미국 아리조나주 챈들러 시와 협력해 로보택시를 지역 공공 교통망에 편입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주민들은 ‘Chandler Flex’라는 온디맨드 셔틀 서비스 앱을 통해 웨이모 차량을 호출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자율주행 로보택시는 개인 호출 서비스로만 운영돼 왔다. 이 흐름에서 이번 프로젝트는 로보택시를 공공 교통 인프라의 일부로 편입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웨이모 측은 “로보택시가 도시 교통 혼잡 완화와 탄소 배출 저감에 기여하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교통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에 대해 “자율주행차가 개인 중심에서 대중 중심으로 전환되는 분기점”이라고 평가한다. 실제로 미국 주요 도시들이 교통 혼잡·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하는 방안을 모색 중인 상황에서, 웨이모의 이번 새 모델은 다른 도시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물류] 초대형 원유운반선 운임 급등…“물류 인플레 다시 오나”


·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운임, 하루 10만 달러 돌파...2022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 기록

· 사우디·UAE 등 산유국 수출 확대, 아시아·미국행 장거리 항로 증가로 선복 부족 심화

· 아시아 정유사 조달 비용 상승 압박...글로벌 물류비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 커져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운임이 최근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해운업계와 정유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해운 중개업체에 따르면 VLCC 하루 운임은 10만 달러(약 1억4000만 원)를 웃돌며 지난해 평균치 대비 30% 이상 상승했다.

 

이번 급등의 배경에는 중동 산유국들의 원유 수출 확대가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가 증산 기조를 유지하고 있고, 아시아와 미국으로의 장거리 항로가 늘어나면서 배 선적 공간이 빠듯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아시아 정유사들은 조달 비용 상승 압박에 직면했다.

 

전문가들은 VLCC 운임 상승이 장기적으로 글로벌 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한다. 원유 물류비는 정유·화학·운송 등 연쇄 산업에 파급효과를 일으키는 성질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향후 전망도 녹록지 않다. 중동 정세 불안, 홍해·수에즈 운항 리스크, 미국 대선에 따른 유가 변동성까지 겹치면서 VLCC 운임은 하반기에도 고공행진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