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티투마루가 5일 인천 쉐라톤 그랜드 호텔에서 열린 ‘APEC 2025 KOREA 글로벌 디지털·AI 포럼’에 참가해 공공 부문에서의 생성형 AI 전환, 이른바 ‘공공 AX(AI Transformation)’ 혁신 사례를 발표했다.
APEC 21개국의 디지털·AI 장관회의 공식 부대행사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 포티투마루는 한국형 신뢰 기반 생성형 AI 기술을 기반으로 행정·국방·지자체·보건 등 다양한 공공 영역에서의 실제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포티투마루는 국내 최초로 공공(TTA CAT)과 민간(AIIA AI-MASTER) 인증을 모두 획득한 독자 언어모델 LLM42와, 검색증강생성(RAG) 기반의 RAG42 기술을 중심으로 전시를 구성했다. ‘Trustworthy Answering AI’를 주제로 한 이번 전시에서는 범정부 초거대 AI 공통기반 사업, 국방군수 LLM 구축, 전국민 심리케어 상담사 보조 시스템, 부산시 생성형 AI 행정서비스 실증 사례 등 실제 현장에서 작동 중인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집중 소개했다.
김동환 대표는 “APEC 포럼은 한국형 공공 AX 기술의 글로벌 전파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상징적인 자리”라며 “포티투마루는 경량형·신뢰형 AI 모델을 통해 각국 공공기관이 데이터 보안과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월드뱅크가 공동 주최했으며, 포티투마루는 초거대AI추진협의회 회원사로 전문가 심사를 거쳐 전시 기업으로 선정됐다. 포럼에는 미국, 일본, 중국, 동남아 등 APEC 21개국 정부 관계자와 디지털 정책 실무자가 참석했으며, 국내외 AI 기술 기업 10여 곳이 함께 참여해 각국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에게 최신 기술과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포티투마루는 초거대 언어모델의 환각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RAG42, MRC42 등 독자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민감 데이터 보호를 위한 Private 모드 지원, 산업별 경량화 모델 제공 등 실전 적용 중심의 엔지니어링 역량을 바탕으로 공공·산업 전반의 AI 도입을 선도하고 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