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업스테이지, 국가 AI 프로젝트 선정...정예 5개 팀 유일한 스타트업

URL복사

 

업스테이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총 15개 팀이 참여한 가운데 서류와 발표 평가를 거쳐 선발된 5개 정예팀 중 유일한 스타트업으로 이름을 올리며, 기술력과 실행력을 동시에 입증했다. 

 

업스테이지는 이번 과제에서 ‘유형 1’에 해당하는 신규 독자 모델 개발 트랙에 참여한다. 자체 아키텍처와 학습 알고리즘을 처음부터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식으로, 글로벌 수준의 프런티어 모델 완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모델은 향후 1,000억~3,000억 파라미터 규모로 확장되며, 한국어·영어·일본어·동남아 언어를 아우르는 다국어 처리, 멀티모달 대응, 산업 특화형 모델 개발 등으로 단계적 확장을 추진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업스테이지는 민간·학계·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GPU 인프라와 학습 최적화 부문에서는 래블업(GPU 가상화 기술), 노타 AI(경량화 및 최적화), 플리토(데이터 전처리 및 품질 평가)가 함께하고, 카이스트와 서강대학교 소속 교수진은 연구 협력과 인재 양성, 국제 논문 출판 등을 통해 학술적 뒷받침에 나선다.

 

특히 업스테이지는 산업 현장 중심의 활용 확산에도 방점을 둔다. 뷰노(의료), 마키나락스(제조·국방), 로앤컴퍼니(법률), 오케스트로(공공), 데이원컴퍼니(교육), 올거나이즈(검색), 금융결제원(금융 인프라) 등 각 분야 선도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파운데이션 모델의 실효성을 높이고 국내 산업의 AI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업스테이지 김성훈 대표는 “한국이 AI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LLM 개발에 집중하겠다”며 “스타트업으로서 민첩성과 전문성을 결합해, 의미 있는 결과로 보답하겠다”고 밝혔다.

 

업스테이지는 이미 자체 개발한 LLM '솔라(SOLAR)'를 통해 오픈소스 LLM 시장에서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으며, 이번 과제를 통해 보다 확장된 AI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한층 더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