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텔레픽스는 자사의 위성정보 기반 원자재 물동량 분석 서비스 ‘메탈스코프(MetalSCOPE)’가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의 인공위성 기반 지구관측 활용사례로 소개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국내 기업으로서는 처음으로 단독 선정된 사례이며 미국과 유럽 기업에 이어 민간기업으로는 전 세계 세 번째 등재된 것이다.
다보스포럼으로도 알려진 세계경제포럼은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 비영리기구로, 세계 주요 기업과 정부, 학계, 시민사회가 모여 글로벌 현안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는 협의체다. 올해 1월부터는 위성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성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구관측 데이터를 활용해 사회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한 혁신 사례들을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의 인공위성 기반 지구관측 활용사례에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산불 모니터링, 유럽우주국(ESA)의 가축 관리 시스템, 글로벌 보험사 악사(AXA)와 플래닛랩스(Planet Labs)의 기후 기반 보험 솔루션 등 대표적인 활용 사례들이 포함돼 있다.
메탈스코프는 텔레픽스가 독자 개발한 위성영상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다양한 초고해상도 위성 이미지와 실제 원자재 현황 데이터를 결합해 인공지능(AI)이 학습한 결과를 바탕으로 원자재 표면에 대한 정밀 분석을 수행하며 종류 및 상태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 세계 주요 항만과 물류거점의 원자재 물동량을 감지·예측하고, 공급망 병목 현상이나 수요 급증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정책 수립이 가능하다. 세계경제포럼은 메탈스코프에 대해 “광학 및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데이터를 활용해 접근이 어려운 항만, 창고, 물류 허브 등에서 원자재 유형 및 적재량의 변화를 높은 빈도로 추적하며 실시간 시장 통찰력을 제공하는 혁신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조성익 텔레픽스 대표는 “메탈스코프의 기술력과 혁신성이 국제 무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아 기쁘다”며 “앞으로도 위성데이터의 활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장하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솔루션을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