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이 글은 서드파티 SPICE 모델을 LTspice®에 가져오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서로 다른 두 가지 모델 유형을 가져오는 과정은 .MODEL 지시문으로 구현된 모델과 .SUBCKT 블록으로 구현된 모델이라는 두 가지 모델 유형을 다룬다. 제시된 단계는 다른 사람과 회로도를 공유할 때 최대한의 이식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머리말 LTspice®는 회로도를 좀더 수월하게 생성하고 신속하게 시뮬레이션 할 수 있게 해준다. 때로는 설계를 구상하는 가장 좋은 출발점은 이상적인 회로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회로 설계 엔지니어는 초기의 단순한 회로도를 보다 현실적인 부품 모델로 개선해야 할 수도 있다. LTspice에는 다양한 서드파티 제조사 모델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모델을 사용하려면 부품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뒤 속성 창에서 Pick을 클릭하고 그 다음 생성되는 창에서 원하는 부품을 하나 선택하면 된다. LTspice 부품 라이브러리에 없는 모델의 경우, 외부 소스의 부품 모델을 LTspice로 가져올 수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계는 부품의 종류와 모델 문법에 따라 달라진다. SPICE 모델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 Inc., 이하 ADI)가 임베디드 AI 시스템 개발의 복잡성을 줄이고 속도를 높이는 통합 개발 플랫폼 ‘CodeFusion Studio 2.0’을 공식 출시했다. 이번 버전은 AI 모델 설계부터 배포까지 이어지는 엔드투엔드 워크플로우를 제공해, 개발자가 ADI의 다양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 전반에 걸쳐 자사 AI 모델을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 기반 산업 장비, 로보틱스, 헬스케어 기기 등 차세대 인텔리전트 엣지(Edge) 시스템의 개발 효율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핵심 목표다. CodeFusion Studio 2.0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Visual Studio Code)를 기반으로 구축됐으며, 모델 호환성 검사기·성능 프로파일링·최적화 기능을 새롭게 탑재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코드 작성과 동시에 AI 모델의 실행 효율을 시각화하고, 배포 전 단계에서 성능을 검증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버전은 제퍼(Zephyr) 기반 모듈형 프레임워크를 통해 AI·머신러닝(ML) 처리의 런타임 성능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계층별 프로파일링과 하드웨어 간 통합 기능이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첨단 모델링, 부품 추천, 시뮬레이션 기반 효율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포괄적 전원 설계 솔루션 ‘ADI Power Studio’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ADI는 Power Studio 브랜드 아래에서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웹 기반 신규 툴 ‘ADI Power Studio Planner’와 ‘ADI Power Studio Designer’의 초기 버전도 공개했다. 새로운 툴은 LTspice, SIMPLIS, LTpowerCAD, LTpowerPlanner, EE-Sim, LTpowerPlay, LTpowerAnalyzer 등 ADI Power Studio 제품군과 함께 전원 시스템 설계의 전체 과정을 간소화한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는 전원 시스템의 개념 구상 단계부터 측정 및 평가 단계까지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현대 전자 시스템은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개의 전원 레일과 상호 의존적인 전압 도메인을 포함해 높은 전원 밀도를 요구한다. 이러한 복잡성은 설계 과정의 병목과 재작업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Power Studio는 정확한 모델 기반의 성능 시뮬레이션과 자동화된 BOM(bill of mate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아나로그디바이스 및 몰렉스와 협력해 최신 소형화 설계 동향을 담은 전자책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자책은 ‘소형화되는 전자 설계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문가 11인의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소형화 설계 과정에서 직면하는 과제와 해결 방안을 다양한 전문가 시각에서 다룬다. 오늘날 엔지니어들은 소비가전과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부터 첨단 계측·산업 자동화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더 작고 더 적은 전력을 소비하면서도 성능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제품을 설계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번 전자책은 이러한 산업적 요구와 함께 ADI 및 몰렉스의 통합·패키징·인터커넥트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으며, 이들 제품은 모두 마우저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EVAL-AD3530RARDZ 평가 보드는 ADI의 AD3530 및 AD3530R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를 활용한 프로토타이핑을 지원한다. AD3530과 AD3530R DAC는 출력 전압과 전류, 내부 다이 온도에 대한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는 통합 멀티플렉서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이 디바이스에는 POR(Power-On Reset) 회로가 내장되어 있어 유효한 쓰기 명
아나로그디바이스(ADI) 정밀 센싱·제어 기술, 엔비디아 인공지능(AI) 연산 플랫폼 ‘젯슨 토르(Jetson Thor)’ 협력 가시화 현실·시뮬레이션 간 격차 해소 도모...로봇 개발 일정 단축 기대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가 엔비디아의 고성능 인공지능(AI) 연산 플랫폼 ‘젯슨 토르(Jetson Thor)’ 플랫폼을 활용한다. 이로써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주행로봇(AMR) 등 차세대 로봇의 상용화를 노린다. 젯슨 토르가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고성능 연산을 담당한다면, ADI는 정밀 센싱, 모션 제어, 전력, 연결성 등 ‘신경계’를 제공한다. ADI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시뮬레이션에서 실제 배치까지 로봇 개발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젯슨 토르는 엔비디아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 블랙웰(NVIDIA Blackwell)을 탑재한 기술이다. 모바일 전력 범위에서 2070 FP4 테라플롭스(TFLOPS)의 서버급 AI 연산 성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이는 1초에 2070조 번의 연산을 처리한다는 뜻이다. 이를 통해 로봇은 복잡한 추론과 지능적인 행동을 실행할 수 있다. ADI는 이러한 젯슨 토르의 추론 능력에 실제 물리적 환경에 반응하는 정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27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인공지능 전환(AX) 기반 디지털 팩토리 구축을 위한 설계 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아나로그디바이스, 뷔르트 일렉트로닉,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등 주요 글로벌 제조사 파트너가 참여한다. 데프티 티엔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아시아태평양 지역 마케팅 담당 부사장은 “이번 세미나는 AI를 활용한 지능형 제조 환경 구현과 관련한 전문가들의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글로벌 제조사들이 어떻게 스마트 제조 시대를 열어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미나에서는 장영재 KAIST 교수와 강봉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이 특별 강연을 진행한다. 장 교수는 ‘피지컬 AI를 활용한 제조공장 자동설계 및 로봇 운영 로직의 실현’을, 강 수석연구원은 ‘AI 자율제조 구현을 위한 선도 프로젝트 활용 현황’을 주제로 발표한다. 또 뷔르트 일렉트로닉,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아나로그디바이스 등 마우저 파트너사 전문가들이 AI 기반 스마트 제조를 위한 기술과 솔루션을 소개한다. 참가자에게는 갤럭시 워치7 등 경품이 제공된다. 세미나 세부 내용은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의 ADIN3310 및 ADIN6310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이 3포트 및 6포트 기가비트 이더넷TSN(time-sensitive networking) 스위치는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저지연 통신을 지원한다. ADIN3310과 ADIN6310 스위치는 공장 자동화 및 프로세스 자동화, 모션 제어 및 로보틱스, 운송, 빌딩 자동화 등 산업용 이더넷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됐다. 현재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ADIN3310 및 ADIN6310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는 유연하게 구성 가능한 MAC(media access controller)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으며, ADI의 PHY(physical layer) 디바이스와 결합해 저전력, 저지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SGMII(serial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및 RGMII(reduced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를 통해 최대 1Gbps의 데이터 속도를 지원하며, 통합 PRP(parallel redun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6월 24일부터 26일까지(미국 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센서 컨버지 2025’(Sensors Converge 2025)에 참가해 주요 파트너 제조사들의 최첨단 센서 기술을 선보인다. 올해로 40주년을 맞은 센서 컨버지 전시회는 센서 기술에만 집중하던 초기 행사와 달리, 센서와 연동되는 전자 기술 및 임베디드 시스템 전반을 아우르는 다각화된 기술 이벤트로 발전해 왔다. 센서 컨버지는 혁신을 촉진하고 설계 프로세스의 발전 및 시장의 변화를 가속화하는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을 조명하고, 스마트 센서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삶의 시대로 나아갈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다. 케빈 헤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마케팅 부문 수석 부사장은 “센서 컨버지는 수십 년 동안 센서와 관련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에 중점을 둔 콘텐츠를 통해 설계 엔지니어링 주기 전반을 아우르는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전시회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며 “특히 이 전시회는 설계 및 구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행사로 평가받고 있으며 마우저가 이 의미 있는 산업 이벤트에 다시 참여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마우저는 이번 전시회에서 주요 핵심 기술과 새
아나로그디바이스(ADI)가 제시한 ‘자기 인식(Self-Aware) 모션 제어’ 개념이 산업 자동화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기존의 수동적 시스템에서 벗어나, 센서 입력과 시스템 성능을 실시간으로 비교·조정하며 스스로 최적화하는 자동화 시스템이 부상 중이다. 핵심은 적응형 제어 시스템이다. 이는 드라이브 시스템의 전기·기계적 모델을 기반으로 자동화 피라미드 전반에서 요청되는 성능 수준을 해석하고, 새로운 제어 파라미터를 생성해 동작을 조정한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 유지보수 비용 절감, 장비 수명 연장이라는 3대 효과를 동시에 노린다. 이 기술은 향후 인더스트리 4.0 시대에서 스마트 공장을 넘어 지능형 공장으로의 진화를 가속화할 핵심 축이 될 전망이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아나로그디바이스(ADI) 및 삼텍(Samtec)과 협력해 로보틱스,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ML) 기술이 제조 및 물류 등의 산업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조명한 새로운 전자책을 발간했다. ‘9인의 전문가가 제시하는 산업 애플리케이션에서 로보틱스, AI, 머신러닝의 역할(9 Experts Discuss Robotics, AI, and ML in Industrial Applications)’이라는 제목의 전자책에서 ADI 및 삼텍을 비롯한 여러 기업의 엔지니어들은 AI와 머신러닝이 어떻게 전례 없는 수준의 적응형 기능을 제조 현장에 도입하고 있는지 설명한다. 로봇은 AI 및 머신러닝을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패턴을 식별하는 것은 물론 실시간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됐다. 또한 이 전자책은 산업 자동화에 AI와 머신러닝을 통합하는데 필요한 ADI와 삼텍의 주요 솔루션도 함께 소개한다.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ADI의 TMCM-2611-AGV 브러시리스 DC(Brushless DC, BLDC) 모듈은 2축 서보 드라이브 플랫폼을 위한 레퍼런스 디자인이다. 이 모듈은 3상 BLDC 모터를 지원하며, RS4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 및 암페놀과 협력해 항공 분야의 발전을 지원하는 첨단 연결 기술 및 반도체 디바이스의 핵심 역할을 조명한 새로운 전자책을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11명의 업계 전문가가 제시하는 전기 모빌리티와 항공의 미래‘라는 제목의 전자책에서 ADI와 암페놀 등 여러 기업의 항공우주 분야 엔지니어는 항공기의 전동화 및 기체 중량 감소를 비롯해 첨단 배터리 관리 및 전력분배 시스템을 통한 전력 사용 최적화 등 항공 분야의 주요 동향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ADI와 암페놀은 이러한 목표 실현을 지원하는 포괄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DI의 LTC7890 및 LTC7891은 최대 100V의 입력 전압에서 N-채널 동기식 GaN(gallium nitride) FET(field-effect transistor) 전력단을 구동할 수 있는 고성능 DC-DC 스위칭 레귤레이터 컨트롤러다. GaN 디바이스는 고전압 및 고온 애플리케이션에서 실리콘 대비 더욱 뛰어난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항공기의 효율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ADI의 ADBMS6830B 다중셀 배터리 모니터는 최대 16개까지 직렬로 연결된 전기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가 자동차 산업의 전동화 전환을 가속화할 핵심 기술과 솔루션을 소개한다. 이번 자료에서는 자율주행, 전기차,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wBMS), 차량용 울트라커패시터 등 첨단 기술의 도입으로 격변하는 자동차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한다. 책자는 총 다섯 개의 주요 콘텐츠로 구성돼 있으며, 그중 가장 먼저 소개되는 기술은 GigE Vision 카메라를 대체할 수 있는 GMSL(Gigabit Multimedia Serial Link) 기술이다. 기존 산업용 및 자동차용 영상 시스템에서 널리 쓰이던 GigE Vision을 뛰어넘는 대역폭, 낮은 전력 소모, 소형화 등 다양한 이점을 통해 GMSL 카메라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조명한다. 이어서 소개되는 ADI Recharge 전동화 솔루션 포트폴리오는 EV 배터리의 수명 주기를 전방위적으로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특히,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중심으로 유선 및 무선 통신, 보안 인증, 실시간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엣지 인텔리전스까지 통합한 플랫폼 전략을 통해 EV의 총 소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청사진을 제시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은 전기차용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의 정밀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기반 ADIS1657x 관성측정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모듈을 공급한다고 3일 밝혔다. 3축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계를 내장한 ADIS1657x MEMS IMU는 공장 및 산업 자동화를 비롯해 건설 장비와 스마트 농업, 무인 및 산업용 자율 로보틱스 애플리케이션에서 내비게이션, 안정화, 계측 기능 등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내구성을 제공한다.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ADI의 ADIS1657x MEMS IMU 모듈은 가장 까다로운 환경에서도 최적의 동적 성능을 제공하는 통합 신호 컨디셔닝과 3축 자이로스코프 및 3축 가속도계를 포함하고 있다. ADIS1657x는 2,000g의 기계적 충격 내성을 갖추고 있으며, 출고 전 공장 보정을 통해 각 센서의 감도와 바이어스 및 정렬을 강화했다. ADIS1657x 모듈은 SPI 호환 데이터 통신과 3축 델타 각도 및 델타 속도 출력을 통한 맞춤형 프로그래밍 기능을 비롯해 자동 및 수동 바이어스 보정 제어, 동기식 데이터 수집을 위한 데이터 기반(data-r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미래를 여는 설계 콘테스트(Create the Future Design Contest)’의 플래티넘 후원사로서 올해도 후원을 지속한다고 1일 밝혔다. 이 콘테스트는 전 세계 엔지니어 및 혁신가들이 차세대 혁신 설계에 도전하는 글로벌 챌린지로 다양한 수상 기회를 제공한다. 마우저는 이 콘테스트를 10년 넘게 후원해 왔으며 마우저의 주요 제조사 파트너인 인텔 및 아나로그디바이스와 함께 공동 후원사로 합류했다. 이 콘테스트는 SAE 인터내셔널 컴퍼니의 계열사인 SAE 미디어 그룹과 테크 브리프 매거진이 주관하며, 콤솔도 주요 후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지금까지 콘테스트에는 100개국 이상의 엔지니어와 기업 및 학생들로부터 1만5000건 이상의 설계 아이디어가 제출됐다. 케빈 헤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마케팅 부문 수석 부사장은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것은 마우저의 가장 중요한 사명 중 하나다. 전 세계 엔지니어와 학생들에게 중요 기회를 제공하는 이 콘테스트의 후원사로 다시 합류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조셉 프램버거 SAE 미디어 그룹 사장은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고객과 제조사에게 탁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엔지니어들의 혁
산업 인프라 내 다양한 요소가 하나로 연동되는 ‘연결성(Connectivity)’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사물인터넷(IoT)·센서 등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머신러닝(Machine Learning)·딥러닝(Deep Learning)·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등 차세대 기술의 토대가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생성 주체 근방에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에지(Edge) 기술이 떠오르고 있다. 이 분산 컴퓨팅 기법은 기존 클라우드 방식 대비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고, 민감 데이터 유출 위험을 저감하는 기술로 주목받는다. 특히 AI 트렌드가 가속화됨에 따라, 에지 AI를 중심으로 한 ‘인텔리전트 에지(Intelligent Edge)’를 내세운다. 차성근 아나로그디바이스 상무는 “인텔리전트 에지는 에지 디바이스에서 곧바로 AI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혁신 방법론”이라며 “이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 관점에서 높은 연결성 기반 인프라를 요구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반도체 솔루션 업체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 Inc. 이하 ADI)’가 이 같은 영역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ADI는 산업 자동화(FA), 통신, 헬스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