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브레인AI는 21일 서울시와 서울경제진흥원(SBA)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하이서울기업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 인증은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갖춘 서울 소재 유망기업을 발굴해 지원하는 제도로 서울형 R&D, 해외 판로개척, 글로벌 마케팅 등 다양한 지원사업에서 가점 혜택이 주어진다. 하이서울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서울시의 공식 인증을 통해 대외 신뢰도와 기업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어, 기업의 국내외 경쟁력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된다. 딥브레인AI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바탕으로 사람과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다. 특히 실제 인물과 유사한 외형·목소리·표정을 구현한 AI 휴먼(AI Human) 기술은 금융, 교육, 공공, 미디어, 라이브커머스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효율적인 콘텐츠 제작과 사용자 맞춤형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분야에서 빠르게 확산 중이다. 또한 딥브레인AI는 글로벌 수준의 기술 및 보안 역량을 입증받으며 ▲AI 경영시스템 인증 ‘ISO/IEC 27001’ ▲정보보호 경영시스템 인증 ‘ISO/IEC 42001’ ▲미국공인회계사협회(AICPA) 개발 인증 ‘SOC 2 Type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부총리 간 첫 간담회를 열고, 국가 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 실현을 위한 부처 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부총리급 부처 승격 이후 처음으로 열린 부총리 간 회의로, 국정운영 효율화와 공동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협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구윤철 부총리는 회의에서 “경제와 산업, 과학기술은 긴밀히 연결돼 있다”며 “AI가 경제와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을 고려할 때, 경제정책의 큰 틀에서 종합적 접근과 범정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구 부총리는 AI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해 “핵심 부처 간 신속한 정보 공유와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대통령 주재 국가AI전략위원회를 적극 지원하고, 각 부처가 상호보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배경훈 부총리는 “AI를 비롯한 첨단과학기술은 경제사회 혁신과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의 핵심”이라며 “두 부총리 부처의 긴밀한 협력과 역량 결집을 통해 대한민국 AI 대전환, 과학기술 연구생태계 혁신, 안전한 AI·디지털 실현 등 주요 과제에 속도감 있게 대응해야
티맥스티베로가 오는 27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리는 ‘K-OpenSource X AI in Seoul 2025’에 참가해 AI 시대 데이터베이스 전략과 오픈소스 생태계 연계 방안을 제시한다. 이번 행사는 오픈소스, 인공지능(AI), 데이터, 인프라, 소프트웨어 기술을 아우르는 국내 대표 기술 컨퍼런스로, 국내외 주요 기업과 기술 리더들이 모여 AI 전환 전략과 오픈 생태계의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다. 박경희 티맥스티베로 대표이사는 이날 기조연설자로 나서 ‘데이터베이스 리더십과 오픈소스 전략, AI 생태계를 여는 힘’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박 대표는 AI 시대 DBMS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더불어 ▲AI 서비스 핵심 인프라로서의 데이터베이스 요건 ▲오픈소스 DB 및 액티브-액티브(Active-Active) 구조의 확장 전략 ▲비정형 데이터 검색·관리 ▲벡터 데이터베이스(Vector DB) 기반 AI 응용사례 등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전략을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LLM(대규모 언어모델) 기반 검색, 문서 이해, RAG(검색증강생성·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등 고도화된 AI 서비스 구현에서 Vector DB가 수행하는
베스핀글로벌은 지역 기반 창업기업 발굴 및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울산 지역을 비롯한 전국의 유망 창업기업을 발굴·육성하고,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양사는 ▲우수 창업기업 발굴 및 추천 ▲기술·경영·마케팅 등 분야별 멘토링 및 컨설팅 지원 ▲클라우드 및 AI 등 첨단 기술 인프라 제공 ▲AI 프로그램 공동 기획·운영 ▲기타 공동 협력 사업 추진 등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베스핀글로벌은 AI와 클라우드 분야에서 축적한 기술력과 기업 지원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기업의 기술 기반 구축과 사업 확장을 지원한다.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 네트워크와 창업 지원 노하우를 활용해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김헌성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대표이사는 “이번 협력은 지역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창업기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허양호 베스핀글로벌 코리아 대표이사는 “양사는 업무협약을 통해 클라우드와 AI 분야의 혁신 기술을 창업
EDB코리아는 재난 상황을 포함한 모든 시스템 장애에도 서비스 중단 없이 운영되는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업무 환경을 위한 무중단 서비스 구현 방안을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회사는 이를 위해 미션 크리티컬 환경에 최적화된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EDB Postgres Distributed(PGD) 6.0’을 활용해 공공 및 금융기관의 재해복구(DR) 시스템 혁신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김희배 EDB코리아 지사장은 “IT 담당자라면 예상치 못한 장애로 서비스가 멈추는 순간의 긴장감을 잘 알 것”이라며 “PGD는 장애가 발생해도 서비스가 멈추지 않는 확신을 주는 핵심 열쇠”라고 말했다. EDB가 제시한 구체적인 해법은 고가용성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인 PGD를 기반으로 한 무중단 서비스 구현이다. PGD는 단순한 스탠바이 복제를 넘어 모든 노드가 동시에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하는 ‘액티브-액티브(Active-Active)’ 구조를 지원해 장애 시에도 서비스 중단이 없는 초고가용성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PGD 6.0은 이전 버전 대비 최대 5배 향상된 처리량과 99.999%의 고가용성(HA)을 보장한다. 멀티 노드 양방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제4회 ETRI 휴먼이해 인공지능 논문경진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후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한국통신학회가 주최하는 ICTC 2025 국제학술대회와 연계해 학문적 완성도와 국내외 연구 교류의 폭을 넓혔다. 올해 대회 주제는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활용한 수면 품질 및 상태 예측’으로, 참가자들은 ETRI가 공개한 라이프로그(Lifelog)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해 논문 형태로 제출했다. 접수된 논문은 ICTC Workshop on ETRI Human Understanding AI Paper Challenge 세션을 통해 학술적으로 공유됐다. 이번 대회에는 총 370개 팀, 1034명이 참가했으며 그중 11개 팀이 최종 논문 심사까지 통과했다. 올해는 일반 성인도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형으로 진행돼 대학·연구기관은 물론 일반인과 해외 연구자들도 폭넓게 참여했다. 대상은 순천향대의 sch_csm 팀(이광섭, 최성민)이 수상했다. 이 팀은 12종의 멀티모달 센서 데이터로부터 770개의 시계열 특성을 도출하고, LightGBM과 CatB
토비(Tobii)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유럽 프리미엄 자동차 제조사를 위한 첨단 차량 내부 센싱 시스템의 대량생산을 시작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시스템은 주간과 야간 모두 시야 확보가 가능한 광시야각 카메라를 기반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 모니터링 기능(DMS·OMS)을 통합해 새로운 차원의 안전성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에이드리언 카파타 토비 오토센스 수석 부사장은 “이번 상용화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하나의 비전”이라며 “ST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엄격한 안전 기준을 충족하면서도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그는 “가시광선과 적외선(IR) 센싱을 결합해 사람의 존재, 행동, 상황을 정밀하게 인식하는 지능형 차량 내부 환경을 실현했다”고 덧붙였다. 알레상드르 발메프레졸 ST 수석 부사장 겸 이미징 서브그룹 사업본부장은 “토비와 협력해 신뢰성과 사용 편의성을 모두 갖춘 차량 내부 센싱 기술을 개발했다”며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역량을 빠르게 확장 중”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통합형 접근 방식을 통해 자동차 제조사들이 차량 내부에 단 하나의 카메라만 설치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LG전자가 픽셀 하나하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능동형 매트릭스(Active Matrix) 기술을 적용한 마이크로 LED 신제품 ‘LG 매그니트 액티브 마이크로 LED(LG MAGNIT Active Micro LED)’를 선보이며, 프리미엄 홈 시네마 환경을 한층 강화한다고 밝혔다. LG전자는 한국을 시작으로 북미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 LG 매그니트 신제품을 출시한다. LG 매그니트 라인업 최상위 모델인 이 제품은 136형(가로 약 3m·세로 약 1.7m) 크기에 4K(3840x2160) 해상도와 100만대 1 명암비를 지원한다. 능동형 매트릭스 기술을 적용해 픽셀 단위로 제어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수동형 매트릭스 제품 대비 섬세한 초고화질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 독자적 모듈 표면 처리로 빛 반사를 최소화하고 화면 깜빡임을 제거하는 플리커 프리 설계로 장시간 시청에도 눈의 피로를 줄였다. 제품 좌우에 내장된 스피커는 최대 4.2채널 입체음향과 총 100와트(W) 출력을 제공하며, eARC(enhanced Audio Return Channel)를 지원해 고품질 음원을 손실 없이 재생한다. 6세대 AI 알파9 프로세서를 탑재해 화면 노이즈를 조정하고, 얼굴·사물·글
코인 투자에서 ‘실사용 가치’로…코넛코인, 산업 활용 본격화 암호화폐 교육·콘텐츠·실물상품까지…단계별 협력 로드맵 가동 블록체인 기업 대체불가능회사와 의료인 연합체 서울다나운네트워크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암호화폐 ‘코넛코인(CONUT)’을 중심으로 한 실생활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이번 협약은 암호화폐의 실사용 사례를 의료 분야로 확장하려는 시도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양측은 협약을 통해 △코넛코인의 전략적 비축 및 배당 지급 △코넛 캐릭터 IP 기반 사업 협력 △코넛코인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생산·판매 △의료 서비스 접근성 개선 등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단순한 기술 제휴를 넘어, 블록체인 기술을 실생활 서비스와 연결하는 실질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대체불가능회사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코넛 뉴스레터’와 ‘퀴즈앱 코퀴즈(COQUIZ)’를 운영 중이다. 2025년 6월에는 자사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해 자체 암호화폐 ‘코넛코인’을 발행했으며, 이용자들은 퀴즈를 풀고 보상으로 코인을 받을 수 있다. 코넛코인은 단순한 투자 자산이 아닌, 콘텐츠 참여형 보상 구조를
오나인솔루션즈는 2025년 Gartner Peer Insights 보고서에서 공급망 계획(Supply Chain Planning) 솔루션 부문 ‘고객의 선택(Customers’ Choice)’에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는 총 16개 업체가 포함됐으며, 오나인솔루션즈는 ‘전반적 경험(Overall Experience)’과 ‘사용자 관심도 및 채택률(User Interest & Adoption)’에서 시장 평균 이상의 평가를 받은 유일한 소프트웨어 공급업체로 나타났다. 오나인솔루션즈가 받은 종합 평점은 5점 만점 기준 4.8점이며, 제품 기능, 배포 경험, 지원 서비스, 영업 경험 전반을 아우르는 평가를 반영했다. 보고서 발표 시점인 2025년 7월 31일 기준, 고객의 94%가 플랫폼을 추천하겠다고 응답했다. 회사는 이번 성과가 30개 이상의 산업에서 고객들이 o9 Digital Brain 플랫폼을 활용해 달성한 실질적 비즈니스 성과의 결과라고 밝혔다. 해당 플랫폼은 공급망, 영업, 재무 영역을 통합해 계획과 실행을 연결, 복잡한 글로벌 기업 환경에서 서비스 수준과 비용 효율, 성장 측면에서 성과를 개선하고 가치 손실(Value Leak
엑시스커뮤니케이션즈가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 오르체홀에서 개최한 연례 보안 행사 ‘엑시스 솔루션 컨퍼런스 2025’가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는 ‘Protect and Grow Your Business(비즈니스를 지키고 성장시키십시오)’를 주제로, 인공지능(AI)과 네트워크 기술을 결합한 지능형 보안 솔루션을 통해 기업의 보안 강화와 비즈니스 성장을 동시에 실현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엑시스는 행사에서 자체 개발한 9세대 시스템온칩(SoC) ‘ARTPEC-9’과 이를 탑재한 신제품 카메라를 공개했다. 이 칩은 딥러닝 기반 분석 기능을 강화했으며 업계 최초로 AV1 코덱을 지원한다. 강화된 사이버보안 성능과 고품질 이미징 기술을 더해 정밀하고 빠른 대응이 가능한 차세대 보안 플랫폼으로 주목받았다. 또한 비디오, 오디오, 레이더, 열화상, 환경 센서 등 다양한 데이터를 결합해 지능형 보안 환경을 구현하는 방법도 공유했다. 기조연설에서는 ARTPEC-9을 활용한 보안 혁신 방향이 집중 조명됐다. 레온 조우 엑시스 R&D 센터 디렉터는 “ARTPEC-9은 AI 기반 분석 성능을 대폭 강화해 보다 정밀하고 빠른 판단을
카스퍼스키가 2025년 3분기 국내 사이버 위협 동향을 분석한 결과, 로컬 위협 건수가 245만 4670건으로 집계되며 전 분기 대비 36.5% 증가했다고 밝혔다. 반면 인터넷 기반 공격은 98만 9110건으로 2분기 대비 62.1% 감소해 위협 양상이 오프라인 중심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7월부터 9월까지 국내에서 탐지된 웹 기반 및 로컬 기반 위협을 중심으로 분석됐다. 인터넷을 통한 공격 건수는 2분기 261만 3289건에서 98만 9110건으로 크게 줄었으며 브라우저 및 플러그인 취약점 패치와 보안 솔루션 탐지 효과가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그러나 USB, CD/DVD 등 외부 매체를 이용한 로컬 공격은 급증했다. 로컬 위협 노출 사용자 비율은 22.0%로 2분기 20.4%에서 1.6%p 상승하며 세계 순위도 75위에서 58위로 올라섰다. 카스퍼스키는 이러한 변화가 오프라인 매체를 통한 내부 전파와 사용자 행동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내부 네트워크 보안과 개인의 기기 관리가 위협 차단의 핵심으로 지목됐다. 회사는 클라우드 기반 위협 인텔리전스 인프라인 Kaspersky Security Network(KSN)를 통해 전
페스카로가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며 코스닥 상장 절차에 돌입했다. 상장 대표 주관사는 NH투자증권, 공동 주관사는 한화투자증권이다. 이번 상장을 통해 페스카로는 총 130만 주를 공모할 계획이며 희망 공모가는 1만 2500원에서 1만 5500원 수준이다. 공모 예정금액은 162억 원에서 201억 원 규모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은 11월 21일부터 27일까지 5일간 진행된다. 청약은 12월 1일과 2일 양일간 진행될 예정이며 연내 코스닥 시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페스카로는 2016년 자동차 전장시스템 전문가와 화이트해커 출신 인력이 주축이 되어 설립된 차량 통합보안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제어기 단위의 보안을 넘어 차량 전체 시스템과 라이프사이클을 포괄하는 통합보안 체계를 구축했으며 이미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에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차량 통합보안 플랫폼은 전장제어기에 최적화된 보안 솔루션, 차량 전체 통신을 보호하는 게이트웨이 제어기, 공급망 전반을 관리하는 자동차 사이버보안 전용 IT솔루션으로 구성된다. 자동차 산업이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사이버보안 관리의 복잡성이 높아지고 있다. 페스카로는 이를 대응하기 위해 엔
SK텔레콤은 자사의 AI 거버넌스 체계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the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에 소개하고, 책임 있는 AI 구현과 디지털 거버넌스에서 인권의 핵심적 역할을 주제로 논의를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SKT 차호범 CPO는 최근 을지로 SKT 본사를 방문한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팀 엥겔하르트 인권담당관 등에게 2024년 자체 수립한 AI 거버넌스 기본 원칙 ‘T.H.E. AI’와 최근 공식 오픈한 ‘AI 거버넌스 포털’을 소개하며 지속가능한 AI 생태계 조성 활동을 설명했다. ‘T.H.E. AI’는 통신기술 기반의 연결과 신뢰를 의미하는 ‘by Telco’, 사람 중심의 다양성과 포용, 인류 복지 증진을 목표로 하는 ‘for Humanity’, 윤리적 가치 중심의 결정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조하는 ‘with Ethics’의 약자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SKT가 AI 서비스 전 생애주기에 걸쳐 위험을 식별하고 피해를 예방하려는 노력과, 인권 존중 기반의 AI 개발·활용 방안을 기업과 논의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SKT는 ‘T.H.E.
페르세우스가 국제 인증기관 DNV로부터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 표준 ISO 26262의 최고 등급인 ‘ASIL-D’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은 CPU와 MCU 하이퍼바이저 모두에서 해당 인증을 받은 것으로 자동차 산업 내 기능 안전의 새 기준을 세웠다는 평가다. ISO 26262는 자동차 전기·전자 시스템의 기능 안전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으로, ASIL은 위험의 심각성·발생 가능성·제어 가능성에 따라 A부터 D까지 구분된다. 이 중 ASIL-D는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 보증을 요구하며 독립 인증기관의 기술 검증과 절차 준수를 모두 통과해야 한다. 페르세우스는 이번 인증 과정에서 안전 핵심 구성요소 식별, 기능 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 결함 주입 및 이중화 검증, 독립적 기능 안전 평가 등 복합적 프로세스를 모두 완료했다. 이번 성과로 페르세우스는 글로벌 완성차 및 주요 부품 공급업체의 필수 기능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하게 됐다. ISO 26262 ASIL-D는 협력사 선정의 핵심 기준으로 이를 확보한 기업만이 차량용 하이퍼바이저를 상용화할 수 있다. 페르세우스는 이번 인증을 통해 해외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고 새로운 칩셋 출시에 맞춰 하이퍼바이저를 더 빠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