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2030 제조 최강국 목표...산업부, AI 팩토리 전략 회의 개최

URL복사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AI 팩토리 M.AX 얼라이언스 전략 회의’를 열고 2030년 제조 최강국 도약을 위한 성과와 향후 전략을 점검했다. 이번 회의에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에너지, 삼성중공업, 한화시스템, LS전선, HD현대중공업, 농심 등 주요 기업들이 참여했다.

 

AI 팩토리 선도사업은 제조 공정에 AI를 접목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과 탄소 배출을 줄이는 프로젝트다. 삼성전자는 AI 기반 불량 식별로 HBM 반도체 검사 정확도를 99% 이상 향상시키고 검사 시간을 25% 단축할 계획이다.

 

HD현대중공업은 선체 오염 제거와 재도장 작업을 수행할 MRO 로봇을 개발해 연료 효율과 안전성을 높인다. 현대자동차는 다양한 조립·검사 공정을 수행할 AI 다기능 로봇팔을 개발해 셀 기반 생산 전환에 대응하며 생산성을 30% 이상 높인다. 농심은 라면 제조설비에 자율정비 시스템을 도입해 설비 효율성과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추진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제조 현장에 휴머노이드 로봇을 투입하는 실증 계획도 공개됐다.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이로봇, 로브로스, 홀리데이로보틱스 등이 각각 삼성디스플레이, 대한통운,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LG전자, SK에너지 공장에서 용접, 물류, 가전, 석유화학 공정을 대체하는 실증사업을 진행한다. 산업부는 2027년까지 100개 이상 휴머노이드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2028년부터 양산체계에 돌입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AI 팩토리 선도사업은 102개 과제가 진행 중이며, GS칼텍스는 연료비 20% 절감, HD현대미포는 작업시간 12.5% 단축, 티와이엠은 생산성 11% 향상 등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대덕전자와 신한다이아몬드도 AI 검사 도입으로 품질 검사 시간을 각각 90%, 30% 단축했다.

 

또한 AI 팩토리 얼라이언스는 업종별 제조 AI 모델 개발에 착수했다. 윤병동 원프레딕트 대표, 고영명 포항공대 교수, 최재식 인이지 대표가 공동 위원장을 맡고, 조경현 뉴욕대 교수, 한소연 멜버른대 교수 등 총 23명의 전문가가 참여한다. 이 모델은 선도사업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돼 2028년 배포될 예정이다. 제조 현장에서는 개발 비용 50%, 개발 시간 40%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산업부는 AI 팩토리 사업을 확대·개편해 제조 공정뿐 아니라 공장 설계, 공급망, 물류, A/S 등 전 단계를 아우르는 자율형 공장 체계를 구축하고,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가상공장도 도입할 계획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AI 시대는 속도의 전쟁”이라며 “대한민국 제조업이 가진 역량과 데이터를 활용해 세계 1위 제조 AI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