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학계 총동원해 아이디어부터 시제품 개발까지 전 과정 멘토링 실시
이공계 학생 진로 다양화 및 미래 인공지능(AI) 인재 양성 ‘순항’
포스코DX의 미래 인공지능(AI) 인재 양성 프로그램 ‘2025 AI Youth Challenge’이 지난달 26일 열렸다.
현장에는 AI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들로 채워졌다. 올해로 6회째를 맞이한 이번 대회는 전국 중·고등학생이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인간 중심의 AI’를 주제로 아이디어와 개발 역량을 선보였다. 청소년 문제, 환경, 안전 등 생활 속 변화를 이끌 AI 아이디어가 공유됐다.
아이디어 제출과 프로그램 코드 구현 과정에는 총 211개 팀 553명이 참가해 지난해보다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어 본선 진출 팀은 두 차례의 심사를 거쳐 최종 6개로 확정됐다. 이들은 여름방학 동안 포스코DX 소속 AI 엔지니어와 서울대학교 AI연구원으로 구성된 멘토진의 집중 멘토링을 받았다. 이를 통해 아이디어를 실제 시제품으로 구현한 학생들은 이날 시연과 발표를 통해 우승팀을 가렸다.
심사 결과, 대상에 해당하는 교육부장관상은 AI·드론 융합 산불 예방 시스템을 개발한 ‘떠라드론’이 수상했다. 포스코DX사장상은 시각장애인 보행을 돕는 대화형 AI 주행 로봇을 개발한 ‘Null’이,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장상은 정밀 작업을 위한 지능형 조명 로봇팔 시스템을 개발한 ‘영광’팀이 각각 차지했다. 이외에도 교통약자 보행신호 연장 시스템, 휠체어 전방 위험물 감지 시스템, 최적 항로추천 시스템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현실로 구현됐다.
이공계 청소년들의 진로가 특정 분야에 집중되는 가운데, 이번 공모전은 AI 개발자에 도전하는 청소년들이 기업과 학계의 지원을 통해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행사라는 평가다. 참가 학생들은 직접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AI 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을 경험하며 미래 AI 업계 주역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직원 AI 역량 강화를 통한 업무혁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일환으로 지난 6월 AI 솔루션 개발대회인 ‘WX제로톤 대회’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11개 회사 20개 팀이 참가해 노코딩(No-coding) 기반 AI 솔루션을 도출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