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정부, 1.8조 AI 추경 단행...GPU 1만 장·국가대표 AI 5곳 키운다

URL복사

 

11월부터 시작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에 GPU 1만장 규모 도입 계획 밝혀

 

정부가 국내 AI 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총 1조8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투입한다. AI 컴퓨팅 자원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대표 AI 모델을 개발할 유망 기업을 선정해 집중 지원하는 전략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18일 임시국무회의를 통해 심의된 AI 추경 예산 가운데 약 1조4600억 원을 활용해 오는 11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에 GPU 1만장 규모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GPU 도입은 엔비디아의 H200과 블랙웰을 기준으로 추산됐으며, 참여 기업이 국내 여건과 비용 효율성을 고려해 최종 모델을 선택하게 된다. 

 

센터 개소 전에는 민간 클라우드 기업들이 보유한 GPU 2600장을 AI 기업이 빌려 쓸 수 있도록 예산 1723억 원이 배정됐다. 특히 이 중 2000장은 차세대 대표 AI 모델을 개발할 ‘월드 베스트 거대언어모델(WBL)’ 프로젝트에 참여할 최대 5개 팀에 우선 지원된다. WBL 프로젝트에는 GPU 외에도 텍스트 및 멀티모달 데이터, 국내외 최고 수준의 인재 확보, 연구 자금 등이 포함되며, 최대 3년간 총 1936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공모는 다음 달 시작돼 8월 중 결과가 공개될 예정이다. 

 

국내 AI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실증 사업 예산도 기존 298억 원에서 752억 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정부는 GPU 구매 시 일정 비율을 국내 스타트업이 개발한 NPU로 조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퓨리오사AI, 리벨리온 등 잠재력 있는 기업의 기술 상용화를 앞당기고, AI 반도체 자립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복안이다. 

 

한편, WBL로 선정된 개발사에는 컴퓨팅 자원 외에도 국내외 고급 인재 유치가 가능하도록 1팀당 최대 연 20억 원 규모의 인건비·체재비가 매칭 지원된다. AI와 과학기술 융합 분야 박사후 연구원 400명에게는 최고 수준의 처우가 보장되며, 관련 예산 300억 원도 함께 편성됐다. 정부는 이번 WBL 프로젝트가 언어, 영상, 특화 분야 버티컬 모델 등 다양한 AI 영역을 포괄할 수 있도록 개방형 구조로 운영하며, 개발된 모델은 공공 서비스 연계와 함께 국산 NPU 적용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 AI 기술력 향상과 국민 관심 제고를 위해 AI 챌린지도 기획 중이다. ‘흑백요리사’와 같은 대중적인 예능 형식을 차용한 이 챌린지는 영상 생성, 음성 합성 등 멀티모달 AI를 주제로 팀별 경쟁을 유도하는 방식이며, 총 100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우수 팀은 후속 연구비도 추가 지원받는다. 

 

유상범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경쟁은 시간 싸움이다. 1년 늦으면 3년 뒤처진다는 절박한 자세로 이번 사업을 준비했다”며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실질적 기반을 이번 추경을 통해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