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달러 환율이 9일 미국 상호관세 발효에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을 경신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가)는 전날보다 10.9원 오른 1484.1원을 기록했다. 간 거래 종가 기준으로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 12일(1496.5원) 이후 16년여 만에 최고치다.
환율은 전날보다 10.8원 오른 1484.0원으로 출발한 뒤 9시 10분께 1487.6원까지 올랐다. 오전 중 1476.9원까지 반락했던 환율은 미국 상호관세가 정식으로 발효된 오후 1시께 다시 1487원 선까지 반등한 뒤 내내 1480원대에서 움직였다.
미국 상호관세가 발효되고 미·중 간 관세 갈등이 고조되면서 시장에는 위험회피 심리가 확산했다. 미국 상호관세 발효에 따라, 이날부터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물품에는 일단 25%의 관세가 붙게 됐다. 전날 오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며 관세 협의를 시작했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미국은 이날부터 중국에 104%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애초 지난 2일 발표할 당시 중국의 국가별 상호관세는 34%였으나 중국이 맞불 관세를 예고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5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응수하면서 대(對)중 관세는 104%가 됐다. 미국의 위협에 중국도 물러서지 않으면서 양국 간 관세 갈등은 점차 격화하는 분위기다.
이날 외국인의 국내 증시 매도세도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보다 40.53포인트(1.74%) 내린 2293.70으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들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1조7억 원을 순매도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70% 하락한 102.216 수준이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1020.91원이다. 지난 2022년 3월 17일(1,022.27원) 이후 3년여 만에 가장 높았으며,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998.68원)보다 22.23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12% 내린 145.38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