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스트라드비젼의 로드맵 “모듈러서 E2E로 진화하는 비전 AI“

URL복사

 

다양한 산업군 위한 자율주행 L3/L4 솔루션으로 기술 포지션 확장할 계획

 

스트라드비젼이 자율주행 시장의 고도화 흐름에 대응해 3개년 제품 개발 로드맵을 발표했다.

 

핵심은 오는 2027년까지 차세대 자율주행 솔루션인 ‘멀티비젼(MultiVision) Gen 2’를 완성하는 것이며, 이르면 2026년 CES를 통해 프로토타입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전략은 자율주행 레벨 3 이상을 겨냥한 투트랙 개발 방식을 중심으로, Vision AI 기반 인식 기술의 고도화를 바탕으로 한다.


스트라드비젼은 현재 L2/L2+ 수준의 ADAS 상용 솔루션을 제공 중이며, 이번 로드맵을 통해 로보택시, 물류, 농업, 대중교통 등 다양한 산업군을 위한 자율주행 L3/L4 솔루션으로 기술 포지션을 확장한다. 특히 단순 인식 기술에 머무르지 않고, 주행 계획(Planning), 경로 예측, 제어까지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 구축을 목표로 한다. 초기에는 기능별 모듈러 구조로 시작해, 이후에는 엔드투엔드(E2E) 구조로 발전시키는 단계별 접근 방식을 취한다.


새롭게 공개된 멀티비젼 Gen 2는 기존의 전방 인식과 주변 인식을 결합했던 Gen 1 대비, 총 11개의 카메라 채널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현재 상용화된 L3 자율주행 차량보다 많은 수의 카메라 채널을 기반으로 하며, 정밀한 환경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HD 지도 없이도 자율주행이 가능한 HD-Mapless 방식의 ADS L3/L4 구현을 목표로 한다. 이로써 기존의 지오펜싱(Geo-fencing) 기반 자율주행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도로 환경에서도 주행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멀티비젼 Gen 2 개발에는 Vision Transformer와 VLM(Vision Language Model) 등 최신 AI 기술이 적극적으로 도입된다. 스트라드비젼은 이를 통해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 일관된 인식 정확도를 확보하고, 고객사의 카메라 구성과 자율주행 단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개발 중이다. 특히 SoC(System-on-Chip) 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양산 가능한 임베디드 솔루션으로 구현할 계획이다.


스트라드비젼 김준환 대표는 “멀티비젼 Gen 2는 당사의 독자적인 인식 알고리즘과 최신 AI 기술을 접목한 진화된 솔루션”이라며 “운전자와 보행자의 생명을 보호한다는 창업 이념을 기술로 실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2027년까지 멀티비젼 Gen 2의 상용화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도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3개년 로드맵 발표는 스트라드비젼이 자율주행 기술의 고도화와 시장 확대를 본격화하겠다는 선언으로 해석된다. 특히 멀티비젼 Gen 2는 HD-Mapless 기술, 최신 AI 모델 통합, 고유의 인식 알고리즘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차세대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