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산하 인공지능 전문기관 서울 AI 허브가 국내 AI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서울 AI 허브는 프랑스 VivaTech을 시작으로 싱가포르 AIMX, 미국 TechCrunch Disrupt, CES 등 주요 글로벌 기술 전시회에 허브기업들을 연계해 전시, 투자자 미팅, 현지 네트워크 연결 등 전방위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사업’은 단순한 해외 전시 참가를 넘어, 각 행사에서 ▲현지 시장 진출 프로그램 ▲글로벌 IR 및 네트워킹 ▲현지 파트너 미팅 ▲공식 IR 피칭 및 데모 참여 등 실질적 시장 검증 및 사업화 연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지난 6월 열린 프랑스 VivaTech 2025에 참여한 5개사(스튜디오랩, 포디아이비전, 피아스페이스, 큐빅, 플립션코리아)는 유럽 현지 대기업 및 투자자들과 실질적 비즈니스 기회를 타진했다. 스튜디오랩은 사진 촬영 로봇 기반의 AI 솔루션을 통해 LVMH, 로레알, H&M Ventures, 디즈니 등과 투자 협의 및 미팅을 가졌으며, 피아스페이스는 다국적 파트너들과 영상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협력 논의를 이어갔다. 서울 AI 허브는 오는 10월 미국 샌프
다양한 산업군 위한 자율주행 L3/L4 솔루션으로 기술 포지션 확장할 계획 스트라드비젼이 자율주행 시장의 고도화 흐름에 대응해 3개년 제품 개발 로드맵을 발표했다. 핵심은 오는 2027년까지 차세대 자율주행 솔루션인 ‘멀티비젼(MultiVision) Gen 2’를 완성하는 것이며, 이르면 2026년 CES를 통해 프로토타입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전략은 자율주행 레벨 3 이상을 겨냥한 투트랙 개발 방식을 중심으로, Vision AI 기반 인식 기술의 고도화를 바탕으로 한다. 스트라드비젼은 현재 L2/L2+ 수준의 ADAS 상용 솔루션을 제공 중이며, 이번 로드맵을 통해 로보택시, 물류, 농업, 대중교통 등 다양한 산업군을 위한 자율주행 L3/L4 솔루션으로 기술 포지션을 확장한다. 특히 단순 인식 기술에 머무르지 않고, 주행 계획(Planning), 경로 예측, 제어까지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 구축을 목표로 한다. 초기에는 기능별 모듈러 구조로 시작해, 이후에는 엔드투엔드(E2E) 구조로 발전시키는 단계별 접근 방식을 취한다. 새롭게 공개된 멀티비젼 Gen 2는 기존의 전방 인식과 주변 인식을 결합했던 Gen 1 대비, 총 11개의 카메라 채널을 지원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