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턴다이내믹스 사족 보행 로봇 ‘스팟(SPOT)’에 ‘피지컬 AI(Physical AI) 플랫폼’ 이식 온디바이스 AI(On-device) 기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적용 실시간 AI 추론 및 상황 예측 기능 탑재 예고해 인티그리트가 현대·기아자동차 그룹의 로봇 계열사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의 사족 보행 로봇 ‘스팟(Spot)’에 피지컬 AI(Physical AI)를 이식한다. 고도화된 기술을 업은 이 로봇은 인공지능(AI) 기반의 추론을 통한 자율주행 성능이 특징이다. 피지컬 AI를 구현하기 위해 온디바이스 AI(On-deviece) 기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플랫폼을 내재화했다. 이를 통해 실시간 AI 추론, 위험 예측, 로봇 행동 모델 통합 및 표준화 등을 구현한다. 사측에 따르면, 이는 다양한 환경과 상황이 혼재된 현장에서 다종·이기종 로봇을 통한 안전 관리를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피지컬 AI 플랫폼 기반 로봇 기능 구도화와 대응 체계 구축은 업계 최초 사례라며 덧붙였다. 인티그리트는 하이닉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하이닉스 반도체 제조 현장에 스팟을 도입한다. 양사의 이번 협업은 기존 스팟이
실시간 추론 강화한 온디바이스 RFM(On-device Robotics Foundation Model) 플랫폼 공개 클라우드 의존성 벗어나 저전력·초저지연 AI 구동…로봇의 현장 활용성 극대화 보스턴다이내믹스 '스팟'에 플랫폼 공급, 기술력 입증하며 하반기 공식 판매 개시 인티그리트가 사족 보행 로봇과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개발·고도화를 지원하는 온디바이스 RFM(On-device Robotics Foundation Model) 플랫폼 ‘에어패스 V4 맥퀸(AirPath V4 McQueen) 개발 키트’를 발표했다. 이번 새 플랫폼은 컴퓨팅 자원의 한계와 클라우드 AI(인공지능)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기존 로봇의 제약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실시간 추론과 현장 내 AI 확장성을 극대화하고, 로봇의 효용성을 극대화할 기술로 평가된다. 특히 로봇·드론·사물인터넷(IoT) 등 고성능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 기기를 위한 시스템온칩(SoC) ‘퀄컴 드래곤윙 QCS8550(Qualcomm Dragonwing QCS8550)’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토대로 온디바이스 AI 추론 성능을 제공해 저전력·초저지연·보안성
20억 원 규모 프리A 시리즈 투자 유치 달성 자체 수집 현실 데이터 기반 산업용 로봇용 AI 모델 개발·상용화 박차 테파로보틱스가 20억 원의 프리A 시리즈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초기 투자사인 퓨처플레이(Futureplay)가 후속 투자를 단행했고, IBK벤처투자·산은캐피탈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사측은 이에 대해, 로봇이 실제 공간에서 움직이며 작업하는 차세대 솔루션인 자사 ‘피지컬 AI(Physical AI)’ 기술 역량 및 잠재력을 높이 평가한 결과라고 밝혔다. 피지컬 AI는 로봇의 두뇌를 담당하는 기술이다. 로봇이 실제 환경을 정확하게 인식·이해하고, 인간·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는 로보틱스 분야 차세대 솔루션이다.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NVIDIA) 최고경영책임자(CEO)가 지난 1월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에서 언급하면서 글로벌 기술 트렌드로 급부상했다. 테파로보틱스는 이러한 피지컬 AI가 활발하게 활용되는 산업용 로봇에 적용하며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특히 일본 도쿄대학교 AI 박사 학위를 보유한 박정혁 대표와 산업용 로봇 제조사 화낙(FANUC) 출신의 백종현 최고기술책임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