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리서치가 발간한 ‘2025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산업 및 기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마이크로-LED TV 생산 능력은 2023년 연간 5만 대 수준에서 2030년 약 600만 대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체 마이크로-LED 시장 규모는 약 13억 달러(13억 42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로-LED는 OLED보다 밝기, 수명, 내구성이 뛰어난 자발광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로, 번인 우려가 없고 색재현력과 시인성이 우수하다. 대형 디스플레이부터 초소형 AR·VR 기기까지 적용 범위가 넓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유비리서치는 생산 효율 개선과 제조 원가 절감이 맞물리면서 2027년 이후 본격 상용화가 시작되고, 2028년부터는 연평균 50% 이상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 확대 요인으로는 ▲프리미엄 TV 수요 증가 ▲생산 인프라 확충 ▲응용 분야 다변화 ▲가격 경쟁력 강화를 꼽았다. 유비리서치 김주한 애널리스트는 “마이크로-LED 확산의 핵심은 epi wafer 안정 공급”이라며 “2026년 이후 MOCVD 발주가 확대되고, 2030년까지 wafer 생산량이 현재의 10배 수준으로 늘어날
낮은 온도에서 원자층 두께의 막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입힐 수 있는 공정 기술이 개발됐다. UNIST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 및 신소재공학과 서준기 교수팀은 중국과학원 선전선진기술연구원 Feng Ding 교수, 세종대학교 김성규 교수, UNIST 정창욱 교수팀과 함께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법(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을 활용해 200도의 저온에서 주석 셀라나이드계 소재별 맞춤형 공정법으로 얇은 막을 웨이퍼 단위의 대면적에 증착시킬 수 있는 박막 증착 공정법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기금속화학기살증착법은 화학반응에 참여하는 기체상의 전구체를 활용해 우수한 정밀성을 가지는 차세대 공정법이다. 반도체의 재료가 되는 웨이퍼 정도의 큰 면적에도 박막을 증착시킬 수 있다. 하지만 반응물을 합성시키기 위해선 650도 이상의 높은 온도로 리간드를 분해해야 했다. 연구팀은 전자소자, 광학소자, 열전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중인 2종의 주석 셀레나이드계 물질(SnSe2, SnSe)에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법을 적용했다. 2종의 주석 셀레나이드 박막 모두 웨이퍼 단위의 수 나노 수준 두께로 균일하게 증착시켰다.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