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퀀텀 네트워크의 250개 이상 글로벌 기업·기관과 기술 공유 앞둬 큐노바(Qunova Computing)가 IBM의 양자 소프트웨어 생태계에 합류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다. 큐노바는 자사의 고성능 양자화학 해석 알고리즘 HI-VQE(Handover Iteration Variational Quantum Eigensolver)를 IBM의 '키스킷 펑션 카탈로그(Qiskit Functions Catalog)'에 공식 등록했다고 3일 밝혔다. 이로써 큐노바는 IBM 퀀텀 네트워크의 250개 이상 글로벌 기업·기관과 기술을 공유할 수 있게 됐다. IBM 퀀텀 네트워크는 자동차, 항공우주, 제약, 금융 등 고난도 최적화 문제 해결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주체들이 참여하는 협력 플랫폼이다. 큐노바의 HI-VQE 알고리즘은 기존 VQE 방식이 가진 연산 복잡성 문제를 해결한 것이 핵심이다. 특히 파울리 연산자 측정을 제거해 전체 계산 구조를 단순화하고, 기존보다 최대 1000배 이상 효율적인 연산이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슈퍼컴퓨터와 양자컴퓨터의 하이브리드 구조를 활용해 속도와 정밀도를 동시에 확보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큐노바는 이를 기반으로 철
리멤버앤컴퍼니가 송기홍 전 IBM 아세안-한국 총괄대표를 각자대표로 선임했다고 1일 밝혔다. 새롭게 선임된 송기홍 대표는 리멤버의 사업부문을 맡아 조직의 체계와 시스템을 정비해 핵심 사업의 성장 및 성과 가속화에 주력한다. 창업자인 최재호 대표는 총괄대표로서 회사의 장기적인 비전 설계와 기술경쟁력 강화, 신규 사업 등을 챙기며 미래 성장 동력 발굴에 힘을 쏟는다. 송기홍 신임 대표는 IBM 아세안-한국 총괄대표로서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양자컴퓨팅 등 IT분야 사업을 진두지휘하며 회사의 체질 개선과 성장을 이끈 경영 전략 전문가다. 이전에는 전략 컨설팅사 모니터그룹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표, 딜로이트 컨설팅 대표로서 20여 년간 국내외 유수 기업들의 성장 및 글로벌 전략을 제시해 성공으로 이끈 바 있다. 송 대표는 취임사를 통해 “리멤버는 대한민국 대표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성장할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갖춘 회사로 직장인 회원을 기반으로 인재 채용을 넘어 세일즈·마케팅 등의 영역에서 이미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면서 “앞으로 리멤버가 한국을 넘어 아시아 시장에서 비즈니스 성장의 핵심 파트너로 도약해 나가는 여정에 함께하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최재호 리
서비스나우(ServiceNow)가 한국 대표로 현상준 신임 대표를 선임했다. 현상준 신임 대표는 IT 및 비즈니스 컨설팅 업계에서 30년 이상 디지털 혁신을 통해 가치를 창출해온 전문가다. IBM과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컨설팅에서 글로벌 파트너로 활동하며 IT 컨설팅 및 아웃소싱 사업을 주도했다. 2019년부터는 SAP 코리아에서 서비스 영업 부문에 이어 Corporate 사업 부문을 총괄하며ERP, HR, 플랫폼, 고객 경험 관리 솔루션 등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비즈니스를 이끌었다. 현 신임 대표는 서비스나우의 한국 사업을 총괄하며 서비스나우 플랫폼을 통해 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고, 국내 고객 및 파트너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현상준 대표는 “기업들이 비즈니스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하고 AI 에이전트를 비롯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고객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서비스나우에 합류하게 돼 기대가 크다”면서 “한국 고객이 직면한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고 일하는 방식에 변화를 가져올 차세대 AI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멜리사 리스 서비스나우 아시아 및 한
비전 언어 모델(VLM) 포함 및 연쇄적 사고 기능 추가돼 IBM이 기업용 거대 언어 모델(LLM) '그래니트(Granite) 3.2'를 출시했다. 이번 버전은 기존 모델 대비 크기를 줄이면서도 성능을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IBM은 이를 통해 기업들이 AI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그래니트 3.2 모델은 아파치 2.0 라이선스 하에 허깅 페이스에서 제공되며, IBM 왓슨x.ai, 올라마, 리플리케이트, LM 스튜디오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즉시 활용 가능하다. 또한,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 AI 1.5에서도 곧 제공될 예정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문서 해석 작업을 지원하는 비전 언어 모델(VLM)이 포함됐다. 해당 모델은 DocVQA, ChartQA, AI2D, OCRBench 등의 벤치마크에서 기존 대형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보였으며, IBM은 8500만 개의 PDF를 처리하고 2600만 개의 질문-답변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픈소스 도구 '도클링'을 활용해 성능을 강화했다. 추론 성능 향상을 위한 ‘연쇄적 사고’ 기능도 추가됐다. 이를 통해 8B 모델은 아레나하드, 알파카이벨과 같은 벤치마크에서 두 자릿수 이상의 성능 향
쿠팡Inc가 글로벌 혁신을 선도하는 정보기술(IT) 기업으로 인정받았다. 쿠팡Inc는 20일(현지시간) 미국계 글로벌 특허 분석 기업 렉시스넥시스(LexisNexis)가 선정한 ‘2025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에 포함됐다. 렉시스넥시스는 바이오·정보기술(IT)·자동차·반도체 등 여러 산업을 아우르는 1600만 개 글로벌 특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매년 글로벌 혁신 기업 100곳을 선정한다. 쿠팡은 이번에 IBM, 메타, 알파벳, 에릭센 등을 비롯한 12개 IT 분야 글로벌 기업 가운데 하나로 뽑혔다. 쿠팡이 글로벌 혁신기업에 이름을 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쿠팡 측은 “특허 인용 횟수가 늘면서 순위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렉시스넥시스는 특히 쿠팡의 특허 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점에 주목했다. 쿠팡이 보유한 글로벌 특허 수는 지난 2019년 160개에서 현재 2100개로 13배로 급증했다. 이를 토대로 190여개 국가와 지역에서 유통과 음식 배달, 온라인동영상(OTT), 핀테크 등의 다양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렉시스넥시스는 쿠팡이 보유한 특허 포트폴리오의 품질이 업계 평균보다 네 배 가까이 강력하다고도 평가했다. 마르코 리히터 렉시스넥시스
IBM 기업가치연구소와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연구에서 전 세계 기업 평균 29개 공급업체가 제공하는 83개 보안 솔루션을 활용 시 보안 복잡성 문제에 직면했다고 밝혔다. 보안 플랫폼화 수준이 높은 기업 10곳 중 7곳은 사이버 보안 투자가 운영 효율성 향상 및 매출 증대로 이어졌다고 답했다. 팔로알토 네트웍스와 IBM이 발표한 ‘사이버보안 가치 창출(Capturing the cybersecurity dividend: How security platforms generate business value)’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임원 중 52%가 사이버 위협 대응 역량 제한 요소로 보안 솔루션 단편화를 꼽았다. 반면 보안 플랫폼화를 도입한 조직 75%는 보안·하이브리드 클라우드·AI 및 기술 플랫폼 간 통합이 필수적이라고 답했다. 증가하는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더 많은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는 것이 오히려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성과 및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보안 플랫폼화 접근 방식으로 전환하면 보안 효과는 유지하되 대응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됐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기업 임원은 보안 시스템의 단편화와 복잡성으로 인해 평균 5
인공지능(AI) 개발에서 개방형 전략을 펴고 있는 IBM의 연구진들은 30일(현지시간) AI 모델이 앞으로 개별 기업의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소형화, 전문화하고 비용도 지속해서 낮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최근 세상을 깜짝 놀라게 만든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은 이런 흐름에 부합하는 개방형 혁신의 결과물로, 갑자기 새로 등장한 기술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IBM 연구소의 닉 풀러 AI·자동화 부문 부사장은 이날 미국 뉴욕주 요크타운하이츠의 IBM 왓슨 연구소에서 연 외신기자단 초청 설명회에서 "목적에 맞는 AI 모델을 만드는 것은 IBM이 지속해서 추구해온 방향"이라며 이처럼 말했다. IBM은 2023년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을 비롯해 다수의 기업, 연구기관과 함께 오픈소스 커뮤니티 'AI 얼라이언스'를 맺고 개방형 AI 모델을 추진하는 전략을 펼쳐왔다. 오픈소스 커뮤니티 참여 주체들은 코딩에 활용하는 AI 모델을 누구나 활용하도록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IBM도 2023년 대규모언어모델(LLM)에 기반한 AI 기반모델 제품군인 그래니트 시리즈를 공개한 바 있다. 풀러 부사장은 자사의 그래니트 모델 중 일명 '전문가 혼합(mixtur
IBM은 최근 ‘인공지능(AI)의 투자수익(ROI)’ 보고서를 발표하고 기업들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AI에 투자하고 있으며 향후 ROI와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 오픈소스 도구를 사용하는 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글로벌 리서치 기업 모닝 컨설트와 로페즈 리서치가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2400명 이상의 IT 의사결정권자(ITDM)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응답자의 85%는 2024년에 계획한 AI 전략을 실행했다고 답했는데 거의 절반에 달하는 47%는 이미 AI 투자에서 긍정적인 ROI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3%는 손익분기점을 넘겼다고 답했고 14%만이 마이너스 ROI를 기록 중이라고 답했다. 기업들이 AI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데는 전통적인 ROI 지표가 아닌 다른 지표를 통해 분석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AI 투자로 인한 ROI를 계산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세 가지 지표로 소프트웨어 개발 속도 향상(25%), 혁신 속도 향상(23%), 생산성 개선으로 인한 시간 절약(22%)을 선택했다. 금전적/정량화 가능한 비용 절감은 15%로 4위에 그쳤다. 또 응답자의 31%는 혁신
로레알의 화장품 과학 전문성과 IBM의 최첨단 AI 기술 결합해 솔루션 개발 IBM과 로레알 그룹(이하 로레알)은 IBM의 생성형 AI 기술과 전문성을 활용해 화장품 제형 데이터에서 새로운 인사이트 및 아이디어를 발견하고, 더불어 로레알의 지속가능한 원료 사용을 통한 에너지 및 원료 폐기물 감축에 협력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맞춤형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로레알 그룹 연구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나아가 전 세계 시장 모든 뷰티 카테고리에서 더 우수한 소비자 경험과 제품 효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뷰티, 화학, 기술의 접점에서 AI 혁신을 통해 만들어진 업계 최초의 제형 파운데이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협업은 로레알이 보유한 독보적인 화장품 과학 전문성과 IBM의 최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 과학과 기술이 생태학적으로 혁신적인 솔루션을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정리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천연자원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제품 개발 단계에서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공급된 원료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로레알이 2030년까지 자사 제품 대부분을 바이오 기반 소재 또는 순환 경제를 기반으로 한 원료로 조달하
몽고DB(MongoDB)가 AWS 리인벤트 2024에서 몽고DB AI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MAAP) 에코시스템에 합류한 새로운 조직을 발표했다. 캡제미니, 컨플루언트, IBM, 퀀텀블랙, 맥킨지의 AI와 언스트럭처드는 MAAP에 자사의 경험과 전문성을 결합해 추가적인 통합 및 솔루션 옵션을 제공하며, 고객이 MAAP을 통해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MAAP은 올해 초 출시 이후 AI 기반 자폐 치료 및 지적 발달 장애(IDD) 플랫폼을 제공하는 센트럴리치를 비롯한 고객이 AI를 활용해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몽고DB의 기능별 AI 전문가로 구성된 MAAP ‘센터 오브 엑셀런스 팀’은 산업 전반의 파트너 및 고객과 협력해 다양한 기술 과제를 극복하고 모든 규모의 조직이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및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번 MAAP 확장은 몽고DB 아틀라스 벡터 서치에 양자화된 벡터 도입 및 선도적인 AI 및 기술 기업과의 새로운 협력에 따라 진행됐다. 몽고DB는 더 효율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을 돕기 위해 메타와 협력해 메타 라마(Llama)를 지원하고 있다.
데이터 센터 통신 대역폭 확장 및 GPU 유휴 시간 감소, AI 처리 속도 향상 IBM은 오늘 데이터 센터에서 생성형 AI 모델의 학습 및 실행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차세대 광학 기술을 발표했다. 이는 기존의 전선 기반 단거리 통신을 보완하는 새로운 공동 패키지형 광학(co-packaged optics, 이하 CPO) 기술로, 데이터센터 내부 연결 속도를 빛의 속도로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정이다. 특히 IBM은 이 기술을 구동할 수 있는 폴리머 광학 도파관(Polymer Optical Waveguide, PWG)을 성공적으로 설계, 조립해 최초로 공개했다. IBM 연구진은 CPO 기술이 칩, 회로 기판, 서버 간 고대역폭 데이터를 전송하는 컴퓨팅 방식에 가져올 변화를 시연했다. 광섬유 기술은 전기 대신 빛으로 장거리 데이터 전송을 빠르게 처리하기에, 현재 전 세계 상업 및 통신 트래픽 대부분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센터의 경우,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는 광섬유를 사용하는데 반해, 내부 통신 네트워크의 대부분에는 여전히 구리선을 사용하고 있다. 이 전선은 대규모 분산 학습 과정에서 다른 장치의 데이터를 기다리느라 절반 이상의 시간
레드햇은 자사의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이 포레스터 리서치가 발표한 포레스터 웨이브 보고서에서 2024년 4분기 인프라 자동화 플랫폼 부문 리더로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포레스터 리서치는 가장 중요한 인프라 자동화 플랫폼 공급업체를 선정하고 각 공급업체를 조사, 분석 및 평가해 점수를 매겼다. 레드햇과 다른 상위 10개 공급업체는 현재 제품과 전략이라는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된 26개 기준에 따라 포레스터 웨이브에서 평가를 받았다. 이번 평가에서 레드햇은 인프라 프로비저닝, 구성 관리, 구성 관리 데이터베이스(CMDB)와의 통합, 인트라툴 분석, 지원 배포 옵션, 커뮤니티 에코시스템, 커뮤니티 참여, 비전, 혁신 및 파트너 에코시스템을 포함한 10개 기준에서 최고 점수를 받았다. 포레스터는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은 다양한 사용 사례를 위한 포괄적인 솔루션으로 이벤트 중심 자동화로 확장해 사람의 개입을 줄이고 각 시나리오에 대한 코드 작성 부담을 줄인다“며 “레드햇과 아이비엠(IBM)은 사용자가 플레이북 코드를 훨씬 더 빠르게 고품질로 작성할 수 있도록 코드 생성을 자동화하는 라이트스피드(Lightspeed)를 공동 개발하고 있다”고 전했
즉각적인 AI 기반 혁신에 대해서는 이견도 존재해 한겨울이라고 하기에는 아직 이른 시기인 11월 말임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27일, 서울 및 경기 중심으로 수도권 지역에 유례없는 폭설이 내렸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고온현상으로 겨울이 맞는지 의문을 품게 하던 날씨가 하루 만에 눈 폭탄을 쏟아내며, 시민들에게 교통 혼잡 등 큰 불편을 초래했다. 한 시간 동안 100mm 이상의 비가 쏟아지거나 하루 만에 도로가 폭설로 뒤덮이는 현상이 이제는 더 이상 놀랍지 않을 정도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지난 2023년 여름, 미국 캘리포니아와 멕시코, 중국 북서부, 남유럽 등에서 기온이 50도까지 치솟는 폭염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산불 등 추가적인 자연재해가 발생했고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피할 수 없었다. 같은 해 6월부터 9월까지는 캐나다에서 가뭄 등으로 인한 산불이 발생해 연간 화석 연료 배출량을 초과하는 탄소가 배출되기도 했다. 그럼 우리는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날씨를 어떻게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을까? 일반적인 수준의 기상예보는 전통의 경계로 넘어갔고, 정확도 역시 떨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그만큼 과거의 기법으로는 변
미국, 캐나다, 독일, 일본에 이어 IBM 퀀텀 시스템 원 설치된 5번째 국가로 이름 올려 연세대학교와 IBM은 지난 20일 국내 최초이자 대학으로서는 전 세계 두 번째로 양자컴퓨터 ‘IBM 퀀텀 시스템 원(IBM Quantum System One)’을 공개했다. 연세대 송도 국제 캠퍼스 퀀텀 컴퓨팅 센터에 설치된 IBM 퀀텀 시스템 원은 연세대는 물론, 연세대와 협력하는 국내 학술 기관과 기업들이 양자컴퓨팅 기술을 연구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도입됐다. 윤동섭 연세대 총장은 "연세대는 국내 최초로 IBM 퀀텀 시스템 원을 설치함으로써, 양자 컴퓨팅과 첨단 바이오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와 교육을 수행할 견고한 기반을 마련했다“며, ”우수한 양자 분야 연구자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세계적인 양자 연구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며, 인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공동 목표 달성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시스템으로 한국은 미국, 캐나다, 독일, 일본에 이어 IBM 퀀텀 시스템 원이 설치된 전 세계 5번째 국가가 됐다. IBM 퀀텀 시스템 원은 127큐비트 IBM 퀀텀 이글 프로세서로 구동되며 연세대 네트워크의 연구자, 학
IBM 퀀텀 헤론, 특정 클래스의 양자 회로를 5000여 개의 2큐비트 게이트 연산까지 실행 IBM은 오늘 '제 1회 IBM 퀀텀 개발자 컨퍼런스(IBM Quantum Developer Conference)'를 개최하고 IBM 양자컴퓨터에서 복잡한 알고리즘을 실행할 때 기록적인 수준의 규모, 속도, 정확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양자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소개했다. IBM 퀀텀 헤론(IBM Quantum Heron)은 고성능의 IBM의 양자 프로세서로, IBM의 글로벌 양자 데이터 센터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IBM 퀀텀 헤론은 이제 퀴스킷(Qiskit)을 활용해 특정 클래스의 양자 회로를 최대 5000여 개의 2큐비트 게이트 연산까지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IBM 퀀텀 헤론의 성능을 활용해 재료, 화학, 생명과학, 고에너지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적 문제를 양자 컴퓨터로 해결하는 방법을 탐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IBM 양자 개발 로드맵의 또 하나의 주요 목표를 달성한 것이며, IBM과 비즈니스 파트너가 양자 우위와 2029년으로 예정된 IBM의 오류 수정 첨단 시스템을 향해 나아감에 따라 양자 유용성 시대를 더욱 앞당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