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드빅 그룹 자회사인 도머프라멧(Dormer Pramet)이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BI)를 12일 공개했다. 핵심은 도머(Dormer)와 프라멧(Pramet)을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하는 것으로, 제품군을 단순화하고 구매프로세스를 효율화해 고객에게 더욱 원활한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도머프라멧은 이번 리브랜딩이 기업 발전에 중요한 단계이며 새 BI의 목적과 슬로건, 접근방식도 대폭 전환했다고 밝혔다. 도머프라멧은 ‘제조업 커뮤니티를 돌보는 기업’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수립했다고 밝혔다. 고객사와 직원, 공급업체는 물론, 이들의 근무 환경까지 모두 제조업 커뮤니티의 개념에 포함된다. 도머프라멧은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하고 엄격한 안전 기준을 통해 모든 구성원의 안전과 행복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궁극적으로는 무재해 사업장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다. 도머프라멧이 새롭게 내 건 브랜드 슬로건 ‘매 순간의 확실함(Certainty at every turn)’은 전 세계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춘 고품질 설루션을 제공하겠다는 회사의 의지를 담았다. 모든 제품과 서비스에서 고객에게 확실한 가치와 신뢰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이다. 혁신과 안전, 지속
다우데이타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와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통합(EAI) 벤더인 팁코(TIBCO)와 국내 총판 업무를 시작했다고 10일 밝혔다. 팁코는 기업을 위한 ▲데이터통합(Integration) ▲실시간 처리(Event) 그리고 ▲분석(Analytics) 분야에 전문화된 솔루션을 공급하는 기업으로 전 세계적으로 1만 개 이상의 기업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LG디스플레이, 하나은행, 신한카드 등 여러 대기업이 팁코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다. 팁코의 대표 제품인 ‘Spotfire’는 전통적인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분석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더 손쉽게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탐색·분석하게 해 부서별 내부 업무의 인사이트를 도출하도록 지원하는 등 데이터 탐색과 시각화 분석 솔루션 분야에서 업계 리더 자리를 지키고 있다. 다우데이타는 이번 총판 계약을 통해 팁코 전문 컨설팅 업체인 도버이엔씨와 협력관계를 맺고 팁코 전용 데모환경을 구축 중이며, 이 데모환경을 통해 팁코 제품 도입을 검토 중인 고객을 대상으로 실질적이고 충분한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국내 여러 팁코 전문 파트너사와 협력 관계를 만들기
정경후 신임 지사장, 아태지역 CTO·아세안 및 중국 지역 지사장 역임 마이크로스트레티지코리아가 이달 15일 새로운 한국 지사장으로 정경후 전 아세안 및 중국 지역 지사장을 확정했다. 정경후 지사장은 “국내 시장에서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의 비즈니스 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돼 기쁘다”며 소감을 전했다. 정경후 신임 지사장은 약 20년 동안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및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경험을 축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1년 마이크로스트레티지 합류한 정 지사장은 수석 기술 엔지니어,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기술책임자(CTO), 아세안·중국 지역 지사장 등을 역임했다. 정 지사장은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인공지능(AI)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유통·제조·헬스케어·게이밍·서비스 등 분야에서 레퍼런스 및 인력을 배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자사 AI 분석 기술을 통해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발휘하도록 교육을 지속 실시하고, 클라우드를 통한 신속한 AI 분석이 구현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MicroStrategy ONE’ 플랫폼과 고객 서비스를 통해 신뢰받는 BI 업체로 업계를 선도하겠다”라고 포부를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코리아는 통합 AI·BI 플랫폼인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원(MicroStrategy ONE)' 최신 업데이트 버전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AI'는 기업들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 인사이트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혁신해 모든 사용자들이 전체 업무 프로세스를 보다 쉽고 빠르고 간편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조직 내 모든 사용자가 데이터 인사이트에 일상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혁신적인 엔터프라이즈급 데이터 문화를 구축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에 인공지능(AI) 혁신 기술인 마이크로스트레티지 AI를 통합해 기업들이 고유한 각 사 비전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원을 선보이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원은 뛰어난 데이터 신뢰성에 AI를 결합해 비즈니스에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한다. 특히 이번에 발표된 업데이트 버전은 기존 사용자들이 분석용 AI를 더욱 쉽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분석을 위해 AI를 적용하고자 하는 새로운 사용자들에게도 획기적인 기능을 제공한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코리아 지사장은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원은 AI를 데
MicroStrategy One, 유연성과 확장성 기반으로 차별화한 데이터 인사이트 제공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코리아(이하 MSTR)는 지난 17일 2023년 시장 전략을 발표하며 국내 BI(Business Intelligence) 및 데이터 분석 시장 공략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MSTR은 설립 이후 20년 이상 본사의 지속적인 기술 지원과 고객사 지원 프로그램으로 기존 고객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해왔다. 금융, 공공, 제조, 유통, 통신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 매년 신규 고객이 유입되며, 지난해에는 매출의 55%가 신규 고객을 통해 달성됐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코리아 양천금 지사장은 "MSTR은 대기업 엔터프라이즈부터 중소기업, 소기업까지 데이터 관리가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 지원하고 있다. 이는 MSTR의 비전과 일맥상통한다. 우리의 비전인 '인텔리전스 에브리웨어'는 모든 사용자가 유튜브를 사용하듯 데이터를 손쉽게 활용하고 인사이트를 확보해 인텔리전스를 일상화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양천금 지사장은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30년 넘게 글로벌 최대 규모의 BI 독립 벤더로서의 위상을 지켜왔다. 수많은
영림원소프트랩이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에 통합 경영정보시스템(ERP) 구축 프로젝트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로 한컴은 경영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를 확충하게 됐다. 한컴에 구축된 ERP는 영림원소프트랩의 맞춤형 ERP ‘K-시스템 에이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그룹사 통합 경영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는 K-System BI 시스템을 함께 구축해 그룹웨어를 비롯한 CRM, 쇼핑몰 등 기업 내·외부 운영 시스템과의 통합연계가 기능해졌다. 이번 ERP 도입을 통해 한컴은 ▲제품군별 수익성 분석 ▲매출 관리 ▲SCM 구매발주 ▲인사정보 관리 ▲연구개발 프로젝트관리 부문 등 전반적인 그룹경영정보 관리 업무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특히, 제품군별 수익성 분석과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부문의 업무개선이 돋보인다. 제품군별로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등을 조회하고 수익성까지 분석할 수 있게 되었으며, 프로젝트 유형별로 공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대폭 개선해 프로젝트별로 원가관리가 기능해졌다는 평이다. 영림원소프트랩은 한컴의 ERP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사용자 교육 프로그램
새로운 CI와 BI, 홈페이지 개편 한국델켐이 CI 및 BI, 홈페이지를 개편한다고 밝혔다. 고객에게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가려는 준비다. 한국델켐은 1992년 정찬웅 명예회장이 설립한 이래 지난 30년간 제조산업현장의 설계/가공/해석/측정의 전체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솔루션 구축 및 컨설팅을 수행했다. 고객 현장의 신속하고 충분한 기술지원 서비스를 위하여 서울 구로디지털단지의 본사 및 대구/부산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델켐은 국내 유일 Autodesk 합작 법인으로서 제조 소프트웨어의 세계화에도 힘을 썼다. 또한 고객에게 필요한 Customizing 솔루션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자 힘써왔다. 2016년 6월 30일 양승일 대표가 취임한 후, 한국델켐은 패기 넘치는 준비와 도전으로 글로벌 시장에 다양한 솔루션을 제안해왔다. 제조업체들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제조기술혁신에 이바지하려는 의지다. 한국델켐은 최근 5년간 제조업계의 화두로 떠오른 스마트팩토리 및 제조관리 그리고 자동화 시스템의 개발에 주력해왔다. 이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양승일 대표는 2019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공 표창을 수상했다. 양승일 대표는 “제조현장의 수많은 Loss와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