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한국트럼프, 4차 산업혁명 솔루션 ‘TruConnect’ 소개 머신툴 및 레이저 기술 관련 글로벌 기업 한국트럼프가 지난 11월 22일부터 23일까지 이틀간 상암동 스탠포드호텔에서 열린 ‘OPEN HOUSE 2018’(트럼프 전시회 2018)에서 트럼프 그룹의 4차 산업혁명 솔루션 TruConnect의 시작단계를 소개했다. ▲ 한국트럼프가 지난 11월 22일부터 23일까지 열린 ‘OPEN HOUSE 2018’(트럼프 전시회 2018)에서 트럼프 그룹의 4차 산업혁명 솔루션 TruConnect의 시작단계를 소개했다. 이날 행사에서 한국트럼프는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공정의 비용을 줄이며 생산성을 증대하는 TruConnect의 ‘1단계 - Getting Started’의 설명과 함께 손쉬운 사용과 높은 가성비를 자랑하는 ‘TruBend 3100’을 국내에 첫 공개했다. 행사장에는 임가공 및 레이저 가공 관련 업체 100여 명이 참석하며 4차 산업혁명 솔루션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4차 산업혁명은 미래가 아닌 현실 먼저, 이번 행사
[첨단 헬로티] 금속 가공에서 사용되는 기계의 툴은 마모와 손상에 취약해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개별 작업자의 경험치 또는 필기 메모 없이도 정확하게 정기적인 검사 작업을 위해서는 툴 관리 시스템이 가장 좋은 선택이다. 산업용 RFID를 사용하여 툴의 사용을 추적하고, 불필요한 중단을 방지하여 최적화된 활용성을 보장한다. 또한, 여러 시스템에서 다양한 툴의 자동화된 처리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기반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시스템은 특정한 컨트롤 시스템에 맞게 특수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미 공작기계 OEM 업체에 의하여 통합되어 있다. 이러한 기계를 개조하는 것은 다소 비싸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개조 자체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여기, 다른 방법이 있다. 발루프의 Easy Tool-ID는 컨트롤러에 개입할 필요 없으며 신속한 경제적인 개조 솔루션을 제공한다. ▲ 발루프의 독립형 Easy Tool-ID 솔루션은 손쉬운 개조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이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전원 공급 장치, 상태 지시등, 판독/기록 헤드로 구성된 툴 스탠드 타입이다. Tool-ID로 효율적인 자원 사용 RFID를 사용하는 모든 Tool ID 시스템은 한
2016년 대만국제공구전의 주제는 ‘인터스트리 4.0을 향한 지능형 제조 활성화’였다. 머신툴 분야에서 글로벌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전략이다. 지능형 제조라는 주제는 인더스트리 4.0을 위해 기계의 지능화 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만 정부는 모든 산업 분야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인더스트리 4.0의 주요 주제 중 하나인 효율 개선을 위해 주력하고 있다. 첨단 제조공정과 기술은 높은 임금을 극복하고 중간 수준의 최종 제품에 대해 더 많은 주문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줄 것으로 대만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산 효율성 개선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는 등 대만의 기업들은 지능형 머신툴 개발을 위해 자국과 해외의 자원을 빠르게 통합해 해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관련 업계는 센싱 기술, M2M, 데이터 분석과 의사결정, 로봇 제어 제조, 인간-로봇 협업, 유연한 맞춤형 제조 시스템의 지능형 제어 등을 포함한 첨단 제품을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생산라인 자동화, 기계 및 장비 액세서리 지능화, 센서, 공장 및 기계 간 가상현실 통합 및 로보틱스 연구개발 분야에서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대만 관세청과 대만공구및부품협회(TMBA)에 따르면 2016년 1월에서 7월 사이 대만의 머신툴 수출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6.3% 감소한 16억 달러를 기록했다. 절삭기계가 16.3% 감소한 13억 3천만 달러를 기록한 반면 성형기계는 16% 감소한 2억 7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7월 한 달만 봤을 때 수출은 6월보다 10%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전년보다는 실적이 좋지 않은 게 사실이지만, 하반기 들어서는 상승세로 돌아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절삭기계의 경우 수출이 12.8% 증가했으며 성형기계는 2.9% 감소했다. 7월까지 수출된 절삭기계 중 주요 품목은 머시닝센터였으며 총 수출 규모는 6억 달러로 11% 감소한 수치였다. 2위를 기록한 선반의 경우 30.1% 감소한 3억 달러를 기록했다. 금속 성형 부문을 살펴보면 절단 및 스탬핑 성형 기계 수출은 16.3% 감소한 2억 2천만 달러이다. 7월까지 16억 달러 수출 대만의 상위 10개 수출 대상국은 중국, 미국, 터키, 독일, 태국, 네덜란드, 베트남, 인도, 일본, 한국 등이다. 대중국 수출 규모는 5억 달러로 전체 수출에서 31.1%를 기록하고 있으며 16.3% 감소했다. 대미국 수출
“머신툴의 미래가 궁금하다면 대만국제공구전시회(TMTS)을 보라.” TMTS 2016에서 5축 머신툴과 IoT 접목 가능성을 선보인 대만 전문업체의 한 관계자가 자신있게 한 말이다. 그도 그럴 것이 대만은 머신툴 분야에서 아시아 선두다. 규모 면으로나 내실로 보아도 그렇다. 지난 11월 열린 2016년 대만국제공구전시회를 찾아 자세히 살폈다. ‘인더스트리 4.0을 향한 지능형 제조 활성화(Activating Intelligent Manufacturing, Heading toward Industry 4.0).’ 머신툴 강국인 대만의 관련 업계가 강하게 추진하고 있는 계획을 한마디로 압축한 슬로건이다. 전 세계적 화두인 스마트 제조의 흐름을 머신툴 분야에서 주도하겠다는 전략이다. 대만 머신툴 전문가들은 “인더스트리 4.0을 스마트 제조, 로봇, IoT, 클린 기술 등 4개의 흐름으로 요약할 수 있다”며, “대만 업체들이 이들 기술과 융합한 머신툴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일부분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한다. 또한 머신툴 산업 특화 지역인 타이중을 중심으로 산학연의 협력을 강화하
[헬로티] “머신툴의 미래가 궁금하다면 대만국제공구전시회(TMTS)을 보라.” TMTS2016에서 5축 머신툴과 IoT 접목 가능성을 선보인 대만 전문업체의 한 관계자가 자신있게 한 말이다. 그도 그럴 것이 대만은 머신툴 분야에서 아시아 선두다. 규모 면으로나 내실로 보아도 그렇다. 이달 23일부터 시작해 27일까지 열리는 올해 대만국제공구전시회를 찾아 자세히 살폈다. <편집자> 2016년 대만국제공구전(TMTS2016, Taiwan International Machine Tool Show)가 23일부터 27일까지 닷새간 일정으로 대만의 타이중 국제 엑스포 센터에서 열렸다. 대만공구및부품협회(TMBA)와 대만 타이중 국제 엑스포 센터(GTIEC)가 공동주최하는 TMTS2016은 100여 개 국가에서 700여 업체가 참여했다. 전시 규모만 4000여 부스. 예상되는 거래규모는 2억 5천만 달러에 이른다. ▲대만 국제공구전시회가 23일부터 27일까지 타이중 국제엑스포센터에서 열린다. 주최 측인 TMBA는 전시기간 중 7만5000명에 이르는 참관객이 다녀갈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해외 참가 업체도 독일을 비롯 유럽, 미국, 일본,
인더스트리 4.0 향해 속도 높여 2016년 대만국제공작기계전시회(TMTS 2016)가 오는 11월 23일부터 27일까지 대만 타이중에 위치한 국제엑스포센터에서 개최된다. 이 전시회의 올해 주제는 ‘인더스트리 4.0을 향한 인텔리전스 매뉴팩처링’이다. 타이중은 대만 머신툴 산업의 중심이다. 관련 시장에서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을 정도이다. 타이중에서 열리는 전시회를 앞두고 그 현장을 찾았다. 대만공작기계 및 액세서리 사업자 협회(Taiwan Machine Tool & Accessory Builders’ Association, TMBA)가 격년제로 주최하는 대만국제공작기계전시회의 주요 전시분야는 ▲커팅머신 ▲금형설비 ▲핵심부품 ▲자동화기기 ▲로봇 등이다. 특히 올해에는 최근 글로벌 이슈로 주목받고 있는 인더스트리 4.0을 구현하는 스마트 머신툴 장비를 대거 선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예컨대 센싱기술, M2M, 산업용 로봇, 휴먼로봇 등을 비롯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산이 이뤄지는 장비, 유연한 제조 시스템을 지원하는 인텔리전트 컨트롤 등 다양한 스마트 머신툴을 보여주겠다는 계획이다. 주최측은 전시회 기간 중 관련 국제컨
[헬로티] 유지(You Ji)는 지난 1978년 설립돼 보링 머신, 다목적 기계 등을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1991년에는 중형 CNC 수직 터닝 선반인 YV 시리즈를 성공적으로 시장에 발표하며 공작기계 전문업체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이듬해인 1992년에는 유압 터렛 디자인을 접목한 수평 터닝 선반을 대만에서 첫 출시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에 탄력을 받아 5000만 타이완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You Ji는 이어 CNC 수직 머시닝센터 VMC 시리즈, CNC 수직 선반 VTL 시리즈를 개발했고 다기능 수직 터닝 선반을 내놓았며 2개의 스핀들로 이뤄진 VMC1100-2S, CNC 수평 머시닝센터 HMC, 자동 팔레트가 탑재된 VTS 시리즈 등을 잇달아 일반에 공개했다. You Ji는 이 같은 발빠른 제품 출시에 힘입어 지난 2006년에는 20억 타이완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2년 뒤인 2008년에는 45억 타이완 달러의 실적을 거둬들였다. 2009년에는 2개 칼럼의 5면 머시닝센터와 같은 수평 타입 밀링/보링 머신을 출시하며 관련 업계의 관심을 모았다. You Ji는 테이블의 직경이 200mm에서 8000mm에 이르는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헬로티] Tongtai은 지난 1969년 설립된 맞춤형 공작 기계, 머시닝센터, CNC 선반, PCB 드릴링 머신 전문업체이다. 이 회사는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네덜란드 등지에 지사를 설립하는 등 지속적으로 현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Tongtai는 그 외 지역에도 판매/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 60개 이상의 해외 에이전트와 딜러를 보유하고 있다. Tongtai의 제품은 자동차․우주항공․전자․금형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매출의 40~50% 이상이 자동차 부문에서 발생한다는 게 업체의 설명이다. Tongtai는 턴키 프로젝트 방식의 제품 공급이 장점이다. 수요처의 환경에 맞게 해당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스템 모델 선택부터 전체 시스템의 제조공정 관리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한다. Tongtai는 이를 위해 Honor Seiki, Quick-Tech, Asia Pacific Elite, PCI-SCEMM, Anger Machining 등과 전략적 연합을 구축했다. 이들 연합체는 정밀 작업을 필요로 하는 수요 부문에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통합해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Tongtai는 또한 진
[헬로티] 포사 머시너리(Posa Machinery)는 지난 1994년 설립된 선반 스핀들러, 머시닝센터 스핀들러, 그라인더 스핀들러, 보링 머신 스핀들러를 생산하는 스핀들러 전문업체이다. 지난 2000년 인텔리전트 스핀들 테스트 랩을 개발한 Posa는 2004년 중국 장쑤 지역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데 이어 2006년, 2010년에는 생산공장을 추가했다. 그리고 2012년에는 그라인딩 공장도 구축했다. Posa는 미국․독일․일본을 비롯, 인도․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 20여 개국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한국 등 새로운 시장 개척에도 주력하고 있다. Posa는 전체 인력의 10% 이상을 R&D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하이엔드 정밀 스핀들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애플 등 스마트폰 업체의 지속적인 신제품 출시나 로봇 도입이 늘면서 부품 수요 증가에 따른 중국 본토 매출이 20~30%까지 늘면서 연구개발의 비중을 계속 높이고 있다. Posa는 특히 제조의 서비스화를 추진하고 있는 대만 정부 정책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고객 서비스 중심의 제조 솔루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최근 그 결과물을 잇달아 내놓
[헬로티] 리츠 하이테크(LITZ HITECH)는1987년 설립된 CNC 머시닝센터 전문업체이다. 타이중에 본부를 두고 있는 LITZ HITECH는 OEM/ODM 공급과 함께 자체 브랜드인 LITZ로도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LITZ의 주력 제품은 CNC 수직 머시닝센터(CV 시리즈, BV 시리즈, DV 시리즈, MV 시리즈), CNC 수평 머시닝센터(LH-500 시리즈, LH-630 시리즈), CNC 터닝 센터(LT 시리즈), 더블 칼럼 머시닝센터, 5축 고정밀 기계 등이다. LITZ는 2016년 TMTS에서 5축 머신을 터닝, 밀링 컴파운드 머신을 선보인다. 특히 터닝 ․밀링 머신인 TM-2500을 선보일 계획이다. TM-2500은 고정밀․고강성 등을 지원하며 정확한 의료 측정장치 생산에 적합한 제품이다. 이와 함께 5축 머신인 LU 시리즈도 같이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LITZ는 한편, 중국 시장에 주목해왔다. 이 회사는 중국 시장에서의 머시닝센터 파이를 키우기 위해 지난 2004년 중국 자싱에 현지법인인 LITZ Machine Tools를 설립하는 등 42곳에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지난해에는 중국 법인을 통해 지난 2014년에는 1
[헬로티] 키애로우(Keyarrow)는 벨로즈, 텔레스코픽 커버, 칩 컨베이어, 머신 가드 시스템 등 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대만 강소기업이다. Keyarrow는 지난 1983년 설립 이후 CSPM 등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술 개발에 주력, 현재 17개국에서 8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Keyarrow는 이어 2004년에 일본의 NABELL에게 고속 동기화 텔레스코픽 커버와 관련된 특허, 제조기술 및 생산 시스템 기술을 이전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또 2007년 3월, Keyarrow는 자체 생산 시스템인 KAPS(Keyarrow Production System)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 시스템은 도요타의 TPS(Toyota Production System)을 기반으로 ‘5S+TPM’을 구현한다. 이 같은 기술 경쟁력에 힘입어 지난 2014년에는 TPM 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다. Keyarrow는 오는 2020년 3억5000만 달러에 이르는 매출을 달성하고, 2년마다 공장을 새롭게 구축하는 한편, 5년마다 1개의 새로운 제품을 개발한다는 전략이다. Keyarrow는 타이중과 가오슝 두 곳에 생산라인을 가동하고 있으며, 타이중에
[헬로티] 하이윈(HIWIN)은 지난 1997년 서보 모터, 토크 모터, 리니어 모터, 드라이브,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을 생산하는 HIWIN Mikrosystem 설립부터 시작해 현재는 모션 컨트롤과 시스템 기술까지 보유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주력 제품은 볼 스크루, 리니어 가이드, 크로스 롤러 베어링, 산업용 로봇 등 정밀 부품에서 서브시스템과 토털 솔루션까지 공급하는 공작기계 전문업체로 자리매김했다. 이 회사의 주요 고객은 머신툴, 의료장비, 자동차, 에너지 절감 장비 등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HIWIN은 로봇을 통한 새로운 시대 준비에 나서고 있다. 이른바 지능형 오토메이션이다. HIWIN은 다축 로봇(6축 로봇, 스칼라 로봇, 델타 로봇, 웨이퍼 로봇)에서부터 인류사회에 친화적인 환경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의료 로봇(로봇 보행 훈련 시스템, 위생 시스템, 로봇 내시경 홀더)까지 시장에 내놓으며 인기를 얻고 있다. HIWIN은 2014년에 포브스로부터 혁신적인 성장 기업 대상(The Most Innovative Growth Companies)을 받았고, 이듬해에는 37위에 올랐으며, ROBO-STOX 10위에 들어갔다. 올해에는 닛케이 비즈니스
[헬로티] 하트포드(Hartford)는 지난 1965년 설립된 머시닝 센터 전문업체이다. Hartford는 세계 65개국에 300개에 달하는 마케팅 네트워크를 구축한 글로벌 기업이지만, 공급 제품의 95%를 대만 내에서 자체 생산한다. 3개의 생산공장을 가동하고 있는데 규모가 8만 평방미터에 달한다. 이 회사는 R&D에 과감한 투자를 통해 기업을 키우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100여명이 R&D 전문인력만 100여명. 차세대 기술 개발, 제품 혁신 연구, 인텔리전트 기능 연구, 분석 애플리케이션 등 4가지 부문에서 역량을 집중한다. 또한 Hartford는 모든 제품의 디자인을 가상 모델 분석을 통해 각 시스템의 품질을 제고하는 포괄적인 MQT(Machine Quality Target, FEA+EMA+MAC+KGM+CA) 프로세스로 진행한다. 하트포드의 한 관계자는 대만의 많은 머시닝 센터 제조업체들이 외부 협력업체를 통해 관련 제품을 생산하지만, 하트포드는 자체 제작 수준을 높이기 위해 대형 장비 구축에 지속적으로 투자한다고 말했다. TMTS2016에서 선보일 예정인 하트포드의 5축 머시닝 센터인 5A, 5BC 시리즈가 이 같은 원칙을 반영한
GSA는 1978년 설립된 CNC 로타리 테이블 전문업체다. 이 회사는 일본과 독일의 제조설비와 검사장비로 라인을 구축할 정도로 정확도・성능・신뢰 등 3가지 미션을 수행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GSA의 주력 제품은 CNC 로터리 테이블과 CNC 터렛으로 대만과 중국에 생산기지를 구축했다. GSA는 2016년 CCMT상하이에서 CNC 다이렉트 드라이브 로터리 테이블인 DDR-170을 전격 공개했다. 이 회사의 개발 담당자는 이 제품이 유럽 공작기계와 경쟁할 수 있을 만큼 높은 토크, 높은 정확도, 제로 백래시, 긴 수명 등을 지원한다고 설명한다. 이 담당자는 CCMT 전시회 이후 중국 공작기계 업체들로부터 주문이 쇄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GSA는 이 제품 개발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로터리 테이블의 사이즈를 170mm에서 1,000mm까지 다양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GSA는 올해 퀀텀 점프할 수 있도록 전방위 대응책을 마련했다. 이 회사는 2015년에 중국 자산(Jiashan)에 2만 평방미터 규모의 생산라인을 구축하는 한편, 중국 상하이에도 제조라인을 설치했다. 또한 대만 후리 지역에도 공장을 세운다는 계획이다. G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