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월드, 재도전 성공패키지, 글로벌 이노베이터 페스타 등서 수상 이어져 “투자·연구개발 지속해 혁신 기어 기술 제공할 것” 이스턴기어가 다양한 산업 행사에서 연이어 수상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이스턴기어는 창업 아이디어 축제 ‘글로벌 이노베이터 페스타(GIF)’, 재창업 비즈니스 행사 ‘재도전성공패키지’, 로봇 산업 박람회 ‘국제로봇산업대전(로보월드)’에서 각각 대상·우수상·장려상을 받았다. 이스턴기어는 소형·정밀화를 요구하는 각종 산업에 특화된 장구형 웜기어(Globoid Worm Gear)를 공급하고 있다. 이 기술은 각 기어가 꺾이는 구조로 맞물려 협소한 공간에도 유연한 구축을 지원한다. 특히 기어 표면을 동시에 접촉하는 설계를 채택해 진동·소음 등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 디자인됐다. 이러한 특징은 미국기어제조공업회(AGMA)의 표준에 기인한 설계점이다. 해당 기술은 현재 소형 전자기기, 로봇 등 제품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스턴기어는 이를 더욱 고도화해 휴머노이드 로봇의 손가락·무릎 등 관절부에 특화된 기어·감속기 개발을 목표하고 있다. 곽유현 이스턴기어 대표는 “투자·연구개발(R&D)를 지속해 혁신 기어 기
언어·시각·행동 등 기능 담은 AI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MOMA’ 전시해 “지능형 로봇 영역에 첫발...세계 시장 진출과 솔루션 고도화 두 마리 토끼 잡을 것” 고성엔지니어링이 로봇 축제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에서 플래그십 로봇 ‘MOMA(Mobile Manipulator)’를 통해 참관객에게 집중조명받았다. 올해 로보월드는 지난달 23일 경기 고양시 전시장 컨텍스에서 열렸다. 산업용 로봇부터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로봇 업계의 솔루션이 한자리에 총출동했다. 고성엔지니어링 전시부스의 하이라이트 MOMA는 ‘거대멀티모달모델(Large Multimodal Model)’을 차용한 인공지능(AI) 모델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언어·이미지·음향·영상 등 데이터를 처리해 언어·시각·행동 기능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구두로 MOMA에게 명령을 전달하면, 인지·실물 확인 등 프로세스를 거쳐 목표물로 이동한 후 명령을 수행한다. 전시장에서는 MOMA 데모가 기체에 탑재된 로봇팔(Robot Arm)을 이용해 캔·병 등을 집는 과정을 연출했다. 여기에 환경, 잠재적 위협 등 현장 요소를 분
가반하중 5kg 기반 ‘다이나믹셀-Y’ 이식한 협동로봇으로 참관객 시선 집중 “실내외 물류 시스템과의 연동 가능해...물류 자동화의 새 지평 열 것” 로보티즈가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에서 새로운 형태의 협동로봇 ‘오픈매니퓰레이터-Y(OM-Y)’를 산업에 처음 공개했다. 로보월드는 산업용 로봇부터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로봇 업계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로봇 축제다. 올해 전시회는 이달 23일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에서 열렸다. 로보티즈는 이번 전시장에 OM-Y를 비롯해 기존 캐시카우 자율주행로봇(AMR) 모델 ‘개미(GAEMI)’ 등을 전시해 참관객의 이목을 끌었다. 해당 전시부스에는 OM-Y와 개미가 융합된 완전 무인화 배송 시스템이 배치됐다. 해당 시스템은 환경적 제약으로 인해 배송이 제한된 상황을 타개하는 솔루션이다. 로보티즈가 구축한 배달·주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내외 환경을 효과적으로 연계한다. 이를 통해 단순 배송 효율성 극대화를 넘어, 스마트시티 내 물류 자동화를 구현할 기술로 기대받는다. 여기서 OM-Y는 협소한 공간에서 가동 가능한 협동로봇 기체다
한국로봇사용자협회와 업무협약 체결...지속 가능한 로봇 트렌드 정조준 “중고 로봇 업계의 성장, 지속가능성 확보로 시장 전환점 될 것” 브릴스가 한국로봇사용자협회(KORUA)와 로봇 리퍼비시(Refurbish) 관련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로봇 리퍼비시는 중고 로봇 기체를 개선하거나 재제조하는 과정을 뜻한다. 양 기관은 이달 23일 개막한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현장에서 이 같은 공동의 뜻을 밝혔다. 앞으로 중고 로봇 재제조 및 품질 인증 체계를 확립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브릴스는 중고 로봇의 재제조 및 리퍼비시 과정을 지원한다. KORUA는 로봇 품질검사 데이터 제공 및 재자원화 기술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자원 재활용 및 효율성으로 인한 중고 로봇 공급망이 확충되고, 관련 기술 지원 시스템이 구축될 전망이다. 이는 비용 절감, 비즈니스 모델 확장, 자원·에너지 소모 절감 등으로 이어져 로봇 업계에 경쟁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받는다. 전진 브릴스 대표이사는 “양 기관의 협력은 중고 로봇 업계의 성장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십”이
산업용 로봇, 협동로봇, 자율주행로봇, 방폭·용접 로봇 등 로봇 솔루션 역량 내세워 “로봇 기반 자동화 솔루션 전파해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것” 브릴스가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 시상식 ‘2024 로보월드 어워즈’에서 제조 부분 대상 업체로 선정됐다. 브릴스는 산업용 로봇, 협동로봇, 자율주행로봇(AMR), 방폭·용접 로봇 등으로 구성된 ‘브릴스 로봇 시리즈(BRS 시리즈)’를 보유했다. 이번 수상은 BRS 시리즈의 기술력을 인정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협동로봇 기반 스마트 AI 팔레타이징 CCTV 기술을 필두로 어워즈에서 수상한 이후 2년 연속으로 달성한 쾌거다. 브릴스는 현재 4~210kg으로 가반하중이 세분화된 산업용 로봇 라인업 8종, 제조·물류·식음료(F&B)·의료 등 분야에서 활약하는 협동로봇 제품군 10종, 방폭형 협동로봇 4종, 하이브리드 AMR 두 종 등을 각종 산업에 공급하고 있다. 전진 브릴스 대표이사는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BRS 시리즈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성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룩셈부르크 ‘DDE’사 협업 기반 언어·행동 인공지능 모델도 함께 공개 고성엔지니어링이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에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자율주행로봇(AMR)과 협동로봇을 접목한 플래그십 모델 ‘MOMA(Mobile Manipulator)’를 전시했다. 여기에 룩셈부르크 소재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AI) 서비스 업체 ‘DDE(Data Design Engineering)’과 협업한 로봇 및 자동화제어시스템(ACS)을 함께 공개했다. 고성엔지니어링은 MOMA에 해당 기술을 이식한 데모를 참관객에게 소개해 주목받았다. 로보월드는 산업용 로봇부터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로봇 업계의 과거와 미래가 한데 펼쳐지는 로봇 축제다. 올해 전시회는 이달 23일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에서 열렸다. 최창신 고성엔지니어링 대표는 “MOMA는 수준 높은 기술력을 토대로 그동안 다양한 제조 현장에서 활약했다”며 “이번 전시회에서 우수한 자사 엔지니어링 기술력을 토대로 한 시연 모습을 참관객에게 소개했다”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자체 제작 로봇 하드웨어 ‘브릴스 로봇 시리즈’ 첫 공개 산업용 로봇, 일반·특수 협동로봇, 하이브리드 자율주행로봇 등 내세워 “R&D, 기술 혁신에 앞장...로봇 도입 장벽 허물겠다” 브릴스가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에 참가해 각종 로봇 기술을 한자리에 배치한다. 로보월드는 산업용 로봇부터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로봇 업계의 과거와 미래가 한데 펼쳐지는 로봇 축제다. 올해 전시회는 이달 23일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에서 열린다. 브릴스는 이번 행사에서 교육용 로봇, 자율주행로봇(AMR), 협동로봇 팔레타이징 솔루션, 인공지능(AI) 기반 관제 로봇 솔루션 등을 소개한다. 특히 이번 전시장의 하이라이트는 ‘브릴스 로봇 시리즈(BRS 시리즈)’다. 이 시리즈는 브릴스가 최초로 선보이는 로봇 라인업으로,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킬 계획이다. BRS 시리즈는 산업용 로봇, 협동로봇, 특수형 로봇, 하이브리드 AMR로 구성된 브릴스의 신규 로봇 라인업이다. 산업용 로봇 제품군은 4kg부터 210kg까지의 가반하중을 갖췄다. 브릴스는 현장 내 로봇 설치 및 배치가 용이하도록 해당 라
자동화 솔루션 및 반도체 기계장비, 산업용 로봇 전문기업 인아텍앤코포는 지난 14일 ‘2024 로보월드 어워드’에서 ‘올해의 우수제품’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이번 시상식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4 로보월드-국제로봇산업대전’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이 대회는 제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 로봇 부품 등 7개 부문에서 20개의 우수 기업 및 제품을 선정했다. 인아텍앤코포는 이번 행사에서 ‘컨베이어 연동 자율주행 공정 반송 시스템’으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시스템은 소형 자재부터 대형 팔레트까지 반송하는 혁신적인 물류 로봇 솔루션으로, Lot 관리, 생산 자재 이력 관리, MES/MSC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자동화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특히 안전성과 효율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인아텍앤코포 관계자는 “이번 수상은 우리 기업의 기술력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로, 앞으로도 자동화 솔루션, 반도체 기계장비,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며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인아텍앤코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공장 자동화 설계 및 제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스마트 팩토리 구축
차세대 로봇의 새로운 시각...'산업자동화를 위한 로봇 활용 세미나' 열린다 로봇 업계 연례 페스티벌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 개막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이달 23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올해 로보월드는 ‘서비스형 로봇(Robot as a Service, RaaS)’이라는 업계 트렌드를 반영해 관련 최신 비전을 제시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로보월드에는 각종 부대행사가 함께 개최된다. 이 중 ‘산업자동화를 위한 로봇 활용 세미나’는 디지털 전환(DX) 트렌드에 발맞춘 로봇 융합 서비스·솔루션·플랫폼 등을 소개하고, 로봇이 제조·물류 등 국내 주력 산업에 제시하는 방향성에 대해 다룬다. 특히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머신러닝(ML) 등 로봇 솔루션 고도화에 관여하는 차세대 기술과의 연계 방법론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물류센터 등 인프라 확립에 더해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 체제 실현에 대한 방안을 공개한다. 이번 세미나는 로보월드 개막 기간 중 이달 25일 킨텍스 제
차세대 로봇의 새로운 시각...'산업자동화를 위한 로봇 활용 세미나' 열린다 로봇 업계 연례 페스티벌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 개막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이달 23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올해 로보월드는 ‘서비스형 로봇(Robot as a Service, RaaS)’이라는 업계 트렌드를 반영해 관련 최신 비전을 제시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로보월드에는 각종 부대행사가 함께 개최된다. 이 중 ‘산업자동화를 위한 로봇 활용 세미나’는 디지털 전환(DX) 트렌드에 발맞춘 로봇 융합 서비스·솔루션·플랫폼 등을 소개하고, 로봇이 제조·물류 등 국내 주력 산업에 제시하는 방향성에 대해 다룬다. 특히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머신러닝(ML) 등 로봇 솔루션 고도화에 관여하는 차세대 기술과의 연계 방법론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물류센터 등 인프라 확립에 더해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 체제 실현에 대한 방안을 공개한다. 이번 세미나는 로보월드 개막 기간 중 이달 25일 킨텍스 제
제조공정 자동화 위한 다양한 제품군 소개 나우로보틱스가 ‘2022 로보월드’에서 6축 다관절 로봇과 스카라 로봇 전시와 함께 신제품 물류로봇 ‘NUGO(뉴고)’를 소개했다. 2022 로보월드는 10월 26일부터 29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3홀에서 열리는 국제로봇산업대전은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공동 주관으로 12개국 227개 사가 702부스 규모로 개최됐다. 이번 전시회에서 나우로보틱스는 플라스틱 사출 전용 6축 다관절 취출 로봇 NURO X(뉴로 엑스), 스카라 로봇 NUKA(뉴카), 신제품 AMR 물류로봇 NUGO(뉴고)를 전시했다. 관람객의 눈길을 끈 것은 나우로보틱스가 1년여간의 개발 끝에 선보인 물류 AMR 로봇 ‘뉴고’다. 뉴고의 특장점은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라는 점이다. 이를 통해 외산 제품과 달리 편리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사출 성형 기술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지만, 국내 로봇 시장은 기존 취출 로봇 수준에 머물로 현장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다관절 로봇은 현장에서 초보자가 다루기 까다로운 한계가 있었다. 나우로보틱스의 뉴로 엑스 시리즈는 이런 현장의 어려움을 해
[첨단 헬로티] 협동로봇 글로벌기업 유니버설 로봇이 경기도 킨텍스에서 개최되고 있는 ‘2019 로보월드’에서 16kg의 무거운 무게를 이동 운반할 수 있는 신제품을 선보이며 눈길을 끌었다. 유니버설 로봇이 이번에 처음 공개한 신제품은 ‘UR16e'로, 기존 유니버설 로봇 e-시리즈 협동로봇 중 가장 무거운 부품 및 제품들의 취급이 가능해 머신 텐딩 등의 공정을 자동화하기에 이상적이다. ▲ 유니버설 로봇 ‘UR16e’ 시연 모습. UR16e는 더 강력해진 힘뿐만 아니라 900mm의 도달 거리, ±0.05mm의 반복성, 그리고 간편한 프로그래밍과 작은 설치 공간을 통해 빠르고 마찰 없는 공정 구현이 특징이다. 이 외에도 힘 감지 내장 센서, 사용자 설정 가능한 정지 시간과 정리 거리를 포함한 17가지의 안전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EN ISO 13849-1, PLd, 카테고리 3 및 EN ISO 10218-1를 포함하여 인간과 로봇의 협업을 위한 가장 까다로운 규정을 준수하고 안전 표준을 충족한다. 한편, 올해로 14회째인 로보월드는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나흘간 열린다. 이번
[첨단 헬로티] 국내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서비스 업체인 인피닉은 9일부터 12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2019 로보월드(ROBOTWORLD 2019)에 참여해 인피닉의 인공지능 서비스에 대해 소개한다고 밝혔다. 인피닉은 2001년부터 소프트웨어 품질관리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또 지난 2016년도부터 품질관리에 대한 사업 분야를 소프트웨어에서 데이터까지 넓혀 인공지능이 잘 학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피닉은 지난 7월 제2회 국제인공지능대전에 참가해 큰 호응을 얻은 핵심 기술요소인 ‘자동 객체 감지 솔루션’, ‘실시간 작업관리 시스템’이 이번 전시회에서도 소개할 예정이다. 인피닉의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인공지능 자동객체감지 솔루션은 데이터 전처리 과정 중 차량, 사람, 도로표지판 등 객체를 자동으로 레이블링하는 것이다. 현재 자율주행 분야를 대상으로 고도화를 진행 중이며, 앞으로 다양한 산업의 비전인식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할 예정이다. 또한 실시간 작업관리 시스템은 작업 진척도와 결과물을 24시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폐쇄형 크라우드
[첨단 헬로티] LCD, 태양전지 및 반도체 업체 제우스가 9일부터 12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19 로보월드(Robot World 2019)’에 참가한다. 제우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자체 연구개발한 가반중량 5Kg의 6축 다관절 로봇 ‘제로(ZERO)’를 선보인다. ▲ ‘2019 로보월드’ 제우스 부스 디자인 제우스 특허 기술인 '패스 스루(Pass-Through)'가 적용된 ‘제로(ZERO)’는 △동급 최경량의 무게(17㎏), △최고 수준의 반복 정밀도(±0.02㎜), △최소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풋프린트(Footprint Φ149㎜), △경제성 있는 소비전력 250W, △사용성 좋은 PC 기반 프로그래밍 등 산업용 로봇으로서 장점이 강화된 제품이다. 또한 제로 시리즈의 두 번째 제품 ‘델타 로봇’도 이번 전시회를 통해 최초 공개될 예정이다. 가반중량에 특화한 델타 로봇과 속도에 중점을 둔 델타 로봇의 비교 시연을 통해 제품 특성을 이해하기 쉽게 소개할 예정이다. 지난 7월부터 양산하여 판매가 이뤄지고 있는 다관절 로봇
[첨단 헬로티] ‘2019 로보월드’가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Smart Industry, Smart Life!’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로보월드 전시회를 앞두고 한국로봇산업협회는 17일 영등포역 대회의실에서 참가업체 대상 설명회를 열었다. ▲ ‘2019 로보월드’ 참가업체 설명회가 17일 영등포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2019 로보월드 주요 행사와 참가업체 비즈니스 지원 및 초청 바이어 지원 프로그램, 그리고 전시 운영 계획 등에 대한 소개가 있었다. 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올해 14회째를 맞이한 ‘2019 로보월드’는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주관하여 200개사 500부스 규모로 개최되며, 국제로봇산업대전을 비롯하여 국제로봇콘테스트, 국제로봇컨퍼런스 등 주요 공동 행사와 키노트스피치, 글로벌로봇비즈니스포럼, 신제품런칭쇼, 전문가 세미나 등 다양한 부대행사로 진행된다. 한국로봇산업협회 관계자는 “2019 로보월드는 제조업용 로봇 및 서비스용 로봇, 로봇 부품 등 국내외 주요 기업의 참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