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에서 객체 인식 가능한 새로운 모델 제시 업계 최초, 벤치마크 데이터셋 공개 인공지능(AI) 선박자율운항 솔루션 기업 씨드로닉스(Seadronix)가 해양 환경에 특화된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인공지능(AI) 관련 백서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씨드로닉스는 이번에 발행한 백서를 통해 선박을 운항하면서 겪을 수 있는 빛 반사, 간섭, 기상 조건 등 열악한 해양 환경 조건에서도 효율적으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인공지능(AI) 모델인 바다(VaDA, Vertical and Detail Attention Model for Maritime Object Segmentation)를 공개했다. 바다(VaDA) 모델은 씨드로닉스가 설립 이후 지금까지 데이터 수집 자체가 어려운 해양 업계에서 많은 연구진과 오랜 기간 실 운항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온 노력을 집대성한 결과다.수많은 실 데이터를 통해 개발된 인공지능(AI) 모델이라는 점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씨드로닉스 측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씨드로닉스는 세계 최대 로봇 학회 중 하나인 IROS(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
바이코(Vicor)는 해양 파력 에너지 시스템 분야의 글로벌 선도 업체인 C-Power와 파력 에너지의 활용 및 저장 방법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C-Power의 혁신적인 해양 설비용 재생 에너지 전력 솔루션은 오레곤주립대학의 대학원 프로젝트에서 시작해, 현재는 급성장 중인 신 청색경제를 뒷받침하는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C-Power의 솔루션은 파력을 가용 에너지로 변환하는 동시에 클라우드 간 데이터 전송을 지원함으로써 여러 국가에서 고민 중인 에너지 생산 탈탄소화 과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C-Power의 자율 해양 전력 시스템(AOPS)은 원격 해양 프로젝트 시설로 전력을 공급하며, 지상 전기 그리드 및 원격 해양 소형 그리드를 위한 차세대 탈탄소 에너지 환경을 구현하려는 당사 비전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바이코의 파워링 이노베이션 팟캐스트는 스포티파이, 애플 뮤직 및 구글 팟캐스트 등과 같은 모든 주요 팟캐스트 플랫폼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바이코 관계자는 "팟캐스트 청취자들은 오늘날 가장 까다로운 전력 문제와 새로운 전동화 아이디어, 획기적인 전력 아키텍처 및 실질적인 전력 설계 문제 해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라
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아프리카 소재 선사와 LNG운반선 2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목) 공시를 통해 밝혔다. 총 수주 금액은 약 6790억 원이다. 이번에 수주한 LNG운반선은 17만4000입방미터급(㎥)이며, 울산 HD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해 2027년 11월까지 선주사에 순차적으로 인도할 예정이다. 선가는 척당 2.65억불로 17만4000입방미터급 LNG운반선 기준 최고 선가를 기록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해성옵틱스의 자회사 지오소프트는 2023년도 친환경 선박 전주기 핵심기술 개발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 강화에 따라 추진된다. 한국조선해양,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울산정보산업정보진흥원, 휴맥스모빌리티, SW이노베이션, 한국해양대학교로 구성된 컨소시엄과 협업해 진행한다. 컨소시엄은 3년에 걸쳐 하이브리드 추진선박 에너지 통합 모듈 시스템을 개발하고 울산시가 보유하고 있는 국내 최초 전기추진선인 태화호를 통해 실증을 진행한다. 최근 선박 대체연료 개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복합추진 및 복합에너지원 제어시스템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해운 산업의 주요 목표는 최적의 에너지 제어 시스템을 통해 연료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이다. ABB, GE, SIEMENS, KONGSBERG 등 해외 대기업들은 이미 PEMS 개발을 완료하고 실시간 최적 제어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다. 관련 기술이 확보되면 국내 대형 조선사와의 협력이 윈윈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지오소프트 관계자는 “이번 개발 사업을 통해서 하이브리드 추진선박의 에너지관리를 위한 최적의 시스템과 핵심
산업 전문 웨비나 플랫폼 산업 전문 웨비나 플랫폼 '산업을 바꾸는 시간(이하 산바시)'과 SCM 전문 전시회 'SCM FAIR'가 공동으로 기획한 세미나 '슬기로운 스마트SCM 구축하기 #2가 오는 7월 8일 오전 10시 30분에 열린다. 펜데믹 상황 속 수요·공급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SCM 전략이 필수다. 기업은 ‘Supply Chain Optimization’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한다. 제조 기업의 진정한 디지털 전환은 스마트 SCM 전략으로 완성된다. 이에 산바시와 SCM Fair는 ‘슬기로운 스마트SCM 구축하기’ 웨비나를 통해 기업들의 스마트SCM 구현에 필요한 솔루션, 서비스, 제품을 소개한다. 최근 전례 없던 해상 운송 구간의 혼란과 변동성으로 전문가들은 해상 운송에 대한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얘기한다. 코로나19로 인한 혼란, 항만 혼잡, 노동력 부족, 지정학적 긴장 및 기타 외부 요인들 모두가 해상 운송에 가시성 필요를 강조한다. Gartner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약 50%의 기업이 공급망에서 가시성 플랫폼을 도입할 계획이며, 2022년 1월에 JournalofCommerce가 실시한 업계 연구에 따르면 이미 해
2012년 이탈리아 유람선 Costa Concordia호가 티레니아해의 질리오섬에서 바위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32명이 사망하고 4,000명 이상이 가까스로 구조됐다. 사고 조사 결과, 원인은 커뮤니케이션·대응·교육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계기로 구명정 훈련, 교량 접근 제한 및 항로 계획 변경 요건과 아울러, 선박이 계획된 항로를 따르도록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이 의무화됐다. 해양 모니터링 기술은 선박 운영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위치 및 방향, 출력, 연료 사용, 화물 냉동 및 기타 판독 값을 추적해 운영자가 선박의 성능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위치 모니터링 기능이 있었다면, Concordia호의 승무원은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경고를 받고 항로를 변경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기술을 활용해 승무원들이 바다로 투입되기 전에 일반적인 시나리오와 비상 시나리오를 모두 시뮬레이션했다면 충돌 사고를 더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빠르게 대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VR, AR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화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인력 교육부터 유지보수까지 비용을 절감
ABB는 자사 터보차저 사업부의 신규 브랜드 이름 ‘액셀러론’을 공개했다. 신규 브랜드 엑셀러론은 ‘함께 영감을 주고, 혁신하고, 기대를 넘어 모두에게 혜택을 주면서 업계 기준이 된다’는 회사 목적에 중점을 뒀다. 또 터보차저 분야에서 100년이 넘는 역사를 바탕으로 이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리더로 꾸준히 발전해 세계가 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성공하고, 더 나아가도록 지원하겠다는 포부를 상징한다. 스위스의 알프레드 뷔치가 발명한 터보차저의 최초 실용 사례는 1924년 Brown Boveri & Co (현재 ABB)가 제작한 대형 선박 엔진에 적용된 제품이다. 신규 브랜드는 ABB 포트폴리오 관리 전략의 하나이며, 올 1분기 말 사업 매각 또는 분사 중 최종 결정 전에 운영상으로 터보차저 사업부를 분리하는 목적을 갖는다. ABB가 사업 분리에 대해 어떤 선택을 하든 이 절차는 2022년 상반기에 완료해야 한다. ABB 터보차징 최고 경영자 올리버 리멘슈나이더는 “액셀러론 브랜드 공개는 비즈니스의 중대한 순간이다. 우리가 가진 유산에 대해 자긍심은 물론 고객을 위한 최첨단 기술 및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하고 다음 단계의 성장 또한 기대된다”고 말했다. 액
포스텍이 비접촉식 커넥터를 푸쉬풀 방식으로 출시했다고 밝혔다. 포스텍의 푸쉬풀 방식의 커넥터는 내부 잠금장치가 있는 새로운 표준을 적용했다. 이 제품은 IP65·IP67의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하고 기계적으로 매우 견고하게 만든 제품이다. 또한 커넥터의 비틀림 특성에 강하고 회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상당한 이점이 있다. 회전으로 탈부착하는 방식이 아니기에 시간 절약, 소형화, 블라인드 및 도구가 필요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도 탈부착할 수 있다. 포스텍은 적용 분야로는 광통신, 항공, 의료기기, 해양 장비, 음향 장비 등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하다고 설명했다. 푸쉬풀 방식의 비접촉식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탈부착할 때 생기는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광 채널 수로는 1~4채널까지 가능하고 고객 요구 사항에 주문 제작할 수 있다. 포스텍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 조건을 만족하고 업계 최고의 광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앞장설 것이며, 광통신을 이용한 제품을 계속 연구 개발해 나갈 것이라 발표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가스트론이 조선해양 우수기자재 인정서 수여 기업으로 선정됐다. 가스감지기 제조업체로는 최초의 성과다. 해당 인정서는 뛰어난 기술력으로 조선해양 산업 발전에 일조하고 있는 기업들에 주어지는 상이다. 앞서 가스트론은 선박 건조 및 운용에 필수적인 당사의 가스 감지 시스템으로 KR과 ABS 등 세계 7대 선급 인증 및 MED을 획득하며 국산 제품의 위상을 높인 바 있다. 현재는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현대중공업, 케이조선 등 국내 굴지의 조선해양 기업에 제품을 납품 중이다. 이를 통해 외산 위주였던 선박용 가스 감지 시스템을 국산화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선박 업체에도 꾸준히 제품을 공급하고 있어 국산화는 물론 세계 시장에서의 전망 역시 밝다. 업계 전문가들은 가스트론의 우수기자재 인정서 최초 수상은 과거 음지에 있던 우리나라 선박용 가스 감지 시스템의 성장을 알려주는 척도라고 목소리를 모은다. 그만큼 이번 수상이 의미 있는 행보라는 뜻이다. 부산에 위치한 영남지사를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C/S 제공이 주요했다는 평가도 뒤따른다. 가스트론 최동진 대표는 “바다 위에서 안전이라는 키워드는 특히 절대적이다. 망망대해에서의 작은 사고는
아비바 마린 통해 P&ID 설계 업무 프로세스 단순화 아비바가 대우조선해양의 스마트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진행된 ‘지능형 P&ID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아비바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대우조선해양은 기존 사용하던 아비바 디자인 툴과 아비바 P&ID 솔루션을 연계 및 통합, 배관설계의 상세도 내 설계상 오류를 방지하고 준공 모델의 완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적으로 개선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스마트십 기술 개발 선두주자로 미래 친환경·지능형 선박 기술을 선도할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업무 프로세스에 맞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 흐름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아비바 P&ID 솔루션을 도입 및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매니지먼트 P&ID 시스템’을 개발하여 수중함 1척과 수상함 1척의 도면 작업을 완료했다. 이번에 구축된 시스템은 배관설계의 상세도와 구매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를 자유롭게 추출 및 활용하도록 하여 준공모델 생성 과정과 담당자 간의 협의 시간을 단축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번 시스템 구축에 아비바 솔루션을 채택하게 된 가장 큰 이유
빅데이터 기업 '팔란티어'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위한 협약 체결 조선·해양, 에너지, 산업기계 등에 빅데이터 플랫폼 공동 구축 현대중공업그룹이 글로벌 빅데이터 기업인 미국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 이하 '팔란티어')와 손잡고 조선·해양 등 핵심사업에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현대중공업그룹은 1월 4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팔란티어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합작사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현대중공업그룹은 팔란티어와 함께 ▲조선·해양 ▲에너지 ▲산업기계 등 그룹 내 핵심계열사에 빅데이터 플랫폼을 공동 구축한다. 이를 위해 현대중공업그룹은 계열사들의 공정 전문지식과 영업 노하우를, 팔란티어는 자사의 소프트웨어와 개발인력 등을 제공한다. 계열사별 플랫폼 구축이 마무리되면 양사는 빅데이터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판매하는 전문 합작사를 설립할 예정이다. 그간의 축적된 성과를 바탕으로 플랫폼 구축부터 운영에 이르는 빅데이터 솔루션을 사업화 해 국내외 기업들을 대상으로 매출을 일으킨다는 계획이다. 현대중공업은 2030년까지 스마트조선소로 전환하기 위한 'FOS(Future of Shipyar
헬로티 함수미 기자 | AVEVA(아비바)가 글로벌 해양기술 자문기관이자 선급기관인 미국선급협회(ABS)와 조선해양산업 전반의 운영 성능 향상 및 지속가능한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아비바 PI 시스템의 운영 데이터 관리 플랫폼은 ABS의 위기관리 플랫폼 마이 디지털 플릿과 통합돼 선박 센서에서 추출된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 및 표준화한다. ABS의 머신러닝 모델은 이렇게 집계된 운영 데이터를 분석해 항해 성능에 관련된 인사이트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연료 절감을 통한 연료비 감축 및 탈탄소화를 실현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스마트 선박 운영 능력을 강화한다. ABS 마이 디지털 플릿 얼라이언스 프로그램은 하나의 통합 플랫폼에서 고객들에게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인텔리전스 및 기술 제공업체 생태계를 육성하도록 설계됐다. ABS 마이 디지털 플릿을 통해 기업은 해상 IoT의 데이터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ABS의 고급분석 기능을 사용하여 운영 데이터를 환경에 맞게 맥락화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시각화 할 수 있다. 스마티 매튜 존 ABS 디지털 솔루션 부문 부사장은 “이로써 선주, 용선자 및 선박 운항 관리자가 연료 소비 추세와 탄소 배출량을 이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아트라스콥코는 10월 19일부터 2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2021 국제조선 및 해양산업전(이하 코마린)’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아트라스콥코는 이번 코마린 전시회에서 ‘Atlas Copco, A Total Green Solution Partner’라는 슬로건 아래, 압축공기 시스템에서부터 및 가스 컴프레셔, 렌탈 서비스까지 조선 및 해양 산업에 최적화한 토털 솔루션을 선보인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선박마다 다르게 요구되는 조건에 일대일 맞춤형 솔루션을 갖춘 스타팅 에어, 컨트롤 에어, 인스트루먼트 에어, 워킹 에어 등에 필요한 컴프레셔는 물론 가스 시스템, 가스 컴프레셔, 렌탈 서비스 제품들을 통합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주요 전시 제품으로는 워킹 에어에 필요한 급유식 스크류 컴프레셔 ‘MAS GA22FF’, 가스 시스템을 위한 PSA 방식의 질소 발생기 ‘MN 1000’, LNG 선박 공정을 위해 맞춤 설계된 BOG 가스 컴프레셔 ‘GZ 800 VSD’, 여러 대의 컴프레셔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중앙제어장치 ‘Optimizer 4.0’ 등이 내부 전시장에 소개된다. 외부 전시장에서는 언제 어디서든 공기, 전력, 질소 등
헬로티 함수미 기자 | 가스트론이 선박 건조 및 운용에 필요한 가스 감지 시스템 GDS Series로 선급인증을 포함한 해외 유수의 인증 8종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대개 선박용 제품 인증은 변화무쌍한 ‘해상’의 특성 탓에 육상 대비 획득 조건이 매우 까다롭다. 안정성이 필수로 요구되는 안전기기의 경우 더욱 까다롭다. 고·저온 시험부터 온·습도 시험, 진동 시험, IP등급(방진·방수) 시험, 전자파 시험 등 극한의 과정들을 거쳐야만 한다. 높은 난이도 덕분에 육상에서도 선박용 인증을 제품 성능의 척도로 삼기도 하며, 다종의 선박용 인증을 획득한 제품에는 별도의 확인 절차가 생략되기도 한다. 인증 기관별로 통과 기준이 상이해 한 제품으로 여러 시험을 통과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 선급인증 KR, 미국 선급인증 ABS, 프랑스 선급인증 BV, 중국 선급인증 CCS, 영국 선급인증 LR, 러시아 선급인증 RS, 노르웨이 선급인증 DNV 등의 선급인증을 획득했고, IMO(국제해사기구)가 가스 감지 시스템 한정으로 요구하는 FSS Code 16과 MSC.1/Circ.1370도 충족시키며 유럽 선박 건조에 필수 요건인 유럽연합지침 MED까지 발급받았다. 이번 선박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바이코(Vicor)는 해양 에너지 시스템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C-Power의 자율 해양 전력 시스템(AOPS)에 자사의 전력변환 솔루션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C-Power의 자율 해양 전력 시스템은 해양 석유 및 가스 탐사와 생산, 해양 탄소격리, 해양학 연구, 양식 및 국토방위와 같은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파도 에너지를 포집해 전력으로 변환하는 솔루션이다. C-Power는 해양 자산을 위한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에너지 발전 및 스토리지를 개발하고,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및 통신 서비스를 실현함으로써 해양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C-Power, 킬로와트급 해양 에너지 하베스팅 C-Power는 해양의 파도 에너지를 활용해 석유 및 가스 탐사와 생산, 해양 탄소격리, 해양학 연구, 양식업 및 국토방위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해양 애플리케이션을 만든다. WEBS(Wave Energy Buoy System)라는 DARPA 프로젝트를 통해 초기부터 해상 데이터 통신을 위한 킬로와트급 원격 전력 시스템에 주력해 왔다. C-Power는 WEBS 프로젝트를 통해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는 수중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