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벤처스가 베트남 AI 기반 고객 경험 관리(CXM) 플랫폼 Filum AI에 100만 달러(약 13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동남아 AI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번 투자에서 더벤처스는 리드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베트남 최대 기업 빈그룹 산하의 빈벤처스를 비롯한 다수의 전략적 투자자들도 동참했다. 베트남의 AI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고객 경험(CX) 혁신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AI 기반 자동화와 맞춤형 고객 대응 기술이 글로벌 기업들의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Filum AI는 AI 에이전트 기반 자동화와 고객 맞춤형 인터랙션 기술을 통해 CXM 시장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더벤처스는 이번 투자를 통해 Filum AI의 기술력과 시장 확장성을 강화하고 동남아 CXM 시장 내 AI 도입 확대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Filum AI는 2020년 실리콘밸리와 베트남 출신 AI 및 디지털 전문가들이 설립한 스타트업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기업의 고객 경험을 혁신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 기반 맞춤형 인터랙션 ▲고객 여정 분석 및 자동화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고객 응대 등 CX 전반을 최적화하는 기술을
푸드테크 기업 네이피(대표 손정미)가 지난 2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국제발명대회에서 금상과 특별상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네이피는 발효식품의 유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퍼멘트키퍼(Ferment-Keeper)’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단순히 발효를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 내 유익균을 보호하면서도 발효 과정을 조절해 소비기한을 연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의 해외 유통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김치는 냉장 컨테이너를 이용한 운송 시 약 60일의 소비기한이 보장되지만, ‘퍼먼트키퍼’ 기술을 적용하면 이를 더욱 연장할 수 있다. 손정미 대표는 “발효식품은 소비기한이 짧아 해외 수출이 어려운 구조였고, 발효가 지속되면서 포장지가 부풀거나 터지는 문제가 있었다”며, “퍼먼트키퍼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소상공인들이 내수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피는 창립 이래 꾸준히 성장하며 K-푸드를 세계에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2024년에는 ‘퍼멘트키퍼’ 기술을 적용한 김치로 NET(신기술) 인증을 획득하며 기술력을 공인받았다. 또한 지난해 11월 한양대 기술
무빈(MOVIN)이 프리A 라운드에서 4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가 리드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DSC인베스트먼트-슈미트가 함께 참여했다. 무빈은 2023년 8월 법인 설립 이후 불과 3개월 만인 2023년 11월에 첫 시드 투자를 받았으며, 약 1년 후인 2025년 2월에 프리A 라운드 투자 유치를 진행했다. 이러한 빠른 속도의 투자 유치는 무빈의 기술력과 시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받고 있다. KAIST, 메타 리얼리티 랩스 출신 개발진으로 구성된 무빈은 복잡한 장비와 센서 없이도 실시간으로 고품질 3D 모션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AI 기반 모션캡처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기존 모션캡처 시스템보다 훨씬 간편하고 경제적이면서도 고품질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빈의 핵심 제품인 '무빈 트레이싱(MOVIN TRACIN)'은 세계 최초로 LiDAR와 AI 기술을 결합한 마커리스 모션 캡처 장치로, 기존 모션 캡처 기술의 고가·복잡성·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한 솔루션이다. AI와 LiDAR 센서를 활용해 별도의 마커 없이 실시간으로 고품질 3D 모션 데이터를 캡처할 수 있어 게임
미국 텍사스 댈러스 소재 이차전지 양극재 제조사인 액트아이온(ACT-ion)이 벤처투자가 위축된 시기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투자자들로부터 100억원 규모의 Pre-Series A 투자를 유치했다. 독일의 BASF Venture Capital의 주도로 국내 미래에셋캐피탈과 LG테크놀로지벤처스가 참여하고, 미국의 Arosa Capital Management와 Hunt Energy Enterprises가 투자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액트아이온은 자사의 양극재 연속제조공정 기술의 스케일업 및 검증을 계획하고 있다. 임진명 대표를 중심으로 미국 에너지 기업인 Hunt Energy Enterprises에서 창업 및 스핀오프된 액트아이온은 연속제조공정을 통해 기존 양극재 제조공정의 난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종류의 고성능 단결정 양극재를 고속 고효율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해왔다.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다수의 서포트를 받을 뿐만 아니라 ‘R&D 100 2024 Winner’로 선정되는 등 차세대 양극재 및 제조공정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한화모멘텀과 함께 산업통상자원부 글로벌산업기술협력사업에 선정되는 등 국내외 활동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액트아이온은 연속제조
솔리비스가 124억 규모의 브릿지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2일 밝혔다. 솔리비스는 강원도 횡성 소재 고체전해질 양산공장 건설 및 운영자금으로 최근 124억7000만 원 규모의 브릿지 투자유치에 성공해 누적투자액이 400억 원을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솔리비스는 이번 브릿지 투자가 기존 주주 및 투자사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해 진행됐으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솔리비스의 글로벌 성장가능성을 높게 평가해 신규 투자자로 합류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솔리비스는 2020년 설립 이후 지금까지 총 422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솔리비스는 “어려운 국내 투자환경 속에서 제조 스타트업이 누적 투자금 422억 원이라는 대규모 자금 조달에 성공하게 된 것은 고무적인 성과”라며 “지난해 2월 2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유치 이후 양산공장 설립에 매진하면서 전고체 소재 양산모델 4종을 잇따라 발표하는 등 시장선도능력을 입증한 것이 기존 주주들의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솔리비스는 브릿지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완료함에 따라, 올해 2분기 완공 예정인 강원도 횡성공장 대량생산 설비 설치와 양산준비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솔리비스 고체전해
AI 기반 반도체 설계 및 공정 최적화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액시언(대표이사 김기섭)이 설립된 지 불과 4개월 만에 20억 원 규모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링크브릭스벤처스와 베터그라운드가 공동으로 참여해 액시언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2024년 7월 설립된 액시언은 인텔, 삼성전자, 시놉시스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 출신 전문가들이 설립한 기업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반도체 설계와 공정을 최적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창업팀에는 해당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력을 보유한 인재들이 포진해 있어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액시언의 창립자인 김기섭 대표는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인텔, 삼성전자, 시놉시스 등에서 임원 및 과학자로 활동하며 IEEE Richard Newton Award, Don O Pederson Award, Intel Achievement Award 등 업계 최고 권위의 상들을 수상한 바 있다. 이러한 이력은 김 대표가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자로 평가받는 이유다. 또한 액시언은 창업 초기부터 벤처기업 인증을 획득하고 신용보증기금 퍼스
글로벌 콘텐츠 보안 SaaS 전문기업 잉카엔트웍스가 111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SV인베스트먼트가 주도했으며, DSC인베스트먼트, 스톤브릿지벤처스, 이노폴리스파트너스, IBK기업은행이 공동 투자자로 참여했다. 잉카엔트웍스는 모바일 앱 보안 서비스 ‘앱실링(AppSealing)’과 미디어 콘텐츠 보안 솔루션 ‘팰리컨(PallyCon)’을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하는 기업으로, 최근 3년간 해외 매출 연평균 성장률(CAGR) 43%를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잉카엔트웍스는 이번 투자 유치를 계기로 미국 및 유럽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우수 기술 인력을 확보해 제품 고도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잉카엔트웍스는 네이버, CJ E&M, 티빙, 데브시스터즈 등 국내 주요 기업뿐만 아니라 AMC네트워크,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도국영은행(SBI), 핀액셀(FinAccel) 등 글로벌 고객사 400여 개를 확보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해왔다. 또한, 앱실링은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가트너(Gartner)에서 ‘앱 보안(App Shielding)’ 분야 샘플 벤더로 선정되었으며, 글로벌
인천광역시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조성한 인천빅웨이브모펀드 기반의 투자 유치 플랫폼 ‘빅웨이브(BiiG Wave)’가 올해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총 202.7억 원의 투자유치 성과를 달성했다. 이로써 지난 2021년 시작된 빅웨이브의 4년 누적 투자 유치 성과는 1492.7억 원으로 늘어났다.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급격하게 얼어붙어 ‘투자 빙하기’로 불리는 시기에 1500억 원에 가까운 성과를 낸 것이다. 빅웨이브 4년 차를 맞아 프로그램도 확장 개편됐다. 인천센터는 빅웨이브 2.0의 비전과 방향을 올 초 발표하여 기존의 정규 IR에, 투자 유치에 집중하는 프라이빗 IR과 글로벌 투자유치를 통한 스케일업을 지원하는 빅웨이브 글로벌을 추가했다. 정규 IR의 경우 빅웨이브 인지도가 증가함에 따라 올해 이 프로그램에 지원한 전국의 스타트업이 300개를 넘으면서 단일 회차 최다 모집 기업 수를 기록했다. 올해 처음으로 진행된 빅웨이브 프라이빗 IR은 산업군별로 스타트업과 투자자의 매칭을 지원했다. 특히 3회차에 진행된 바이오 분야의 경우, 바이오 분야의 대·중견기업, 투자사, 병원, 연구기관, 스타트업이 모두 모이는 자리로 만들어져 분야별
데이터브릭스가 시리즈J 투자를 유치했다고 18일 밝혔다. 데이터브릭스는 100억 달러(한화 약 14조3000억 원) 규모의 지분 희석이 없는(non-dilutive) 자금 조달을 진행 중이며 현재 86억 달러를 완료했다. 이번 투자로 데이터브릭스는 620억 달러(한화 약 89조2000억 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 받았다. 이번 투자는 스라이브 캐피털 외에도 안드레센 호로위츠, DST 글로벌, GIC, 인사이트 파트너스, WCM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가 공동으로 주도했다. 또한 기존 투자자인 온타리오 교직원 연금과 함께 아이코닉 그로스, MGX, 샌즈 캐피탈, 웰링턴 매니지먼트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데이터브릭스는 최근 AI에 대한 전례 없는 관심에 힘입어 가속 성장세를 보이며 전년 대비 60% 이상의 성장을 기록했다. 데이터브릭스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고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새로운 AI 제품 개발, 인수, 글로벌 시장 공략 확대에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조달된 자금은 회사의 성장을 지원하는 동시에 전·현직 직원에게 유동성을 제공하고 관련 세금 납부에 사용될 예정이다. 아울러 데이터브릭스는 이번 분기 최초로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
독보적인 멀티모달 영상이해 기술과 시장에서 입증된 고객가치 높게 평가받아 트웰브랩스가 3000만 달러(약 430억 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글로벌 최대 데이터 플랫폼 기업인 스노우플레이크, 데이터브릭스를 비롯해 SK텔레콤, 허브스팟벤처스, 인큐텔이 참여했다. 지난 6월 시리즈 A 투자 유치 이후 데이터·AI 분야 선도 기업들이 잇달아 투자에 나서며 트웰브랩스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이번 전략적 투자 유치로 트웰브랩스의 누적 투자 금액은 약 1억700만 달러(1530억 원 규모)에 달한다. 투자사들은 트웰브랩스의 독보적인 멀티모달 영상이해 기술과 시장에서 입증된 고객 가치에 주목했다. 현재 프로 스포츠 리그, 주요 영화 제작사, 세계 최대 미디어 기업 등 영상 콘텐츠를 보관하고 운용하는 다양한 분야의 고객사들이 트웰브랩스의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영상 콘텐츠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수요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번 투자의 일환으로 데이터브릭스와 스노우플레이크는 각 사가 보유한 데이터를 트웰브랩스의 기술을 연동해 기업 고객들에게 더욱 강력한 영상이해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 데이터브릭스는 트웰브랩스의 API를
팹리스 업계 최대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누적 투자금액 1000억 원대 달성 파네시아가 800억 원 이상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유치로 파네시아는 잠재적 지분을 반영해 3400억 원대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번 투자는 시리즈 A 단계에서 한국에 본사를 둔 팹리스 스타트업으로는 유일하게, 벤처캐피탈(VC)만으로 이뤄진 초대형 투자로,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금액과 기업가치를 기록했다. 이로써 파네시아는 창업 약 2년 만에 보조금을 포함해 1000억 원대 누적 투자금을 성공적으로 조달했다. 파네시아의 정명수 대표는 “이번 투자금을 바탕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CXL 3.1 스위치 실리콘 칩 개발, CXL IP 고도화, 글로벌 IT 기업과의 협업 등 주요 현안 과제를 완수하고, 함께하는 임직원이 글로벌 산업계에서 성공의 주역으로 주목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파네시아는 캐시 일관성 인터커넥트 기술을 비롯해 효율적인 메모리 확장 솔루션을 개발하는 팹리스 스타트업이다. 데이터 센터 및 AI 가속 솔루션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가졌지만, 현재는 차세대 메모리 연결기술인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ompute Expre
지투파워가 미국 파이브스톤 에너지그룹과 투자 및 사업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지투파워는 파이브스톤 에너지그룹과 투자유치와 사업 협력에 관한 세부사항에 대해 합의했다. 주요 합의 사항은 지투파워의 자금투자, 제품의 미국시장 공급 및 유통이다. 또 이번 양해각서에는 지투파워의 수배전반,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지투파워의 모든 제품에 대한 사업협력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지투파워는 파이브스톤 에너지그룹과 Global Emerging Market Fund(GEM)의 컨소시엄을 통해 한화 약 300억 원대 투자유치 및 첨단 기술 이전을 받을 예정이다. 이번 컨소시엄 투자에는 자산규모 43조 원대 사모펀드를 운용하는 미국의 장기투자 운용사 GEM이 참여한다. 김동현 지투파워 이사(CFO)는 “미국 메릴랜드 주정부와 파이브스톤 에너지가 공동으로 운영 중인 7MW 규모 주정부 소유 태양광 발전소를 첨단 AI CMD 기술을 적용해 ESS 관련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태양광 EPC 및 O&M사업, 배전반 사업 등의 관련 제품 공급과 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김영일 지투파워 대표이사
AI 검색 서비스로 경쟁력 및 기술적 역량 입증해 라이너가 270억 원 규모의 시리즈 B2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본격적으로 글로벌 AI 검색 시장 선점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라이너는 2022년 진행한 시리즈 B1에서 110억 원, 신규로 시리즈 B2에서 270억 원을 유치해 시리즈B 라운드에서 380억 원을 확보했으며, 총 누적 투자금은 440억 원이다. 라운드 오픈 2주 만에 마무리된 라이너의 시리즈 B2 투자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와 인터베스트의 주도로 삼성벤처투자, LB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으며, 기존 투자자인 캡스톤파트너스, IBK기업은행, SL인베스트먼트도 후속 투자를 단행했다. 라이너는 AI 검색 서비스로 경쟁력 및 기술적 역량을 입증해 대규모 투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2015년 하이라이팅 서비스를 출시한 라이너는 ‘사람이 직접 중요한 정보라고 선별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이용자가 찾는 정보와 관련성이 높고 고품질의 정보를 포함한 출처를 선별하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했다. 라이너는 2023년 국내 최초로 AI 에이전트 기술을 선보였으며, 출처 선별에 특화된 LLM을 자체 개발해 신뢰할 수 있는 AI 검색 서
브루, 브이플랫, VOC 스튜디오 등 자사 서비스로 지속적인 성장세 보여 보이저엑스가 165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인터베스트와 뮤렉스파트너스가 새롭게 참여했다. 보이저엑스는 2017년에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2021년 알토스벤처스, SBVA(구 소프트뱅크벤처스아시아), 옐로우독으로부터 300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번 투자를 통해 보이저엑스의 누적 투자금은 총 465억 원에 이르게 됐다. 최근 투자 혹한기에도 불구하고, 보이저엑스가 165억 원 이상의 투자금을 유치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그들의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가 있다. 보이저엑스는 영상 편집기 '브루(Vrew)', 모바일 스캐너 '브이플랫(vFlat)', 고객 상담 데이터 분석 솔루션 'VOC 스튜디오(VOC Studio)' 등을 선보이며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브루는 AI를 활용한 자동 자막 생성 기능 및 영상 제작 기능을 제공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브루의 유료 구독자 수는 2024년 8월 기준, 1년간 약 3.5배 증가했다. 또한, AI 기반 고품질 스캔 기능과 필기 지우기 기능 등을 제공하는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기술 고도화 도모...2026년 상장 목표 빈센이 시리즈 C(Series C)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투자금은 총 200억 원 규모다. 빈센은 지난달 GS그룹의 기업주도형 밴처캐피털(CVC) GS벤처스를 통해 투자금을 유치한 데 이어 교보증권을 신규 투자자로 맞이했다. 그 외 추가로 35억 원을 유치해 총 200억 원의 투자를 완료하고 시리즈 C 라운드를 마쳤다. 빈센은 이번 시리즈 C 투자금을 활용해 관련 시설을 확충하고, 연구개발(R&D)에 투자하 선박용 수소연로전지 기술 고도화를 노린다. 이에 이어 오는 2026년 상장을 목표로 기업공개(IR) 절차를 수행할 거칠 예정이다. 빈센은 지난 2017년 설립 이후 2021년 전남 영암군 소재 대불국가산업단지에 4300㎡ 규모 공장을 설립해 선박용 연료전지 시스템과 전기 및 수소 하이브리드 기반 친환경 선박 추진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 지난해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서 순수 전기 추진 여객선 ‘정원드림호’를 운항해 주목받았다. 이칠환 빈센 대표는 “이번 투자유치 성료는 빈센의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과 시장 확장에 큰 지렛대로 작용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