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 가치’가 글로벌 제조업에서 조명받고 있다. 자신만의 경쟁력을 강화해 시장 안에서 서로 경합하는 시대에서, 서로 간 기술을 조화롭게 융합해 새로운 발전을 도모하는 전략이 차세대 성장 모델로 자리매김하는 양상이다. 이는 새로운 기술을 공유·도입하면서도, 각자의 전문 역량 극대화에 집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생태계 확장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산업 내 협업·파트너십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로드맵은 스마트 제조, 제조 디지털화 등 제조 시스템의 변혁을 앞둔 상황에서 필수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파트너십은 디지털 제조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각 기업이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추적으로 활약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 전문 미디어 그룹 (주)첨단은 국내 대기업 계열사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파트너십 세미나 세션을 기획했다. ‘디지털 제조 혁신 데이’는 기업 간 가치사슬(Value Chain) 확대를 목표로, 다양한 시각에서의 ‘협력 생태계 조성’을 강조한다. 행사에는 제조업 관련 다양한 글로벌 업체 관계자가 연사로 참여해, 기술 동향부터 성공 사례, 다양한 시각의 인사이트 등을 제시한다. 디지털 제조 혁신 데이는 지난해 8월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 이
인공지능, IoT, 증강현실 등 신기술을 통한 스마트 제조로 제조업 비즈니스 과제 방안 제시 이달 28일 디지털 전환(DX) 시대에 제조업 고도화 전략을 제시하는 '제 1회 디지털 제조 혁신 데이'가 개막했다. 기술 발전에 따라 스마트 제조의 중요성이 강화되면서 인공지능(AI), IoT, 증강현실(AR)과 같은 신기술을 통합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이번 제 1회 디지털 혁신 데이는 산업 전문 미디어 (주)첨단이 주최하는 행사로, 제조 산업 성장 견인에 기여하는 관계자가 참석해 제조업의 각종 인사이트를 경험했다. 이번 행사에는 슈나이더일렉트릭, 지브라테크놀로지스, 플리어시스템, 한국지멘스 등 글로벌 업체와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 제조부문 관계자가 참석해 제조 현장에 따른 맞춤형 디지털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신기술을 통합한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데이터 혁신을 수용하고, 제조업체의 효율성·유연성을 확보해 혁신을 실현하자는 것이 골자다. 김태호 한국지멘스 이사는 'SDF(Software Define Factory) 구현을 위한 제조 통합 플랫폼 전략'을 주제로 세미나의 문을 열었다. 김 이사는 산업에서 고객이 마주하는 비즈니스 과제로 인력, 품질, 에너지를
지브라테크놀로지스는 ‘2023 대구국제기계산업대전’에 참가해 고정식 산업용 스캐너 및 머신비전 솔루션을 전시했다. 지역 기계‧부품‧로봇산업 3개 분야별 기술과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문 전시회인 ‘2023 대구국제기계산업대전’이 오는 11월 14일(화)부터 17일(금)까지 4일간 엑스코에서 개최됐다. 지브라테크놀로지스는 품질 검사, 추적, 바코드 검증과 같은 제조 및 창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된 VS시리즈 스마트카메라와 FS 시리즈 산업용 스캐너 라인을 현장에서 구동시켰다. VS20 스마트 센서는 1.2MPixel 이미지 센서, 통합된 빨간색 및 흰색 조명, Ethernet, PoE 및 Serial 인터페이스 포트를 갖추고 있다. VS40 및 VS70 스마트 카메라는 모노크롬 2.3MPixel 또는 5.1MPixel 모노크롬 또는 컬러 이미지 센서, 듀얼 Ethernet, PoE, USB-C 및 Serial 인터페이스, 3µm 픽셀 크기 및 디지털 I/O를 갖추고 있다. 모든 VS-시리즈 스마트 장치에는 Aurora 소프트웨어 및 ImagePerfect 및 Golden Image Compare와 같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네 가지 모델로 제
스마트제조 핵심기술 'RFID', 최근 이슈와 올바른 활용방법은? 스마트제조의 첫걸음은 양질의 데이터 확보다. 그러기 위해서는 센서와 RFID, 바코드 등 현장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취합하느냐가 중요하다. 따라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 바로 RFID다. 산업현장에서 RFID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기 위해선 어떤 요소를 고려해야 할까? 전문가들이 이러한 물음 혹은 궁금증에 답을 제시해줄 수 있는 세미나가 열린다. 세연테크놀로지 주최로 제22회 RFID 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가 3월 9일(목) 코엑스 컨퍼런스룸 402호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RFID 이슈와 편견깨기 ▲글로벌 RFID 동향 및 적용사례(지브라테크놀로지스) ▲RFID로 효율적인 물품, 자재, 자산관리 구축하는 방법 제안(보아스소프트) ▲RFID 이해 및 제조공정 적용사례(세연테크놀로지) 등 다양한 주제가 발표된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실제 적용하기 위한 실무지식 소개와,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거나 즉시 적용 가능한 RFID 솔루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이번 세미나는 120명 선착순으로 신청받는다. 무료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에 참석을 원한다면, 참
3월 9일(목) 제22회 RFID 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 개최 스마트제조의 첫걸음은 양질의 데이터 확보다. 그러기 위해서는 센서와 RFID, 바코드 등 현장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취합하느냐가 중요하다. 따라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 바로 RFID다. 산업현장에서 RFID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기 위해선 어떤 요소를 고려해야 할까? 전문가들이 이러한 물음 혹은 궁금증에 답을 제시해줄 수 있는 세미나가 열린다. 세연테크놀로지 주최로 제22회 RFID 기반 공장자동화(공정/물류) 구축사례 세미나가 3월 9일(목) 코엑스 컨퍼런스룸 402호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RFID 이슈와 편견깨기 ▲글로벌 RFID 동향 및 적용사례(지브라테크놀로지스) ▲RFID로 효율적인 물품, 자재, 자산관리 구축하는 방법 제안(보아스소프트) ▲RFID 이해 및 제조공정 적용사례(세연테크놀로지) 등 다양한 주제가 발표된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실제 적용하기 위한 실무지식 소개와,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거나 즉시 적용 가능한 RFID 솔루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이번 세미나는 120명 선착순으로 신청받는다. 무료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에 참
물류창고, 유통 및 풀필먼트 분야에서 변화는 일상적인 일입니다. 하지만 팬데믹 사태로 인해 공급망에 영향을 끼치는 몇 가지 경향들이 가속화됐으며, 이로 인해 물류창고 운영의 민첩성, 자동화, 탄력성을 최대한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증가했습니다. 제조, 유통(리테일), 운송, 물류 및 도매 유통업 등 각 분야에 속한 전 세계 물류창고 의사 결정권자 1500명 이상을 설문 조사해 완성된 Zebra 물류창고 비전 연구 보고서를 읽어보시고, 오늘날 물류창고 관리의 현황, 당면한 과제,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세요. •전자상거래의 성장이 주도하는 물류창고 관리의 변화 •온디맨드 경제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도입 •인력 부족에 따른 자동화 도입 가속화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인더스트리솔루션 인사이트-스마트물류 2021년 글로벌 공급망은 상당한 위협에 노출됐다. 펜데믹으로 촉발된 이커머스의 주문량 증가, 컨테이너 가용성 부족, 급증하는 고객 기대치, 노동력 부족 등으로 공급망상의 불확실성이 급격하게 높아졌다. 앞으로도 기업들은 물류 운영을 전략적으로 혁신하고 실행하도록 계속해서 압박하고 있다. 인더스트리솔루션 인사이트-스마트물류편은 공급망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스마트물류 구현에 필수적인 솔루션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주요 내용> Analysis 2021년 상위 20대 자동인식 및 데이터 캡처 공급업체는 어디? Special Report 지브라테크놀로지스코리아 박현 상무 코그넥스코리아 박민홍 상무 한국하니웰 정연욱 차장 트위니 천영석 대표 오토스토어 최준갑 부장 Case Study EDEKA, 데이터 캡처로 자동화된, 고속 팔레트 보관 및 데이터 캡처의 혜택 누려 Application RFID, 어디에 쓰이고 있을까? Market Trend 2022년을 산업계가 주목하는 물류·운송 키워드 Analysis “물류로봇, 충분한 이해와 준비만이 도입 성공률 높인다” Industry Update CJ대한통운, ‘디지털 물류’ 가속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유니정보는 바코드 장비 유통 전문 회사로 성장해온 기업이다. 2006년 설립한 이래 올해까지 17년 동안 고객의 성원과 믿음을 바탕으로 고객과 함께 바코드 장비 유통 부문 선도기업으로 성장해 왔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모든 바코드 장비를 취급하고 있으며 바코드 장비를 활용한 다양한 솔루션까지 고객에게 제공하는 토탈 바코드솔루션 기업이다. 또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 연속 고용노동부 지정 청년 친화강소 기업으로 선정된,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젊은 인재들이 넘쳐나는 직장이다. Q. 2021년을 돌아봤을 때 주요 성과와 아쉬웠던 점을 꼽는다면 무엇이었나? A. 작년 한 해의 주요 성과라고 하면 급변하는 시대 상황과 시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앞으로 다가오는 미래 유통환경에 한발 앞서 나가기 위한 기반을 새로이 다지는데 전력을 다한 한 해였다. 급변하는 시장의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여 우리 회사 제품을 홍보하고 판매할 수 있는 마케팅과 영업인재들, 그리고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 분야의 인재, 그리고 회사의 미래를 책임질 신성장 사업의 인재 등 각 분야의 다양한 인재들을 새로 영입하였다. 이렇게 작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작년 9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 전시회와 동시 개최된 RFID/센서 제조혁신 세미나에서 지브라테크놀로지스코리아 박현 상무가 ‘지브라의 RFID 시스템을 통한 주요 산업의 RFID 혁신사례’의 주제발표 내용을 정리했다. RFID 기술의 현황 RFID는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자로, 라디오의 주파수를 이용해 자산을 인식시키는 기술이다. RFID는 기술적인 개념이기도 하지만, 주파수를 통해 사물을 인식하는 하나의 프로세스기도 하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등 라디오 주파수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모두 RFID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다. RFID 기술은 실시간으로 자산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해 업무를 간소화하고, 자산 관련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여 업무 효율을 향상한다. 예전에는 바코드, 스캐너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읽는 데에서 끝났었는데, 최근에는 태그에 있는 정보를 읽는 것은 물론이고, 현재 상태, 위치 정보 등의 데이터까지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들이 나오고 있다. 비용 등 여러 요인이 있기 때문에, RFID가 기존 바코드 시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마이크로소프트가 신규 업무동향지표를 공개하고, 현장 근로 환경에 특화된 팀즈 및 비바의 새 기능을 발표했다. 전 세계 20억 명의 현장 근로자는 전체 인력의 80%를 차지하며, 조직의 88%는 현장직 직원을 고용 중이다. 또 기업들은 현장 근로자의 워크플로 현대화, 업무 성과 향상, 직장내 문화 및 소통 개선 등을 목표로 디지털 도구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 협업 플랫폼 팀즈의 현장 근로자 월간 사용량은 지난 2020년 3월 이후 400% 증가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공개한 업무동향지표 ‘현장 근로자의 새 미래를 여는 기술’은 미국, 영국, 일본 등 8개국 현장직 근로자 9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에 기반하며, 현장 근로자의 업무 동향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장에는 배려와 존중의 문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근로자 76%는 동료와 강한 유대감을 느꼈다. 하지만 60% 이상은 회사가 직장 문화 구축과 소통을 우선시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으며, 51%의 비관리직 근로자는 직장에서 존중을 받지 못한다고 답했다. 팬데믹 장기화와 높은 스트레스 등으로 지난해 11월 미국에서만 450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브라는 업계 글로벌 리더로써 바코드 프린터, 바코드 스캐너, 모바일 컴퓨터, RFID 등 기존의 전통적인 제품 포트폴리오에 더해 다양한 M&A를 통해 미래 첨단 기술 및 사업의 다각화를 끊임없이 가속하고 있다. 최근 2~3년 사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생산성 향상 및 비용절감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솔루션 프로바이더가 되기 위해 다양한 M&A를 진행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 지사는 2000년도에 설립됐으며, 올해로 21년 차를 맞이했다. 지난 21년 동안 국내 많은 파트너사와 고객을 지원하고 있다. Q. 2021년을 돌아봤을 때 주요 성과와 아쉬웠던 점을 꼽는다면 무엇인가? A. 2021년도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고 생각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침체로 전 세계가 힘든 시간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지브라는 지속적으로 성장을 했으며 주요 성과를 크게 3가지로 꼽을 수 있다. 첫째, 재택근무 및 언택트 기술이 일반화되면서 온라인 쇼핑 및 물류 시장의 활성화로 제조 및 T/L 특정 마켓의 매출이 증가했다. 또한 나스닥 상장 30주년 맞이 기념 이벤트를 통해 1991년 상장 이후 3.44$
[첨단 헬로티] 의료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세척 후 소독하기 미국에서는 매년 약 170만 명의 환자가 의료 관련 감염(HAI)의 영향을 받는다. 이 중 1/3이 감염 예방 지침을 준수하여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환자, 의료 장비 및 기기, 표면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이 HAI 전염과 관련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휴대전화, 태블릿, 모바일 컴퓨터, 프린터 등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이 빠르게 확장되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치료 품질을 높여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 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유해한 감염균을 보유하여 의료시설 전반으로 미생물을 전파시키는 새로운 위험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병원에서 환자와 직원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세척 및 소독을 포함하는 감염 보호 관행을 적용한 강력한 인프라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국의 보건의료연구소(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를 비롯한 여러 조직에서는 HAI를 줄이는 데 있어서 세척 후 소독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세척’과 ‘소독&rsquo
[첨단 헬로티] 지브라 테크놀로지스(Zebra Technologies)가 식료품점, 할인점과 창고형 매장의 계산 업무 속도 향상을 위한 MP7000 다중평면 1D/2D 이미저를 16일 발표했다. 지브라는 생산성, 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시성 도구 및 유틸리티 소프트웨어 제품군인 ‘데이터캡처 DNA(DataCapture DNA)’도 출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데이터캡처 DNA는 MP7000뿐만 아니라 지브라의 핸드헬드 스캐너, 고정형 스캐너, 컴패니언 스캐너 모두에 적용 가능해 기기 통합, 설치, 관리를 단순화해 비즈니스를 개선하고, 파트너커넥트(PartnerConnect)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채널 파트너들의 기술투자에 대한 개선효과를 체감하게 해준다. 밥 샌더스(Bob Sanders),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수석부사장 및 데이터 캡처 솔루션 부문 총괄은 “모범적인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더 이상 차별화 요소가 아닌 필요조건이 됐다. ‘MP7000’은 계산 업무 속도를 향상시키며, 리테일러가 하룻동안 더 많은 거래를 처리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데이터캡처 DNA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도입함으로써 지브라
▲ TC51HC [첨단 헬로티] 지브라 테크놀로지스(Zebra Technologies)가 자사의 터치 컴퓨터 TC5 시리즈와 DS8100 스캐너, 토털 웨어러블 솔루션이 각각 ‘레드닷 어워드(Red Dot Award)’ 제품 디자인 상을 수상했다고 발표했다. 업계의 요구 조건을 섬세하게 파악하고 인체공학적 요소와 작업 효율성 개선에 초점을 두어 사용자 중심의 제품 디자인을 제공해 온 지브라는 이로써 4년 연속 레드닷 어워드 제품 디자인 상을 수상했다. 1955년부터 시작된 레드닷 어워드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디자인 공모전이며 세계적으로 그 대표성을 인정받고 있다. 올해는 총 54개국에서 약 5,500개 이상의 작품이 등록됐으며, 수상 제품들은 오는 7월 4일부터 8월 6일까지 열리는 특별 전시회 기간 동안 독일 에쎈(Essen) 시의 ‘레드닷 디자인 뮤지엄’에 전시된다. 수상 제품의 주요 특징을 보면, 터치 컴퓨터 TC5 시리즈의 최첨단 디자인은 비즈니스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내구성과 전력 성능, 보안성을 충족시킨다. 또한, 오늘날 엔터프라이즈 고객의 편의를 위해 소비자용 스마트폰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지브라테크놀로지스 재팬이 공개한 모바일 프린터 ZQ520는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고, 온도 내구도 우수한 현장 용도용 모바일 프린터의 새로운 시리즈이다. 프린트 온 디멘드형 포터블 프린터로, 3인치(약 7.6cm)형의 ‘ZQ510’과 4인치(약 10.2cm)형의 ‘ZQ520’을 라인업했다. 전자 소환장이나 주차단속, 영수증, 교통기관의 승차표, 공공요금의 검침표 등 다양한 모바일 용도에 최적이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