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은 13일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후 안도감에 장 초반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6분 현재 전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6.2원 내린 1383.7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전날보다 5.9원 하락한 1384.0원에서 출발한 뒤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 지난 6월(2.7%)과 동일한 수준으로,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에 대체로 부합했다. 관세 정책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9월 정책금리 인하 기대는 커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연준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94.8%로 반영하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47% 내린 98.063을 기록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6.05원을 나타냈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937.25원)보다 1.20원 내렸다. 엔/달러
원/달러 환율은 12일 미국 물가 지표 발표 경계감 속에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일보다 1.9원 오른 1389.9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전날보다 3.0원 상승한 1391.0원에서 출발한 뒤 1387.9∼1393.0원에서 등락했다. 미국 노동부는 이날 밤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 정책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으나, CPI가 시장 예상을 웃돌면 금리 인하 시점은 시장 기대보다 늦어질 수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44% 오른 98.528을 기록했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7.25원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940.67원)보다 3.42원 내렸다. 엔/달러 환율은 0.50% 오른 148.285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12일 미국 물가지표 발표를 앞두고 1390원대로 출발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7분 현재 전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2.8원 오른 1390.8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전날보다 3.0원 상승한 1391.0원에서 출발한 뒤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시장에서는 이날 밤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경계 심리가 확산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 정책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으나, CPI가 시장 예상을 웃돌면 금리 인하 시점은 시장 기대보다 늦어질 수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42% 오른 98.580을 기록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8.12원을 나타냈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940.67원)보다 2.55원 내렸다. 엔/달러 환율은 0.47% 오른 148.244엔이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1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11시 11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2.9원 내린 1386.7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전날보다 0.5원 내린 1389.1원에서 출발해 장 초반 1386.7∼1390.4원 범위에서 거래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진 가운데 12일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환율 변동 폭이 제한됐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03% 오른 98.240을 기록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9.69원을 나타냈다. 전 거래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943.03원)보다 3.34원 내렸다. 엔/달러 환율은 147.57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8일 수입업체 결제수요와 외국인 투자자의 증권 매도 등의 영향으로 상승해 1390원에 바짝 다가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날보다 8.4원 오른 1389.6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전날보다 0.4원 오른 1381.6원에서 출발한 뒤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해 장 초반 1379.7원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달러 가치가 오르면서 수입업체의 결제 수요가 유입돼 환율은 반등했다. 여기에 외국인 투자자가 유가증권시장에서 1572억 원어치를 순매도하면서 환율 상승세를 부추겨 장 마감 직전 1390.0원을 터치하기도 했다. 코스피는 이날 전장보다 17.67포인트(0.55%) 하락한 3,210.01에 장을 마치며 5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했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3.46포인트(0.43%) 오른 809.27에 장을 마감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13% 오른 98.208을 나타냈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3.03원이다. 전날보다 4.11원 올랐다. 엔/달러 환율은 0.17% 오른 147.350엔을
원/달러 환율은 8일 미국 금리 방향을 결정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적 구성 변화를 주시하며 소폭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9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1.5원 내린 1379.7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전날보다 0.4원 오른 1381.6원에서 출발해 보합권인 1379.7∼1382.4원에서 등락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간밤 연준 새 이사에 스티븐 미런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을 지명했다. 지난 1일 사임한 아드리아나 쿠글러 전 이사의 후임으로, 금리 인하를 원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에 발맞출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아울러 제롬 파월 의장의 후임으로 크리스토퍼 월러 현 연준 이사가 유력한 후보로 부상하고 있다는 소식도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는 요인이다. 트럼프 대통령 1기 때 연준 이사로 지명된 월러 이사는 지난달 30일 금리를 5연속 동결했을 때 다수 의견에 반대해 금리 인하 의견을 낸 인물이다. 금리 인하는 달러 약세 요인이다. 이날 오전 9시 19분 기준으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06% 떨어진
원/달러 환율은 7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의 잇따른 금리인하 필요성 언급에 하락하며 출발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2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2.7원 내린 1386.8원이다. 환율은 전날보다 4.0원 내린 1385.5원에 출발해 1380원대 중후반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연준 대표적인 ‘매파’(통화긴축 선호) 성향 인사였던 아드리아나 쿠글러 이사의 전격 사임, 7월 고용지표 악화에 이은 연준 주요 인사들의 발언까지 맞물리면서 9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미 금리인하는 달러 약세로 이어지며 원화 강세 요인이다. 리사 쿡 연준 이사는 6일(현지시간) 미국의 7월 고용지표 악화에 우려를 표명하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단기적으로 기준금리를 조정하는 것이 적절해질 수 있다”며 연내 두 차례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함께 3자 회담을 추진한다는 소식도 달러 약세 요인이 될 수 있다.
원/달러 환율은 6일 미국 금리 방향에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소폭 상승한 채 마감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날보다 1.2원 오른 1389.5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1387.3원에서 시작해 1387.0∼1391.4원에서 움직이다가 1390원 턱밑에서 주간 거래를 마쳤다. 고용쇼크로 미국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졌지만, 서비스업 업황 부진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경기 둔화 속 물가 상승) 우려가 부각되면서 방향이 뚜렷하게 잡히지 않는 분위기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15% 내린 98.68을 기록했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2.13이었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1.75원 내렸다. 엔/달러 환율은 0.97% 오른 147.481엔을 나타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6일 미국 서비스업 업황 부진으로 스태그플레이션(경기 둔화 속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자 방향을 잡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2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와 같은 1388.3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전날보다 1.0원 내린 1387.3원에 출발해 1387.0∼1,389.0원에서 등락 중이다. 간밤 미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7월 미국의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전월(50.8)보다 0.7포인트 하락한 50.1로 집계됐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51.1)을 밑돌았다. 7월 고용 지수는 46.4로 전월 대비 0.8포인트 하락해 서비스업 부문의 고용 여건 위축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미국 경제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한다. 이에 더해 관세 정책이 작용하며 성장세는 둔화하는데 물가는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그러면서 지난주 고용쇼크 여파로 커진 금리인하 기대감은 도로 작아졌다. 같은 시각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1% 내린 98.725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5일 전날보다 소폭 상승하며 1390원대에 다가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날보다 3.1원 오른 1388.3원이었다. 환율은 전날보다 1.2원 하락한 1384.0원에 출발한 뒤 1382.0원으로 내렸다가 방향을 틀어서 오후 한때는 1390.4원까지 올랐다. 환율은 전날엔 미국 고용 지표 충격에 이은 금리 인하 가능성에 큰 폭 하락했으나 이날은 수입업체 결제 등 실수요 저가 매수세에 반등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01% 내린 98.828을 기록했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3.88원이었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6.67원 올랐다. 엔/달러 환율은 0.47% 내린 147.085엔이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5일 미국 고용 쇼크에 따른 금리 인하 기대감에 하락세로 출발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9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2.7원 내린 1382.5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전날보다 1.2원 하락한 1384.0원에 개장해 1380원대 초반에서 거래 중이다. 지난주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보고서 내용이 기대치에 크게 못 미치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를 앞당길 것이란 기대가 부상하면서 달러 약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시장은 연준이 오는 9월 기준금리를 현 연 4.25∼4.50%에서 0.25%포인트 낮출 확률을 96%로 반영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25% 내린 98.592를 기록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5.04원 오른 100엔당 942.25원을 나타냈다. 엔/달러 환율은 0.72% 내린 146.71엔을 기록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4일 미국 고용 쇼크의 여파로 1300원대로 큰 폭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7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13.7원 내린 1387.7원에 거래됐다.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1.4원 내린 1390.0원에 개장해 1380원대에서 거래 중이다. 환율은 지난 1일 미 관세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미 기준금리 동결 전망으로 이어지고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이 순매도하며 1401.4원에 주간 거래를 마쳤다. 두 달 반 만에 1400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이후 미 노동부의 7월 비농업 부문 고용 증가 폭이 시장 전망치 10만 명을 크게 밑도는 7만3000명으로 집계되면서 야간거래에서 방향이 바뀌었다. 노동부는 5월 비농업 일자리 증가 폭도 종전 14만4000명에서 1만9000명으로, 6월은 14만70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총 25만8000명 하향 조정했다. 시장은 그동안 고용 여건이 비교적 탄탄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다고 봤는데, 이 전망이 뒤집히며 달러 가치가 하락했다. 4일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
1일 원/달러 환율은 달러 강세와 외국인 주식 매도에 두달 여 만에 1400원대로 급등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14.4원 오른 1401.4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전날보다 8.0원 오른 1395.0원으로 출발한 뒤 오전 10시33분께 1400원을 넘어섰다. 오후 2시23분 1401.7원까지 올랐다. 환율이 주간 거래 종가 기준 1400원을 웃돈 것은 지난 5월 14일(1420.2원) 이후 두 달 반 만에 처음이다. 미국 관세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기준금리 동결 전망으로 이어지면서 달러 강세를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간밤 미국 상무부는 6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다고 밝혔다. 지난 2월(2.7%) 이후 4개월 만의 최고치였다. 미국 경제 성장이 견조한 흐름을 지속하는 가운데 전날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관세 정책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에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 종가가 100.032로, 지난 5월 20일(100.005) 이후 처음 100선을 넘었다. 현재는 전날보다
원/달러 환율은 1일 달러 강세에 상승하며 1400원 가까이 다가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5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8.6원 오른 1395.6원이다. 환율은 전날보다 8.0원 오른 1395.0원으로 출발한 뒤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미국 관세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기준금리 동결 전망으로 이어지면서 달러 강세를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간밤 미국 상무부는 6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다고 밝혔다. 지난 2월(2.7%) 이후 4개월 만의 최고치였다. 미국 경제 성장이 견조한 흐름을 지속하는 가운데 전날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관세 정책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에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 종가가 100.032로, 지난 5월 20일(100.005) 이후 처음 100선을 넘었다. 현재는 전날보다 0.03% 오른 100.064 수준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25.21원으로,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32.44원보다 7.23원 하락했다. 엔/달러 환율은 0.
원/달러 환율은 31일 미국 기준금리 동결 등에 따른 달러 강세 영향으로 상승했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에 상승 폭은 제한됐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3.9원 오른 1387.0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전날보다 6.9원 오른 1390.0원으로 출발한 뒤 오전 11시41분 1397.4원까지 치솟았으나 오후 들어 1390원 아래로 내려왔다. 한국과 미국은 이날 개장 전 관세 협상을 마무리했다. 미국은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고, 자동차에도 15%의 품목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한국은 조선업 협력 펀드 1500억달러, 반도체, 원전, 이차전지, 바이오 등 대미 투자 펀드 2천억달러 등 총 3천500억달러 규모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국내 농축산물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미국 기준금리 동결 등으로 달러는 강세를 나타냈다. 간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4.25~4.50%로 묶었다. 지난 1·3·5·6월에 이은 5차례 연속 동결이었다. 미국 상무부는 2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속보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