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과별 맞춤 CRM 기능으로 의료 현장 중심 워크플로우 구현 허드슨 메디컬 그룹과 MOU 체결…미국 현지 PoC 본격화 AI 기반 의료 CRM 전문기업 성민네트웍스가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6’에서 ‘인공지능(AI)’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 회사는 자사 AICC(AI Contact Center) 기반 의료 CRM 플랫폼 ‘TalkCRM AI’가 혁신적인 기술력과 디자인을 인정받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번 수상은 의료 서비스 자동화와 환자 경험 개선을 동시에 실현한 기술적 성과를 높이 평가받은 결과다. ‘TalkCRM AI’는 AWS AICC 인프라와 AI 챗봇 엔진을 결합해 24시간 상담, 예약, 마케팅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SaaS형 플랫폼으로, 병원 운영 효율을 높이고 환자와의 접점을 강화하는 솔루션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AI 기반 상담 자동화 ▲시술 내역 기반 맞춤형 마케팅 ▲대기 및 노쇼 관리 ▲진료과별 특화 CRM 기능 등이 있다. 특히 비만 관리용 InBody API 연동, 시술 견적·할인 관리, 진료 세션 추적 등 의료 현장의 실제 워크플로우를 반영한 점이 차별화 요소로 꼽힌다. 성민네트웍스는
AI 반도체 테스트 소켓 수요 급증, 분기 최대 매출 견인 “올해 최대 실적 경신 목표”…4분기 글로벌 수주 확대 예고 글로벌 반도체 테스트 플랫폼 기업 아이에스시가 2025년 3분기 매출 645억 원, 영업이익 174억 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AI 반도체 양산 테스트 소켓 수주 증가가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 아이에스시는 최근 몇 년간 테스트 소켓 중심의 단일 제품 공급 구조를 넘어, 장비·소켓·소재를 아우르는 수직 통합형 테스트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해왔다. 이 전략은 고객의 개발 단계부터 양산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End-to-End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대응력과 제품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번 분기 실적은 주력 사업인 장비와 소켓의 동시 출하가 본격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소켓 부문 영업이익률은 33%, 장비·소재 부문은 15%를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AI 가속기 및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용 테스트 소켓의 납품이 늘면서 수익성이 한층 개선됐다. 아이에스시는 신사업 부문에서도 성과를 확대하고 있
초경량 메커니즘과 AI 보행 제어 결합…자연스러운 움직임 구현 유럽·중국 시장 진출 가속…글로벌 웨어러블 브랜드 입지 강화 웨어러블 로봇 전문기업 위로보틱스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6에서 ‘디지털 헬스’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 2024년부터 3년 연속 CES 혁신상을 거머쥔 위로보틱스는 인간 중심의 설계 철학과 독자적인 웨어러블 로봇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에 수상한 제품은 성장기 아동을 위한 보행 보조 웨어러블 로봇 ‘WIM KIDS(윔 키즈)’다. 이 제품은 아동의 신체 성장에 맞춰 조절 가능한 ‘Growth-Adaptive Frame(성장 적응형 프레임)’ 구조를 적용한 것이 핵심이다. 프레임은 3단계로 교체 가능한 모듈형 설계로 제작돼 4세부터 15세까지 주요 성장 구간을 한 대의 로봇으로 커버할 수 있다. 단순한 크기 조절이 아닌 장기 사용성과 인체공학적 설계를 결합한 점이 CES 심사위원단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무게는 1kg 이하로, 기존 성인용 모델인 WIM S(1.6kg) 대비 약 37% 경량화됐다. 초경량 메커니즘과 AI 기반 개인 맞춤 보행 알고리즘을 결합해 성장기 아동의
로보월드 2025서 인간과 교감하는 로봇 서비스 경험 선봬 ChatGPT API 결합한 자연어 대화로 현장 서비스 실증 서비스로봇 전문기업 클로봇이 11월 5일부터 8일까지 킨텍스에서 열린 ‘2025 로보월드(ROBOTWORLD 2025)’에서 ‘AI 휴머노이드 로봇의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을 주제로 한 실증 시연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기술 데모를 넘어, 로봇이 인간의 감정과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새로운 서비스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클로봇은 이번 시연을 통해 로봇이 단순한 작업 수행 도구에서 벗어나, 사람과 감정적으로 교감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사회적 존재(Social Being)’로의 진화 방향을 제시했다. 전시의 핵심 콘셉트인 “Touch me, Talk to me, Work with me”는 로봇이 인간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감정을 읽고 대화하며, 실제 업무를 함께 수행하는 새로운 경험을 담았다. 이번 시연에는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유니트리(Unitree)의 휴머노이드 G1이 활용됐다. 클로봇은 이 로봇에 AI·자율주행·비전 인식 기술을 통합해 인간의 표정과 감정을 인식하고 반응하도록 설계했다. 특
철강·반도체 등 복잡 공정 중심으로 AI 고도화 추진 AI 플랫폼 ‘런웨이’ 통해 제조현장 실증·상용화 가속 산업 특화 AI 기업 마키나락스가 이삭엔지니어링과 손잡고 철강·반도체 산업 내 버티컬 AI(Vertical AI)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산업 데이터와 도메인 전문지식을 결합해 산업 현장 중심의 AI 생태계를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삭엔지니어링은 대형 플랜트 자동화와 제어시스템 구축 분야에서 20년 이상 노하우를 축적한 스마트팩토리 전문기업으로, 설비 설계·운영 데이터 등 산업 데이터 자산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마키나락스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업별 특화 AI 모델을 개발하고, 자사 AI 플랫폼 ‘런웨이(MakinaRocks Runway)’를 통해 실제 제조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협력은 철강·반도체 산업 등 복잡한 제조 공정 내 AI 고도화를 핵심으로 한다. 마키나락스는 이삭엔지니어링의 제어시스템 데이터를 활용해 공정 흐름, 제어 로직, 생산 변수 등을 학습하는 버티컬 AI 모델을 개발한다. 이 모델은 설비 이상 탐지, 품질 예측, 에너지 효율화 등 제조 현장 전반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향으
회생형·양방향·단방향 전원 구성으로 다양한 테스트 환경 대응 회생 작동으로 에너지 낭비 최소화…비용 절감·탄소 저감 실현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RP5900 시리즈 회생형 DC 전원 공급 장치, EL4900 시리즈 회생형 DC 전자 부하 장치, DP5700 시리즈 시스템 DC 전원 공급 장치로 구성된 신규 고출력 자동 테스트 장비(ATE) 전원 공급 장치 시리즈를 발표했다. 이번 신제품은 엔지니어링 검증 환경에서 고출력·고정밀 테스트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고밀도 설계와 회생 기능,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테스트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함께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산업 전반에서 전력 검증은 복잡해지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전력변환장치(PCS) 등 고출력 장비의 테스트 범위가 확대되면서 공간 제약, 수동 프로그래밍 한계, 에너지 낭비, 데이터 보안 등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키사이트의 이번 신제품군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됐다. 새로운 고출력 ATE 전원 공급 장치는 1.5kW~12kW의 폭넓은 출력 범위를 제공하며, 단방향 전원 공급 장치, 양방향 전원 공급 장치, 회생형 전자 부하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1U에서 최대 6kW, 2
에스오에스랩이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 ‘2025 로보월드’에 참가해 컴팩트한 광각 스캐닝 2D 라이다(LiDAR)를 선보였다. 2016년에 설립된 에스오에스랩은 자율주행 핵심 센서인 라이다를 개발하는 전문 기업이다. 라이다는 레이저 빛을 활용해 주변 환경을 측정하고 3차원 지도를 생성하는 기술로, 자율주행차와 산업용 로봇 등에서 거리 측정, 장애물 감지, 환경 모델링, 고해상도 3D 데이터 생성 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된 에스오에스랩의 2D 라이다 제품은 독자적인 광학 설계를 기반으로 높은 수광 효율과 내구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0.18˚의 고분해능으로 정밀한 객체 인식이 가능하며, 40Hz의 고속 스캐닝을 통해 실시간 장애물 회피 및 상황 대응 능력을 강화했다. 이 제품은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높여 반도체 이송장비, 실내외 산업용 로봇, 공장 자동화 설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회사 측은 “이번 2D 라이다는 콤팩트한 설계와 고성능 스캐닝을 동시에 실현해, 한층 효율적인 스마트 제조 환경 구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2006년 시작돼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로보월드는 제조·스마트팩
부동산 실물자산(RWA) 토큰화는 의심할 여지없이 거대한 잠재력을 지닌 시장이다. 특히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아시아는 모든 글로벌 플랫폼이 주목하는 기회의 땅이다. 그러나 많은 기업이 아시아를 단일 시장으로 접근하는 치명적 실수를 저지른다. 아시아는 언어·문화·규제가 얽힌 복잡한 모자이크다. 성공의 열쇠는 하나의 거대한 전략이 아니라, 각 시장의 결을 섬세하게 읽어내는 ‘초현지화(Hyper-localization)’에 있다. 첫째, ‘문화적 서사’의 현지화가 필요하다. 같은 RWA 상품이라도 어떤 가치를 강조하느냐에 따라 수용도는 극명하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베트남처럼 커뮤니티 문화가 강하고 가상자산 채택률이 높은 시장에서는 ‘다 함께 참여하는 바이럴 성장’ 서사가 효과적이다. 페이스북·Zalo 등 현지 소셜 플랫폼 중심의 친구 초대 이벤트와 게임화된 챌린지를 통해 풀뿌리 확산을 유도해야 한다. 반면 일본 시장에서는 ‘신뢰’와 ‘안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지 기업 및 협회와의 파트너십으로 신뢰를 선(先)축적하고, 자산 안정성과 절차적 투명성을 강조하는 교육 콘텐츠로 보수적 투자 성향을 공략해야 한다. 한국은 제도권 친화적 서사가 설득력이 높다. 공시·리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가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 ‘2025 로보월드’에 참가해 자동화 공정을 위한 제우스 로봇을 선보였다.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는 브라더 공업의 한국 지사로 프린팅 부문과 기어 모터 부문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룹사인 NISSEI Corporation은 브라더 GTR 제품을 제조·생산하며 기어 모터 사업과 기어 사업으로 구성된 브라더 그룹의 기계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브라더 GTR은 기계·FA 산업에 인덕션 기어 모터, IPM 모터, BLDC-DC 모터, 감속기 및 정밀 기어 제품을 GTR 브랜드로 공급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제우스 로봇은 높은 신뢰성과 효율성을 기반으로 한 자동화 전용 로봇이다. 로봇의 관절 구동에 필요한 모터, 감속기, 엔코더, 모터 드라이버 등의 핵심 부품을 하나의 엑추에이터로 모듈화해 구조를 간소화했으며, 부품 표준화를 통해 제조 원가 절감과 유지보수 효율 향상을 동시에 실현했다. 특히 해외 협력사와의 협력을 통해 모터 자체 제작 기술을 확보했으며, 모터 드라이버를 국내에서 직접 생산할 수 있어 공정 최적화와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제우스 로봇은 고속·고정밀 공정이 필요한 산업 현장에서도 높은 안정
알텐코리아가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 ‘2025 로보월드’에 참가해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토탈 엔지니어링 솔루션 서비스를 선보였다. 알텐코리아는 1988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설계·디자인 및 기술 컨설팅 전문기업 알텐그룹의 한국지사로, 제품 기획부터 설계, 디자인, 시험·평가, 생산기술, 통합 유지보수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맞춤형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다쏘시스템코리아의 플래티넘 파트너사로서 고품질의 기술력과 경쟁력 있는 가격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알텐코리아는 ▲AI 서비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서비스 ▲솔루션(설계/CAE) 공급으로 구성된 통합 엔지니어링 포트폴리오를 선보였다. 특히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서비스는 1만 명 이상의 검증된 글로벌 인재풀을 기반으로, S/W·H/W·AI·임베디드·테스트 등 각 분야에 최적화된 전문 리소스를 제공한다. 회사는 “글로벌 리소스를 활용할 경우 국내 대비 약 10~50%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알텐코리아의 글로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컨설팅팀은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맞춰 한 달 이내에 맞춤형 인재를 배치할 수 있으며, 현장 또는 원격 근무 등 유
프로토텍이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 ‘2025 로보월드’에 참가해 3D프린팅 솔루션을 선보였다. 프로토텍은 스트라타시스(Stratasys)와 폼랩(Formlabs)의 국내 최대 파트너사로, FDM, PolyJet, SLA, SAF, DLP 등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3D프린팅 및 3D스캐닝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 주요 제조업체와 협력해 제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양산까지 전 공정을 지원하며, 정부 과제와 연계한 산업 디지털화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프로토텍은 사용자 친화성과 높은 정밀도를 동시에 갖춘 ‘MOMENT 3D 프린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MOMENT 3D 프린터는 우수한 전문 기능과 다양한 소재 호환성을 통해 정교한 디자인과 높은 해상도의 출력물을 구현할 수 있는 제품이다. 회사 측은 “세밀한 디테일과 부드러운 곡선을 정확히 재현해 사용자가 원하는 모델을 완벽하게 출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장비는 플라스틱, 나일론, 유연 소재 등 여러 재료를 폭넓게 지원해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목적에 맞는 소재를 선택하여 시제품 제작부터
산단형 인큐베이팅으로 ‘창업→성장→투자’ 선순환 구축해야 창업혁신지구와 단계별 성장지원체계, 새로운 생태계 출발점 한국 산업의 성장 신화는 산업단지에서 시작됐다. 1970년대 포항제철과 구미전자, 1980년대 창원기계와 반월·시화 국가산단까지, 산업단지는 제조업 르네상스의 상징이었다. 하지만 지금, 그 엔진이 멈추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산단정책연구소의 최신 보고서 「산업단지 제조창업 기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과 시사점」은 이를 명확히 지적한다. 전국 1,341개 산업단지 중 515곳(38.4%)이 이미 ‘노후 단지’로 분류되며, 산업구조는 여전히 전통 주력산업 중심에 머물러 있다. 공장은 남았지만, 새로운 기업은 들어오지 않는다. 보고서는 이 위기의 원인을 “창업이 끊긴 생태계”에서 찾는다. 창업이야말로 산업단지를 되살릴 새로운 불씨이며, 특히 제조창업은 ‘산업단지의 활력 회복–지역균형 성장–산업구조 전환’의 세 축을 연결하는 핵심 열쇠라는 것이다. 제조창업, 숫자는 늘지만 산업단지를 떠난다 2022년 기준 국내 제조창업 기업은 27만 개로, 전체 창업기업(482.9만 개)의 5.6%를 차지한다. 매출액은 171조 원, 종사자는 90만 명으로, 도매·소매
제조업 탈수도권 이동…충청·호남·영남의 산업 새판짜기 경쟁 아닌 연합, 지역 간 제조업 협력모델의 새로운 해답 한국 제조업의 지도가 조용히 바뀌고 있다. 수도권 과밀로 인한 비용 상승, 환경 규제, 인력난이 겹치면서 제조업체들이 지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동시에 충청권은 첨단산업의 신거점으로, 호남권은 특화산업 중심의 성장지로, 영남권은 고도화된 생산 허브로 각각 재정의되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이전’만으로는 산업 균형을 달성할 수 없다. 제조업의 다음 과제는 지역 간 연결과 협력, 즉 산업 연합을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이다. 본 기획에서는 한국산업단지공단 정책연구팀이 발표한 「지역 간 제조업체 입지 이동의 결정요인과 경제 효과 분석」 보고서를 토대로 제조업체의 지역 간 이동 요인과 그 결과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향후 균형발전을 위한 제도 개선 방향까지 제시한다. 이동의 배경 : 수도권 피로와 지방의 기회 지난 10여 년간 제조업의 수도권 집중도는 완만히 하락했다. 반면 충청·호남·영남으로의 이전 비율은 꾸준히 증가했다. 그 배경에는 토지비 상승, 노동력 확보난, 환경 규제 강화가 있다. 수도권의 생산거점 유지비용은 중소기업들에게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까지 치
‘New Space’와 NASA 임무 대응 위한 플라이트 모델 생산 돌입 고신뢰성·방사선 내성 확보로 차세대 위성 시스템 통합 가속 텔레다인 e2v 세미컨덕터가 16GB 우주용 DDR4 메모리의 초기 인증(Initial Qualification)을 성공적으로 획득하며 우주 등급(space-grade) 메모리 솔루션의 신뢰성과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번 인증은 우주 환경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고신뢰성 반도체 개발의 핵심 이정표로 평가된다. 이번에 인증을 획득한 16GB DDR4는 지난해 인증받은 8GB DDR4에 이은 텔레다인 e2v 방사선 내성(Radiation-Tolerant) 메모리 제품군의 확장 모델이다. 기존과 동일한 폼팩터와 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두 배로 늘려, 별도의 하드웨어 재설계 없이 차세대 위성 시스템에 손쉽게 통합할 수 있다. 16GB DDR4는 총 3개 생산 로트를 대상으로 진행된 장기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공정 일관성과 성능 재현성을 인정받았다. JESD47 표준에 따른 혹독한 환경 테스트를 거쳤으며, 온도 변화, 기계적 충격, 방사선 노출 등 궤도 환경을 모사한 조건에서도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입증했다.
전극-캐소드 간 전도거리 최소화, 이온 전도도 향상으로 고효율 복합양극 구현 파우치 셀 검증 완료…모빌리티·드론·산업용 로봇 등 고출력 분야로 확장 추진 신기술 소재 기업 아이엘이 휴머노이드 로봇 구동에 최적화된 전고체배터리(All-Solid-State Battery) 기술의 실용성 검증을 완료했다. 이번 검증은 미국특허 기반의 핵심 기술을 상용 수준으로 끌어올린 성과로, 아이엘은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IP 포트폴리오 구축 및 해외 시장 진출 전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아이엘은 2023년 가천대로부터 ‘CATHODE SUBSTRATE, HIGH-CAPACITY ALL-SOLID-STAT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US 10,177,388 B2)’ 특허를 기술이전 받아 연구개발을 이어왔다. 이번 기술 검증으로 휴머노이드 로봇과 같은 고출력·고안정성 응용 환경에서도 충분한 내구성과 효율성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고성능 모터, AI칩, 센서가 통합된 복합 시스템으로, 배터리의 에너지밀도·내구성·안정성이 핵심 경쟁력이다. 아이엘의 전고체배터리 기술은 전극과 캐소드(Cathode) 물질 사이의 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