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배재인 다쏘시스템코리아 CRE 본부장 인터뷰 컴퓨터지원설계(CAD)는 여전히 2차원(2D) 기반 제품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국내 생산·제조 매거진 ‘엠에프지(MFG)’는 제조·건설 등 업계 종사자 5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여기서 2D CAD를 주로 활용한다는 응답자는 85.83%로, 이는 3D CAD 이용자 46.46%의 두 배 가까운 수치다. 중복 응답이 가능한 설문이었지만 수치상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이 배경에서 다쏘시스템 3D CAD 솔루션 ‘솔리드웍스(SOLIDWORKS)’는 지난 1995년 출시 이후 ‘모두를 위한 3D CAD(3D CAD for Everybody)’를 슬로건으로, 지속적인 도전과 기회를 경험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 세계 36만5000개 업체, 850만 유저가 솔리드웍스를 선택했다. 국내에서 솔리드웍스 브랜드를 담당하는 배재인 다쏘시스템코리아 CRE 본부장은 “2D CAD는 오래전부터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됐기 때문에 그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여전히 많은 선택을 받고 있다”며 “솔리드웍스는 버추얼 트윈(Virtual Twin)과 인공지능(AI)을 융합해 C
주문·납품 등 프로세스를 올인원으로...3D익스피리언스 내 솔루션으로 배치 “새로운 비즈니스 솔루션 탄생...솔리드웍스 존재감 확장에 기여할 것” 다쏘시스템이 구성·가격·견적(Configure·Price·Quote, CPQ)에 최적화된 ‘솔리드웍스 CPQ(SOLIDWORKS Configure, Price and Quote)'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 솔리드웍스 CPQ는 제품 구성, 구조 탐색, 가용성, 가격 책정, 견적 도출 등 프로세스를 담당한다. 다쏘시스템 버추얼 트윈 플랫폼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 이하 3DX)’ 구성요소로 포함된다. 해당 솔루션은 AI 기반 '명령 예측기(Command Predictor)'와 '설계 도면 자동 생성 기능'을 순차적으로 도입해 업무 효율 극대화에 기여한다. 다쏘시스템 관계자에 따르면 이 솔루션은 버추얼 트윈, 가상 디자인 동반자(Virtual Companion), 생성형 경험(Generative Experiences) 등 다쏘시스템의 비전과 함께한다. 각 디자인팀은 3D익스피리언스 내 버추얼 트윈에 ‘제품 구성 가능성 규칙’을 연결하면, 솔리드웍스 CPQ를 활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품 선택, 구조
[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산업 디자이너 ‘카림 라시드(Karim Rashid)’, 기조 연설 및 간담회서 언급해 컴퓨터지원설계(CAD) 기술은 2차원(2D) 도면 형태로 시작했다. 이후 3차원(3D) 모델까지 소화 가능한 형태로 진화하며 다양한 산업에 디자인 혁신을 불러일으켰다. 다쏘시스템 3D CAD 솔루션 ‘솔리드웍스(SOLIDWORKS)’는 이 과정을 가속화한 기술로 활약했다. 솔리드웍스는 2D 기반이던 CAD 프로그램을 3D로 바꾼 최초의 3D파라메트릭 모델링 소프트웨어로 주목받았다. 특히 운영체제(OS)를 리눅스로 활용했던 CAD 업계에 윈도우 기반 프로그램으로 등장해 변혁을 주도했다. 이후 30년이 지난 지금, 솔리드웍스는 수많은 레퍼런스를 양산하며 설계 분야에서 여전한 존재감을 발휘 중이다. 특히 솔리드웍스는 산업 군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제품에 대한 설계가 가능해 확장성이 확보됐다. 이달 23일 미국 텍사스주 시카고에서 진행된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 이하 3DXW)’에서 이를 경험한 증인을 만났다. 세계 3대 산업 디자이너로 평가받는 ‘카림 라시드(Karim Rashid)’는 1세대부터
한국교통안전공단(TS)은 28일 서울 서초구에서 ‘자율주행차 사고 인명피해 발생 시 신속 대응을 위한 유관기관 협력체계 마련 회의’를 열었다고 28일 밝혔다. 회의에는 자율주행차 사고 조사 유관기관인 공단을 비롯해 국토교통부와 경찰청, 한국도로교통공단,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치안정책연구소,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 관계자가 참석해 사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공단에 따르면 국내에서 임시 운행 허가를 받고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는 2022년 말 기준 279대에서 작년 말 471대로 늘었다. 이에 따라 자율주행차 교통사고 건수도 2022년 7건, 2023년 27건, 작년 30건 등으로 매년 늘고 있다. 박기옥 교통안전공단 자율주행차 사고조사위원회 사무국장은 “특히 고속도로 주행 중에 발생하는 자율주행차 사고의 경우 인명 피해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안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단은 이번 회의 이후 자율주행차 사고 시나리오별 합동 대응 훈련을 실시하는 등 유관기관과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또 자율주행차 핵심 부품의 불량 원인을 분석하는 X레이 촬영 장비를 구축하고, 사고정보를 국제 수준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정용식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각종 사고 정보 공유를
아이티엔제이(ITNJ)가 네오와이즈(Neowise)와 함께 산업용 로봇 비전 시스템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8일 체결했다. 두 회사는 최첨단 AI 비전 기술을 엣지(Edge) 단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에너지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극대화하는 데 뜻을 모았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엣지 AI 기반의 실시간 로봇 비전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AI 비전 기술은 높은 연산량과 네트워크 종속성이 문제였으나, 이번 협력을 통해 아이티엔제이와 네오와이즈는 클라우드 의존도를 낮추고 현장에서 즉각적인 처리와 대응이 가능한 AI 비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산업 자동화의 속도를 높이고 보다 정밀한 품질 검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아이티엔제이는 스마트팩토리 및 AI 비전 시스템 분야에서 제조업의 생산성과 품질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기존 AI 기반 검사 및 자동화 기술을 엣지 AI 중심으로 발전시켜 더욱 효율적인 산업용 로봇 솔루션을 개발할 예정이다. 네오와이즈는 AI 기반 능동 학습(Active Learning)과 자동 학습(Auto Labeling) 및 엣지 AI 비전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한국이구스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AW)’에 참가한다고 28일 밝혔다. AW 2025는 스마트 공장, 자동화 산업전으로 산업 자동화를 이끄는 혁신제품 및 솔루션이 모두 한 자리에 모이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이구스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무급유 베어링과 가동형 케이블은 물론, 케이블 가이드 솔루션인 에너지 체인과 6축 로봇 암 ‘ReBel’도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6축 로봇 암 ReBel은 모든 가동 부위에 이구스의 무급유 플라스틱 솔루션이 적용됐다. 모든 파트가 플라스틱으로 제작돼 약 8kg의 초경량 특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모터 및 엔코더의 호환성과 구성품 간의 최적의 마찰 조합을 찾기 위해 개발 단계부터 테스트만 약 1040회 이상을 실시했다. 김영광 한국이구스 대리는 “ReBel 로봇 암에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클라우드 연결만으로 추가 소프트웨어 없이 바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컨트롤러와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 플러그 앤 플레이 버전이 1000만원도 채 넘지 않아 국내 자동
ESS·EMS 사업 추진 MOU…기술력·운영전문성 결합해 EPC 경쟁력 강화 EMS 적용해 ESS 자산 가치 높이는 ‘리패키징’ 사업 추진·신사업도 발굴 LS일렉트릭과 부산정관에너지가 에너지저장장치(ESS) 및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분야에서 협력하며 국내외 스마트에너지 EPC(설계·조달·시공) 시장 공략에 나선다. 양사는 28일 부산 기장군 부산정관에너지 본사에서 ‘LS일렉트릭-부산정관에너지 간 분산자원(ESS)&EMS 사업추진 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박재덕 부산정관에너지 대표이사와 박우범 LS일렉트릭 K-신전력사업본부장(상무)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LS일렉트릭의 ESS 및 EMS 기술력과 부산정관에너지의 프로젝트 운영 전문성을 결합, 국내외 EPC 사업에 공동 참여할 계획이다. 특히, 노후화된 ESS에 EMS를 적용해 전력 부하 패턴에 최적화된 운영을 구현하고 ESS 자산가치를 극대화하는 ‘리패키징(Repackaging) 사업’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스마트에너지 관리, 재생에너지 연계 시스템, 저장전기 판매사업 등 신사업 발굴에도 협력할 방침이다. 부산정관에너지는 SK이노베이션 E&S의 100% 자회
LG CNS가 최근 행정안전부로부터 4곳(상암·부산·가산·하남)의 데이터센터에 대해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을 획득했다. 상암, 부산, 가산 데이터센터는 LG CNS가 소유·운영하고 있으며 하남 데이터센터는 LG CNS가 위탁 운영 중이다.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은 재난과 같은 위기가 발생했을 때 기업활동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비즈니스 연속성 경영시스템(BCMS,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을 평가해, 우수기업에게 인증서를 수여하는 제도다. LG CNS 데이터센터는 각종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최단 시간내에 핵심 시스템을 복구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무중단 전력 공급 역량과 화재, 지진 등의 재해 대응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LG CNS 데이터센터는 고객에게 365일 24시간 무중단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센터의 핵심 인프라 설비인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을 갖추고 있으며, 이중화된 변전소에서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 공급이 중단될 때도 자가발전 시스템으로 동일 용량의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LG CNS는 정전
한국체인모터, FA 설계자 지원 위한 기술자료 확대 배윤식 대표 “산업 발전 위해 지속 성장 노력할 것” 한국체인모터 배윤식 대표이사가 기업 경영의 모범 사례를 구축하고 사회 공헌 활동을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아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표창은 지역 경제 발전과 올바른 기업문화 확산에 기여한 기업인을 대상으로 수여되며, 한국체인모터의 지속적인 성장과 사회적 책임 이행을 상징하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배 대표이사는 “이번 수상은 회사 임직원 모두가 함께 노력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고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한편, 한국체인모터는 FA(Factory Automation) 설계자를 위해 ‘FA 동력전달장치 가이드북 2025 에디션’을 무료 배포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가이드북은 400페이지 분량의 칼라 인쇄본으로 제작됐으며, 휴대성을 고려한 얇은 종이를 사용해 설계자들이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이번 에디션에는 모토바리오(Motovario) 서보타입 제품과 효성 F1 기어드모터 등 주요 동력전달 장치의 상세 도면 및 데이터 자료가 포함돼 있어 설계자
엣지 컴퓨팅 분야의 글로벌 리딩 기업 어드밴텍이 S&P 글로벌이 발표한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Corpor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CSA)’에서 상위 10%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62개 산업군의 7,000개 이상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어드밴텍은 상위 성과를 낸 780개 기업만 등재되는 ‘S&P 글로벌 지속가능 연감 2025(S&P Global Sustainability Yearbook 2025)’에 포함됐다. S&P 글로벌의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는 세계적으로 공신력을 인정받는 지표로,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등 ESG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이번 평가를 통해 어드밴텍은 ESG 경영 활동의 우수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어드밴텍의 에릭 첸 사장은 “어드밴텍의 핵심 경영 전략은 지속 가능성”이라며 “이를 위해 사내 지속가능발전위원회(SDC)와 사외 전문 자문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ESG 성과를 경영진 보상과 연계하는 체계를 구축해 ESG 중심의 경영 의사 결정을 강화하고 있다”
보그워너가 상하이자동차(SAIC) 상용차 브랜드 맥서스(Maxus)와 트랜스퍼 케이스 공급 계약을 맺었다. 보그워너는 SAIC 맥서스에 기계식 잠금 기능이 탑재된 온디맨드 트랜스퍼 케이스와 하이 토크 파트타임 트랜스퍼 케이스 두 종류를 공급하며, 해당 제품은 2026년 3분기부터 양산될 예정이다. 보그워너 트랜스퍼 케이스는 HY-VO 드라이브라인 체인을 적용해 고속 주행 시 효율성을 높이며, 2륜구동 하이 레인지(2H) 모드와 AUTO 모드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풀타임 4륜구동(4WD) 시스템 대비 포장도로 주행 시 연료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온디맨드 4WD 차량의 안전성과 주행 성능을 개선한다. 또한, 기계식 잠금 모드를 통해 오프로드 성능과 경사로 주행 능력을 강화해 리커버리 성능도 제공한다. 보그워너의 트랜스퍼 케이스는 온디맨드 및 파트타임 4WD 시스템을 통합한 설계를 적용해 SAIC 맥서스 차량의 전반적인 성능을 극대화하면서 기술적 신뢰성과 시장 검증을 기반으로 강력한 기술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사벨 맥켄지 보그워너 부사장은 “보그워너는 SAIC 맥서스와 10년 이상 협력해 왔고 중국 및 해외 시장에서 맥서스의 확장을 지원할 것”이라 말했다.
푸드테크 산업, AI·로봇 기술과 결합해 진화 중 외식업 디지털 전환…글로벌 시장 트렌드 주도 K-푸드테크가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적인 한류 열풍이 단순한 음식 문화를 넘어 첨단 기술과 결합한 새로운 산업으로 확장되면서,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푸드테크(Food-Tech)는 식품의 생산부터 유통, 가공, 서비스, 배달, 소비까지 전 과정에 적용되는 기술을 의미하며, 현재 전 세계 외식업계에서 미래 유망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이머전리서치에 따르면, 푸드테크 시장은 2027년까지 3,425억 달러(약 457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접목되면서 그 활용도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푸드테크의 잠재력을 인식한 기업들이 기술 혁신을 통해 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비대면 주문 시스템인 키오스크와 테이블오더 솔루션이 대중적인 이미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필수 기술로 자리 잡았다. 푸드테크 기업 먼슬리키친(이하 ‘먼키’)은 최근 세계 최초로 디자인 및 기술 특허를
코오롱베니트가 ‘쿼타랩(QuotaLab)’과 업무 협약을 맺고 기업 공시 솔루션 ‘xRManager’ 기능을 업그레이드한다. 코오롱베니트는 글로벌 벤처금융인프라 선도기업 쿼타랩의 기술력과 사업 노하우를 접목해 xRManager 도입 고객 범위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공시 업무에 부담을 느끼는 기업 고객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취지다. 코오롱베니트는 공시 관련 업무 노하우가 부족한 스타트업·상장사 등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개발한다. 최근 정부 차원의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 프로그램 시행과 함께, 정확한 공시 정보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관련 서비스에 대한 시장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코오롱베니트는 자체 개발한 기업 공시 솔루션 xRManager와 쿼타랩의 자체 금융 플랫폼 ‘쿼타북’을 연계한 신규 서비스를 출시한다. 앞으로 주식, 주식기준보상, 주주총회 등의 데이터를 쿼타북으로 관리하는 사용자는 API 방식으로 연계된 xRManager를 통해서 손쉽게 공시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번 서비스는 업무 효율성과 함께 데이터 정합성도 대폭 향상한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공시 업무를 진행하던 상장사는 전자공시연동 서비스를 통해 과거 문서를 모두
아이스테이 도입으로 투숙객 편의성 및 호텔 운영 효율성 높일 계획 티오더스테이가 호텔 매니지먼트 법인 산하HM과 업무협약(MOU)을 지난 14일 체결하고, 운영 호텔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산하HM이 운영하는 호텔은 티오더스테이의 호텔 게스트 서비스 플랫폼 ‘아이스테이(i’stay)’를 순차적으로 도입해 투숙객 편의성을 높이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산하HM은 국내에 약 50여개의 호텔, 리조트 등을 개발해 왔으며 해외 유명 체인호텔 브랜드 도입, 위탁운영, 마스터리스, 매각 등 호텔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호텔 매니지먼트 기업이다. 차별화한 운영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 주요 호텔을 관리하며, 티오더스테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호텔 투숙객의 디지털 경험을 한층 개선할 계획이다. 현재 티오더스테이는 데이즈 명동, 밀리토피아 호텔 객실 및 레스토랑에 아이스테이 모바일 버전을 운영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스카이스위트, 한림리조트, 청풍리조트, 라마다 제주시티홀, 라마다 울릉 등 산하HM이 운영하는 다양한 호텔에 아이스테이를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티오더스테이는 호텔 투숙객이 객실 내 태블릿 또는 모바일을 통해 룸서비스 주문, 호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내 차세대 방법론 ‘3D 유니버스(3D UNIV+RSES)’와 비전 프로 통합 다쏘시스템이 애플과 협력해 증강현실(AR)기기 ‘애플 비전 프로(Apple Vision Pro)에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 플랫폼을 통합하기로 했다. 다쏘시스템은 3D익스피리언스 기반 ‘3D 유니버스(3D UNIV+RSES)’에서 비전 프로를 활용하도록 지원한다. 3D 유니버스는 다쏘시스템이 최근 발표한 차세대 기술로, 현실과 가상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현실 데이터가 가상에서 끝없이 연동되는 기법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3DLive’ 비전 OS 애플리케이션은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에서 생성된 가상 공간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환경에서 현상을 시각화하는 데 창구 역할을 한다. 올해 여름경에 출시될 예정이다. 이때 카메라·센서·추적 기능 등 비전 프로에 탑재된 요소와 3D 유니버스에서 구현된 모습이 상호작용하게 된다. 엘리사 프리스너(Elisa Prisner) 다쏘시스템 기업 전략 및 플랫폼 혁신 담당 수석 부사장 “애플과의 이번 협력은 3D 유니버스의 가치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이 협력 관계는 거대하고 고도로 다각화된 고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