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은 6일 1440원 초반대로 떨어졌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날보다 12.1원 내린 1442.4원이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멕시코·캐나다 대상 25% 관세 부과를 자동차에 한해 1개월 적용 면제한다는 소식이 달러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와 함께 독일 정치권에서 5000억 유로(768조 원) 규모의 재정지출 계획을 발표하며 유로화가 강세로 돌아선 것도 달러 약세에 영향을 미쳤다. 같은 시각 달러/유로 환율은 1.08095달러로 전날보다 1.72%나 올랐다. 한국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11월 5일(1.08776달러) 이후 넉 달 만에 최고치다. 이에 따라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104.177로 전날보다 1.30% 내렸다. 엔/달러 환율도 148.88엔으로 전날보다 0.48% 하락했다.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68.77원으로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72.29원보다 3.52원 내렸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6일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발 무역분쟁 일부 완화 기조를 반영해 하락 출발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1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보다 9.5원 내린 1444.9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9.6원 내린 1445.0원에 시작해 오전 중 1440원대 초반에서 움직이고 있다. 간밤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현지시간)부터 시행 중인 멕시코·캐나다 대상 25% 관세 부과를 자동차에 한해 1개월간 적용을 면제한다고 밝혔다. 관세 우려가 일부 해소됨에 따라 투자심리가 회복돼 간밤 뉴욕증시는 반등하며 달러화 약세 분위기를 이어갔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104.342를 나타냈다. 달러인덱스는 종가 기준으로 지난 3일 107.247에서 4일 106.524, 전날 105.553에 이어 이날에는 104대로 수준을 한층 더 낮췄다. 달러인덱스 하락에는 독일 정치권이 10년간 5000억 유로(768조 원) 규모의 재정지출을 발표하며 유로화가 강세로 돌아선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달러/유로 환율은 전날보다 1.55% 오른 1.079달러를 나타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
원/달러 환율은 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인상 관련 강경 발언에도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전날보다 7.3원 내린 1454.5원으로 집계됐다. 간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25%의 관세를 부과한 캐나다와 멕시코에 일부 경감 조치가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는 달러 약세 요인으로 작용해 환율은 7.8원 내린 1454.0원에서 출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회 연설에서 “한국의 평균 관세는 (미국보다) 4배 높다”고 주장한 직후인 오후 12시 8분께 1460.4원까지 낙폭이 축소됐으나, 오후 들어 다시 개장가 부근으로 돌아갔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도 전날보다 0.13% 하락한 105.51를 기록 중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72.29원으로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78.61원보다 6.32원 하락했다. 전날 21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은 원/엔 환율은 오름세가 다소 진정된 모습이다. 엔/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07% 내린 149.65엔이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5일 원/달러 환율은 미국발 무역분쟁 우려가 일부 완화될 조짐에 따라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1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보다 7.7원 내린 1454.1원에 거래됐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간밤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캐나다와 멕시코에 일부 경감 조치가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는 달러 약세 요인으로 작용해 환율은 7.8원 내린 1,454.0원에서 출발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도 전날보다 0.88% 내린 105.590을 나타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71.28원으로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78.61원보다 7.33원 내렸다. 전날 21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은 원/엔 환율은 오름세가 다소 진정된 모습이다. 엔/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23% 오른 149.71엔이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4일 원/달러 환율은 1460원대 초반으로 소폭 하락했고 원/엔 환율은 980원에 육박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거래일보다 1.6원 내린 1461.8원을 나타냈다. 연휴 기간 달러가 약세로 전환한 데 따라 환율은 이날 오전 1455.5원까지 내려갔다가 오후 들어 하락분을 반납하며 한때 1462.2원까지 올랐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2월 제조업 지수 둔화 등 달러 약세 요인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좀 더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압박 등이 하단을 지지한 것으로 보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106.526으로 전날보다 0.67% 하락했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78.61원이었다. 전 거래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75.44원보다 3.17원 올랐다. 이는 2023년 5월 16일(984.37원) 이후 21개월 만에 최고치다.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800원대 후반에서 움직였으나 이날은 한때 980원대를 찍었다. 최근 원/엔 환율 상승은 일본은행의 추가 금리 인상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지난주 1460원대로 급등했던 원/달러 환율이 달러 약세 전환에 따라 장초반 1450원대 후반으로 소폭 하락했다. 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47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보다 4.3원 내린 1459.1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4원 내린 1461.0원에 출발한 후 한 때 1462.0원까지 올랐으나 대체로 1450원대 후반에서 움직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64% 하락한 106.562를 나타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79.06원으로 전 거래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3.62원 올랐다. 엔/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9% 떨어진 149.01엔을 기록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28일 원/달러 환율이 위험 회피 심리 고조에 20원 넘게 급등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일보다 20.4원 오른 1463.4원을 기록했다. 4거래일 연속 상승이자, 주간 거래 종가 기준으로 지난 3일(1467.2원) 이후 약 한 달만에 최고치다. 환율은 8.0원 상승한 1451.0원에 개장한 뒤 내내 오름폭을 키웠다. 외국인의 국내 증시 투매가 이날 환율을 끌어올렸다. 코스피는 전일보다 88.97포인트(3.39%) 내린 2532.78에 장을 마쳤다. 외국인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1조5546억 원을 순매도했다. 간밤 엔비디아를 비롯한 미국 기술주 급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시장에는 위험 회피 심리가 고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달 4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을 재확인하고, 중국에도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71% 오른 107.434수준이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75.44원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56.77원보다 9.67원
28일 원/달러 환율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상승해 약 2주 만에 1450원대로 올라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26분 현재 전일 주간 거래 종가보다 9.9원 오른 1452.9원에 거래되고 있다. 환율은 달러 강세를 반영해 8.0원 오른 1451.0원에 개장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54% 오른 107.249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관련 발언을 이어가면서 시장에는 위험회피 심리가 고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유입되는 합성마약 문제가 해결 또는 크게 개선되지 않으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 유예 중인 25% 관세 부과를 예정대로 3월 4일 집행하고, 같은 날 중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71.74원을 기록 중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65.77원보다 5.97원 올랐다. 엔/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0.09% 오른 149.52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27일 원/달러 환율이 장 초반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25분 현재 전일 주간 거래 종가보다 1.6원 오른 1434.7원에 거래되고 있다. 환율은 3.7원 오른 1436.8원에 개장한 뒤 1430원대 중반에서 등락 중이다. 달러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 등 영향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같은 시각 106.477을 기록했다. 간밤 106.170까지 떨어졌다가 반등해 전일 주간거래 마감 무렵(106.522)과 비슷한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자동차를 포함한 유럽산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 방침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현재 유예 상태인 대(對) 멕시코·캐나다 관세(25%)도 4월 2일부터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위험선호 심리가 다소 회복된 점은 환율 상승 폭을 제한할 수 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63.82원을 기록 중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58.11원보다 5.71원 올랐다. 엔/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0.49% 내린 148.82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미국 달러 가치가 오르며 26일 원/달러 환율이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일보다 2.7원 오른 1433.1원이다. 환율은 0.8원 오른 1431.2원에 개장한 뒤 장 초반 1429.1원까지 내렸다. 그러나 미 국채 금리가 반등하면서 달러 가치가 연동돼 상승했고 환율도 올랐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장 초반 106.155까지 내렸다가, 주간 거래 마감 무렵에는 106.552까지 올랐다. 국내 증시 외국인 순매도도 환율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보다 10.80포인트(0.41%) 오른 2641.09에 장을 마쳤지만, 외국인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3221억 원을 순매도했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58.11원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54.97원보다 3.14원 올랐다. 엔/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0.13% 내린 149.56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26일 원/달러 환율이 장 초반 소폭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27분 현재 전일 주간 거래 종가보다 0.4원 내린 14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환율은 0.8원 오른 1431.2원에 개장한 뒤 1430원 선 부근에서 등락 중이다. 달러는 간밤 경제지표가 부진하게 나오면서 약세를 나타냈다. 경제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에서 발표하는 2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는 98.3(1985년=100 기준)으로, 1월 대비 7포인트 하락했다. 다우존스 전망치(102.3)를 크게 밑돌았으며, 2021년 8월 이후 낙폭이 가장 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4% 내린 106.168 수준이다. 다만 한국 경제 성장 우려가 커졌고, 위험 회피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는 점은 환율 낙폭을 제한하는 요인이다. 한국은행은 전날 새로운 경제전망을 발표하면서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을 1.9%에서 1.5%로 대폭 낮춰잡았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61.15원을 기록 중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54.97원보다 6.18원 올랐다. 엔/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0.66%
25일 원/달러 환율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을 소화하며 소폭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일보다 3.0원 상승한 1430.4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3.6원 상승한 1431.0원으로 출발해 1428.6∼1432.3원에서 등락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본회의에서 시장 예상대로 연 3.00%인 기준금리를 2.75%로 0.25%포인트(p) 인하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외환시장 경계감이 여전하지만 물가 상승률 안정세와 가계부채 둔화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가 크게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기준금리를 인하해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특히 환율에 관해 “국내 정치 불확실성, 미국 관세 정책,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정책 기대 변화 등 영향으로 높은 변동성을 이어가다가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29% 오른 106.59를 기록했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54.97원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55.23원보다
21일 원/달러 환율이 달러 약세 등의 영향으로 추가 하락해 1430원대 초반까지 떨어졌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5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보다 4.3원 내린 1433.6원에 거래되고 있다. 환율은 4.6원 내린 1433.3원으로 출발해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간밤 달러 약세를 지지하는 변수들이 동시다발로 나왔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외신 인터뷰에서 장기물 국채 발행을 확대할 가능성에 대해 “아직 멀었다”고 언급하자 미국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연 4.5% 부근으로 하락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주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1만9000건으로 전주보다 5000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시장 전망치인 21만5000명을 웃도는 수치였다. 이에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이날 오전 8시30분께 106.286까지 하락했다. 현재 106.394 수준이다. 글로벌 무역 갈등 우려가 다소 진정되고,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기대가 고조된 점 역시 달러 약세를 이끄는 변수들로 꼽히고 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57.76원을 기록 중이다.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원/달러 환율은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 합의를 언급한 영향으로 소폭 하락 마감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전날보다 0.6원 내린 1437.9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3.1원 오른 1441.6원으로 출발한 뒤 한동안 상승세를 유지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보도된 뒤 오후 들어 하락세로 전환했다. 오후 12시38분께 1436.5원까지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과의 새로운 무역 합의를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가능하다”고 답변했다. 그는 이어 집권 1기 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매우 좋은 관계였다며, 시 주석이 언젠가 미국을 방문하게 될 것이라고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달러도 약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이날 오전 107.203까지 올랐다가 이내 하락세로 돌아서 현재 106.977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57.67원에 거래됐다.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8.88원보다 8.79원 상승했다. 엔/달러 환율은 0.93% 하락한 150.06엔이다.
원/달러 환율은 20일 달러 강세에 장 초반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날 주간거래 종가보다 2.6원 오른 1441.1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3.1원 오른 1441.6원으로 출발해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간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지난달 의사록이 공개됐다. 미 연방준비제도(Fed) 위원들은 올해 물가 재상승 조짐과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 불확실성 등을 언급하며 기준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달러 강세가 한층 뚜렷해졌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현재 107.153을 기록 중이다. 지난 17일 106대 중반에서 반등하는 흐름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53.55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48.88원보다 4.67원 올랐다. 엔/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23% 내린 151.10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