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여 년간 빅데이터는 산업계에서 중요한 화두로 자리 잡았다. 초기에는 단순히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 집중했지만, 이제는 그 데이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시작됐다. 이는 빅데이터와 AI, 딥러닝 등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대한민국의 제조업체들도 이러한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으며, 스마트 제조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빅데이터의 변화와 도전 빅데이터는 단순히 많은 양의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제는 양보다는 질이 중요해졌다. 양질의 데이터를 통해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기업들이 아직도 어떤 데이터가 자신들에게 유용한지,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갖지 못하고 있다. 데이터의 양은 제타바이트(ZB) 단위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기가바이트(GB)와 테라바이트(TB)를 넘어서는 엄청난 양이다. 이러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는 것이 기업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데이터의 홍수 속에서 질의 세계로 빅데이터는 이제 양보다는 질의 세계로 이동하고 있다. AI와 딥러닝 기술을 통
정부 지원 사업은 기업들이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하고 사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기회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을 효과적으로 받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와 전략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정부 지원 사업을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과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정부 지원 사업 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 정부 지원 사업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몇 가지 주요 사이트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이들 사이트는 다양한 정부 지원 사업의 공고와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기업들이 필요한 지원을 적시에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첫 번째로,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운영하는 ‘기업마당’ 사이트를 추천한다. 이 사이트는 중앙부처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 지원 사업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한다. 특히, 2024년도 중소기업 지원 사업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PDF 자료를 제공하여 기업들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두 번째로,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사이트가 있다. 이 사이트에서는 ‘스마트 제조 지원 강화 사업’ 등 소상공인을 위한 중요한 사업 공고를 확인할 수 있다. 소규모 제조업체들도 손쉽게
HD현대가 선사 및 선급과 손잡고 해양 AI 솔루션의 적용을 확대한다. HD현대는 27일, 조선 부문 중간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과 해양산업 분야 종합 솔루션 계열사 HD현대마린솔루션이 팬오션, 포스에스엠, 미국 선급협회(ABS)와 함께 ‘선내 안전관리 및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AI 솔루션 적용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진행됐으며, HD한국조선해양 김성준 대표, HD현대마린솔루션 이기동 대표, 팬오션 안중호 대표, 포스에스엠 김동균 대표, ABS 김성훈 한국영업대표가 참석해 선박 안전 강화 및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AI 솔루션 기술을 적극 활용키로 합의했다. 협약에 따라 선박 안전과 관련해서는 HD한국조선해양이 개발한 ‘AI 선내 안전관리 패키지 솔루션’이 활용된다. 이 솔루션은 통합상태진단솔루션(HiCBM)과 통합안전관제솔루션(HiCAMS)으로 구성돼 있으며, 선박 내 주요 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해 운항 중인 선박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비상·돌발 상황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신속한 대응을 돕는다. 협약에 참여한 기업들은 현재 HD현대중공업에서 건조 중인 팬오션의 174,000입방미터(㎥
2023년 미국에서 국내기업과 외국기업 간 특허소송이 총 107건 발생하여 전년 대비 3.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미국 진출기업들이 특허분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2023 지식재산(IP) 동향 연차보고서’를 28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07건의 특허소송 중 대기업 관련 소송은 73건(68.2%), 중소·중견기업 관련 소송은 34건(31.8%)으로 집계됐다. 대기업의 특허소송 건수는 2022년 75건에서 2023년 73건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중소·중견기업의 특허소송 건수는 2022년 28건에서 2023년 34건으로 증가했다. 특히, 중소·중견기업의 특허소송 34건 중 19건(55.9%)은 중소·중견기업이 소송을 제기한 경우였고, 나머지 15건(44.1%)은 소송을 당한 경우였다. 이는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이 외국기업을 상대로 적극적으로 특허권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산업 분야별로는 전기·전자 분야에서 특허소송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2023년 전체 특허소송 107건 중 85건(79.4%)이 전기·전자 분야에 집중됐다. 이는 2022년에 이어 컴퓨터·통신·반도체 등 전기·전자 분야에서 특허소송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지난 28일 제105차 정보통신표준총회에서 총 27건의 정보통신단체표준(TTA표준)을 새롭게 제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표준총회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ICT 기술들이 표준으로 채택됐다. 제정된 주요 표준들 중 하나는 ‘분산형 차량 플랫폼 서비스 통신 요구사항’으로 보행자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능형 CCTV 영상 분석 시스템 경보 기록 방법’은 방범 목적으로, ‘공동주택 전력 AMI 데이터 플랫폼-제4부’는 전력 사용 효율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에너지와 비에너지 데이터 융합 기반 사용자 맞춤형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제1부’ 역시 에너지 관리의 일환으로 생활 속 ICT 표준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 전략기술로 주목받는 양자 기술 분야에서도 여러 표준이 제정됐다. ‘광전송망에서 양자내성암호 적용 방안과 프레임워크’, ‘다변수 이차식 기반 양자내성암호–제3부: MQ-Sign, 부가형 전자서명 알고리즘’, ‘양자 키 분배 보안 요구사항’ 등이 그 예이다. 특히, ‘생체정보 기반 마필 개체식별용 DB 구축지침’은 마필의 종자 관리와 보안사고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표준으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최근 매터(Matter) 국제 공인시험인증소를 개소한 이후 첫 번째 시험 제품에 대한 인증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증은 삼성전자의 스마트싱스 스테이션(허브), 스마트싱스 허브 소프트웨어, 스마트싱스 앱(안드로이드)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해당 제품들은 다양한 제조사와 플랫폼 간의 상호연동을 보장하는 매터 표준에 대한 공인 인증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했다. TTA는 지난 2024년 3월, 매터 인증기관인 CSA로부터 공인시험인증소 자격을 부여받았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사업인 ‘지능형 홈 국제공인 시험인증 기반 구축’을 통해 국내 지능형 홈 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매터 공인인증시험소를 개소했다. 이를 통해 매터 제품에 대한 인증시험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다. 현재 TTA에서는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한국윈텍, 클리오 등 국내 중소기업의 다양한 매터 제품들에 대한 시험인증 절차를 진행 중이다. 또한 코맥스, 현대에이치티, 머큐리 등도 올 하반기에 인증을 준비하고 있어 매터 표준을 기반으로 한 국내 지능형 홈 시장의 확대가 기대된다.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드마켓츠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매터 기술이 핵심이 될 지능형 홈 글로벌
방위산업 리튬2차전지 전문기업 탈로스가 차세대 군용 무전기(TMMR) 2차 양산을 위한 사업용 배터리와 충전기 양산품 공급을 시작했다고 27일 밝혔다. TMMR 2차 양산 사업은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고 LIG 넥스원이 개발한 최신 네트워크 무전기인 TMMR을 대량 생산하는 프로젝트로, 기존의 군 통신장비를 대체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LIG 넥스원의 TMMR(Tactical Multiband Multirole Radio)은 전술 다기능·다대역·다채널 성능을 갖춘 최신형 디지털 무전기로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속도가 향상됐으며, 보안성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탈로스 채재호 대표는 “탈로스가 납품하는 이번 양산분은 약 150억 규모로 2025년까지 계획된 일정에 따라 납품될 것이며, 이후 추가 수주가 연달아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지난 4일 방위사업청으로부터 우수조달 기업으로 선정되어 그 신뢰성을 인정받았으며, 이번 TMMR 2차 양산 사업용 배터리와 충전기 양산품도 철저한 품질 관리하에 납품 일정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탈로스는 2005년 설립된 2차전지 전문기업으로, 정부기관 및 민간기업 고객사
세계적인 반도체 회사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엣지 AI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간소화 및 가속화하기 위해 ST 엣지 AI 스위트(ST Edge AI Suite)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스위트는 통합 소프트웨어 툴 모음으로, 임베디드 AI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구축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됐다. ST 엣지 AI 스위트는 데이터 수집부터 하드웨어 상의 최종 구축까지 머신 러닝 알고리즘의 최적화 및 구축을 모두 지원하며,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들을 위해 워크플로를 간소화해준다. 이 스위트에는 스마트 센서부터 곧 출시 예정인 STM32N6 신경망 프로세싱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비롯한 다양한 ST 제품이 포함되어 있다. ST 수석 부사장 겸 CIO인 알렉산드로 크레모네시는 “ST 엣지 AI 스위트는 임베디드 AI 개발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다. 상상력을 발휘하고자 하는 혁신가들은 지능적이고 자율적이며 효율적으로 세상을 감지하고, 추론 및 대응이 가능한 미래의 스마트 사물을 실현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ST 엣지 AI 스위트는 다중 하드웨어 플랫폼 전반에 걸쳐 데이터 과학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하드웨어 시스템 엔지니어 등 다양한 유형
협동로봇 전문기업 뉴로메카는 HD현대삼호중공업에 특화된 협동로봇 ‘옵티 시리즈’를 공급하기로 하며, 조선 산업의 새로운 혁신을 예고했다. 뉴로메카는 선박 블록 용접을 위한 협동로봇을 HD현대삼호중공업에 공급하기 위해 HD현대로보틱스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HD현대삼호중공업은 세계 최고의 선박건조 능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최근 판넬 블록 조립 공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 기반의 판넬 슬릿 용접 시스템이 노후화됨에 따라 협동로봇 도입을 결정했다. 이는 조선소 판넬 블록의 슬릿 용접용으로 협동로봇이 처음 도입되는 사례로, 뉴로메카의 다양한 용접 솔루션 개발의 결과이다. 이번 공급 계약의 특징은 협동로봇을 자율이동로봇과 결합해 공장 상단부의 크레인에 연결된 호이스트를 통해 블록의 각 셀까지 로봇 시스템이 배치되면, 용접 대상물까지 자율 주행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또한 3차원 카메라를 적용해 CAD 정보 없이도 자동으로 블록 형상을 인식해 용접을 수행하는 기술이 최초로 도입될 예정이다. HD현대삼호중공업은 이번 계약을 통해 협동로봇 12여 기를 뉴로메카로부터 공급받아 선박 건조 현장에서의 용접 작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뉴로메카 관계자는 “협동로봇 기반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회장 최현택)는 지난 27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 ICT 미래전략 인사이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공공기관과 ICT 기업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여 최신 ICT 기술 트렌드와 공공부문의 활용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의 시작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황규철 국장의 인사말로 열렸다. 황 국장은 “지난 30년간 우리는 민간과 정부가 합심하여 세계가 부러워하는 ICT 강국을 만들어왔다”면서 “이제는 AI가 가져올 변화와 혁신에 대응하여 새로운 미래를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ICT 기업의 새로운 도전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현택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장은 개회사에서 “민간의 혁신은 공공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공공의 성공 사례는 민간의 산업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며, “오늘의 행사가 미래의 디지털 대한민국을 경험해 보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우찬 공공부문발주자협의회장은 축사에서 AI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공공부문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구현하고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데 필요한 전략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기조발표를 맡은 인텔
보쉬 전동공구 사업부가 전문가용 충전 휴대용 밴드쏘 ‘GCB 18V-127 Professional’을 새롭게 선보였다. 이 제품은 최대 127mm×127mm의 높은 절단 범위를 제공하며, 빠르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밴드쏘는 톱날이 달린 원형띠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절단하는 기계로, 곡면 재단이나 두꺼운 판재를 얇게 가공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금속 프로파일과 파이프 등 금속 자재 절단에 적합하다. ‘GCB 18V-127 Professional’은 금속 절단 작업에 최적화된 설계로 진동 및 스파크 발생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강력한 브러시리스 모터를 적용하여 다양한 절단 작업이 가능하며,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피드 다이얼’과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는 전자식 속도 제어 기능을 통해 높은 공구 제어력을 제공한다. 또한 과부하 보호 장치를 적용해 모터 배터리가 과부하 되거나 과열되면 본체가 자동으로 작동을 중지하여 공구의 수명을 보호한다. 그 외에도 밴드쏘날을 별도의 도구 없이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LED 작업등과 공구 걸이용 고리로 편리한 작업 환경을 지원한다. 보쉬는 작업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다양한 기능도 추가했다. GCB 거치대에
블록체인 전문기업 헤세그와 자동차-IoT 융합 디바이스·서비스 전문기업 자스텍엠은 최근 전략적 업무제휴(MOU)를 체결하고, 자동차 데이터 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사업을 공동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자스텍엠의 자동차-IoT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차량 운행거리, 고장 및 상태 정보, 운전자의 급가속 및 급감속 등의 운전 행동 정보 등이 헤세그의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위변조를 방지하고 데이터 진본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관리될 예정이다. 특히 전기·하이브리드 자동차 배터리 성능평가를 위한 원시자료와 점수 등을 블록체인으로 분산,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생성된 데이터의 이력을 추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체인 신원인증 기술(DID)을 적용하여 차량의 원격 시동, 차문 오픈 등 원격 관리 기능에서 해킹 요소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계획이다. 향후 양사는 일반 차량뿐만 아니라 전기자전거 등의 개인 모빌리티 데이터도 관리하여 탄소제로(net zero) 목표 달성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생성형 AI를 통해 운전습관 분석 및 안전운전 안내 등 사고 예방과 안전운전 지원 목적으로도 사용할 예정이다. 자스텍엠은 또한 미국과 일본으
원강(대표 강태영)은 지난 2년간 로드헤더용 픽커터 개발에 전력을 다해왔으며, 올해에는 디자인 특허와 관련 특허 2건, 상표권 4건을 출원 중이다. 이 기업은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총 340만 달러 이상의 해외 수출액을 기록하며, 특히 픽커터의 수출 실적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로써 해외 시장에서도 그 품질과 성능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로드헤더 장비(SANDVIK MT720, CREG 등)의 픽커터는 대부분 외산으로, 암종이 일축압축강도(UCS)가 크지 않은 퇴적암 계열의 암석에 최적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암, 보통암, 경암에서는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외국산 제품 수입 시 긴 배송 기간과 높은 비용 문제가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원강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수요기업으로서 픽커터에 대한 기술적 검증을 완료했으며, 국내 암반에 최적화된 텅스텐 카바이드 등급을 선택하여 로드헤더 현장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서울 강서구 마곡에 위치한 원강의 Total Foundation R&D Center(연구소장 허엽 사장)에서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최상의 품질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하여 고
TV조선과 크리스앤파트너스가 공동 주최하는 아시아 대표 디지털 테크토크 행사인 ‘서울메타위크’가 26일 개막했다. “기술의 파도를 항해하라: Ride the Waves of Technology”라는 주제 아래, 이번 행사에서는 AI 기술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업의 혁신 방향과 비즈니스 모델을 탐구하며 기업과 개인이 직면한 도전과 미래 비전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행사의 첫날인 26일에는 “AI 내일을 설계하다: AI Shaping Tomorrow’s World”라는 타이틀로 AI의 글로벌 메가트렌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자요티카 모한 구글 클라우드 GenAI 스페셜리스트 △정민영 SK텔레콤 AI플랫폼 부사장 △아비나쉬 마다수 인텔 AI 연구 엔지니어 △린한 게이트아이오 창립자 및 CEO △김선욱 엔비디아 기술 마케팅 상무 등의 전문가 세션이 저녁 6시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둘째 날인 27일에는 “웹3, 메타버스, 크립토의 미래: What's Next? Exploring Web3, Metaverse, and Crypto Futures”라는 주제로 관련 분야의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논의한다. △막심 레파로프 스포티파이 선임 머신러닝 엔지니어 △린 응우옌
인아그룹이 지난 6월 11일부터 20일까지 전국 8개 도시에서 개최한 ‘2024 세미나페어’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페어는 인아그룹이 고객에게 새로운 기술 및 제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기술 세미나로, 올해는 광주를 시작으로 대전, 인천, 서울, 부산, 대구, 수원, 천안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진행됐다. ‘스마트 제조 산업 강화를 위한 인아그룹 기술 세미나’를 주제로 한 이번 세미나페어는 ‘지역별 맞춤 세미나’, ‘데모기 체험’, ‘고객 맞춤 현장 컨설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들에게 인아그룹의 All in One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지역별 맞춤 세미나에서는 △장비 강화를 위한 스테핑모터 적용 포인트 △스마트 제조 산업용 네트워크 종류 및 활용 △모터 선정 및 계산 방법 △제조업의 미래, 협동로봇 자동화 도입 A to Z 등 다양한 주제의 강연이 진행됐다. 또한 데모기 체험 공간에서는 인아오리엔탈모터의 ‘AZ Series’를 비롯해 인아엠씨티의 보쉬렉스로스 ‘LMS’, 인아엠씨티 스마트팩토리 사업부의 Network Motion Controller ‘IMC Series’와 ‘두산 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