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Space’와 NASA 임무 대응 위한 플라이트 모델 생산 돌입 고신뢰성·방사선 내성 확보로 차세대 위성 시스템 통합 가속 텔레다인 e2v 세미컨덕터가 16GB 우주용 DDR4 메모리의 초기 인증(Initial Qualification)을 성공적으로 획득하며 우주 등급(space-grade) 메모리 솔루션의 신뢰성과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번 인증은 우주 환경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고신뢰성 반도체 개발의 핵심 이정표로 평가된다. 이번에 인증을 획득한 16GB DDR4는 지난해 인증받은 8GB DDR4에 이은 텔레다인 e2v 방사선 내성(Radiation-Tolerant) 메모리 제품군의 확장 모델이다. 기존과 동일한 폼팩터와 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두 배로 늘려, 별도의 하드웨어 재설계 없이 차세대 위성 시스템에 손쉽게 통합할 수 있다. 16GB DDR4는 총 3개 생산 로트를 대상으로 진행된 장기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공정 일관성과 성능 재현성을 인정받았다. JESD47 표준에 따른 혹독한 환경 테스트를 거쳤으며, 온도 변화, 기계적 충격, 방사선 노출 등 궤도 환경을 모사한 조건에서도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입증했다.
전극-캐소드 간 전도거리 최소화, 이온 전도도 향상으로 고효율 복합양극 구현 파우치 셀 검증 완료…모빌리티·드론·산업용 로봇 등 고출력 분야로 확장 추진 신기술 소재 기업 아이엘이 휴머노이드 로봇 구동에 최적화된 전고체배터리(All-Solid-State Battery) 기술의 실용성 검증을 완료했다. 이번 검증은 미국특허 기반의 핵심 기술을 상용 수준으로 끌어올린 성과로, 아이엘은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IP 포트폴리오 구축 및 해외 시장 진출 전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아이엘은 2023년 가천대로부터 ‘CATHODE SUBSTRATE, HIGH-CAPACITY ALL-SOLID-STAT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US 10,177,388 B2)’ 특허를 기술이전 받아 연구개발을 이어왔다. 이번 기술 검증으로 휴머노이드 로봇과 같은 고출력·고안정성 응용 환경에서도 충분한 내구성과 효율성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고성능 모터, AI칩, 센서가 통합된 복합 시스템으로, 배터리의 에너지밀도·내구성·안정성이 핵심 경쟁력이다. 아이엘의 전고체배터리 기술은 전극과 캐소드(Cathode) 물질 사이의 전도
nTOKEN 보유·유동성 공급 시 최대 10배 보상 적용 관급 자산 발행업체와 연계된 투명한 볼트 구조 도입 실물자산 금융(Real World Asset Finance, RWAfi)을 위한 최초의 퍼미션리스 오픈 블록체인 플랫폼 플룸(Plume)이 핵심 프로토콜인 ‘네스트(Nest)’를 전면 개편했다. 이번 개편은 기관급 실물 수익과 디파이(DeFi) 유동성을 결합한 새로운 구조를 구현하며, 이용자 보상 시스템을 대폭 강화한 것이 핵심이다. 플룸은 네스트의 기능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볼트 구조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개선했다. 동시에 생태계 참여자 보상 체계인 ‘플룸 네스트 포인트 프로그램(PNP, Plume Nest Point Program)’을 도입해 플랫폼 내 활동에 따른 기여도를 측정하고, 네이티브 토큰 $PLUME으로 보상하는 구조를 마련했다. PNP 시즌1은 2026년 3월까지 운영되며, 전체 $PLUME 공급량의 1%가 배정된다. 이용자는 볼트 토큰(nTOKEN) 보유나 유동성 제공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시즌 종료 후 포인트는 $PLUME 또는 추후 출시될 생태계 토큰으로 교환 가능하다. 특히, 네스트의 핵
산업·방산·AI 시장 겨냥…고성능·고신뢰성 저장장치 수요 대응 PCIe Gen4·DDR5 기반 SSD·DRAM 등 제품 포트폴리오 확보 메이저웍스는 대만에 본사를 둔 저장장치 및 메모리 전문 제조업체인 엑사센드(EXASCEND)와 파트너십을 맺고 본격적으로 국내 영업 및 마케팅을 진행할 것이라고 5일 밝혔다. 엑사센드는 2009년 대만에 설립되었다. PCIe Gen4 x4와 SATA-III인터페이스의 M.2, U.2 SSD 및 DDR4, DDR5의 DRAM과 매니지드(Managed) NAND, 메모리카드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한다. 고용량, 지속적인 읽기/쓰기 성능, 높은 온도에서 긴 시간 작동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산업용, 오토모티브, 방사선 내성, 엔터프라이즈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이 되고 있다. 특히 고객맞춤 디자인 서비스를 통해서 고객이 원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이 성능 문제에 직면했을 때에는 엑사센드 R&D팀이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문제점을 빠른 시간내에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메이저웍스는 2007년 설립되었으며 방산, 교통, AI 분야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영업뿐만 아니라 자체 기술지원 조직
온프레미스 환경 기반, 보안·비용·속도 모두 잡은 AI 솔루션 REST API·웹 UI 지원, 손쉬운 연동과 사용자 접근성 강화 산업용 디지털 트윈 솔루션 전문기업 이안이 온프레미스(On-Premise)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AI 기반 3D 모델 자동 생성 솔루션 ‘오토메쉬(AutoMesh)’를 정식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텍스트나 이미지 입력만으로 고품질 3D 에셋을 자동 생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오토메쉬는 사용자가 자연어(한글/영문) 혹은 2D 이미지를 입력하면, 별도의 전문 3D 모델링 지식 없이도 사실적인 3D 콘텐츠를 자동으로 제작해준다. 반복적인 모델링 작업을 줄이고 프로젝트 특성에 최적화된 모델을 생성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안은 향후 제조, 건설,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산업군과의 연계를 통해 오토메쉬의 적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솔루션은 최신 생성형 AI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과 질감을 자동 복원하며, 실제와 유사한 수준의 3D 모델을 구현한다. 텍스트뿐 아니라 멀티뷰 이미지 입력도 지원해, 사용자가 보유한 2D 자료만으로도 3D 구조를 추론해 자동 모델링이 가
190만 가구 위한 차세대 지능형 에너지 시스템 구상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난방 효율·안전성 동시 강화 글로벌 전기화 및 자동화 선도기업 ABB가 국내 최대 지역난방 사업자인 한국지역난방공사(한난)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 인프라 혁신에 나선다. 양사는 최근 ‘AI 기반 에너지 인프라 혁신 및 디지털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차세대 지능형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공동 연구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ABB의 글로벌 자동화·디지털화 기술력과 한난의 40여 년 운영 경험을 결합해 190만 가구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양사는 공동 협의체를 구성해 한난의 ‘AI 전환(AX) 로드맵’에 맞춰 밸류체인 전반에 AI 솔루션을 적용하고, 에너지 효율 향상과 운영 최적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ABB는 지난 수십 년간 자동화 및 제어 기술을 통해 한난의 지역난방 운영을 지원해온 파트너다. 이번 협약은 두 기관 간 오랜 협력과 신뢰를 기반으로, 한국의 에너지 인프라 디지털 전환을 본격 가속화하는 전략적 계기로 평가된다. 양측은 이번 협력을 통해 ▲AI 기반 예측·진단 기술을 활용한 플랜트
AI와 셀프서비스 중심 데이터 플랫폼의 진화 방향 집중 조명 “기술 넘어 실행 전략으로”…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가치 강조 피앤디솔루션이 글로벌 데이터 관리 기업 디노도(Denodo)와 손잡고 기업 데이터 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지난 4일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DATA INSIGHT TALK’에는 데이터 전략과 혁신을 주도하는 업계 리더 50여 명이 참석해 최신 데이터 관리 트렌드와 AI 기반 데이터 활용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프라이빗 세션(Private Session) 형태로 진행됐으며, 데이터 통합, 시각화, 거버넌스 등 기업의 데이터 혁신 전반에 대한 구체적 방향성이 공유됐다. 오프닝 세션에는 피앤디솔루션 김성기 대표와 디노도코리아 김태홍 지사장이 인사말을 전했고, 이어 피앤디솔루션 이석진 전무의 ‘All about Data’, 디노도코리아 정승재 이사의 ‘AI와 셀프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플랫폼의 진화’, 자동차 배터리 기업의 Denodo 기반 글로벌 데이터레이크 구축 사례 발표 등이 이어졌다. 피앤디솔루션은 이날 세션에서 실제 수행한 디노도 기반 프로젝트 사례를 공개하며 복잡한 데이터 환경에서도 효율적인 통합과 시각화 구현 노하
지스타캐드, 합리적 가격과 강력한 기능으로 CAD 시장 내 존재감 강화 드림플러스, 토목·엔지니어링 현장서 실무 효율 높인 솔루션으로 호평 모두솔루션이 지난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국제도로교통박람회(ROTREX 2025)’에 참가해 자사 대표 제품인 지스타캐드(GstarCAD)와 드림플러스(Dream Plus)를 선보였다. 이번 전시에서 모두솔루션은 다양한 산업군의 CAD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제품 시연과 함께 ‘사용 현황 및 인식 조사’를 진행하며 높은 관심을 모았다. 국제도로교통박람회(ROTREX)는 도로·교통 인프라와 관련 기술의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전문 전시회로, 공공기관·지자체·건설사·엔지니어링사 등 업계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자리다. 모두솔루션은 이번 전시를 통해 CAD 시장 내 사용자 경험과 인식 변화를 직접 파악하고, 지스타캐드의 경쟁력을 알리는 기회로 삼았다. 조사 결과, 많은 참관객이 실제 업무에서 CAD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기간제(정기 구독형) 라이선스를 매년 갱신해 사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느끼는 비용 부담과 라이선스 구조의 복잡
UL 1741 전 항목 통과, 안전성과 신뢰성 모두 확보 300건 이상 UL인증 포트폴리오로 글로벌 입지 강화 LS일렉트릭이 미국 UL로부터 ESS(에너지저장장치) 핵심 구성요소인 PCS(전력변환장치) 최신 제품의 UL 1741 인증을 획득하며 북미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UL 1741은 미국 내 전력변환장치와 인버터 등 분산전원 시스템 제품에 필수적인 안전 인증으로, 이번 획득은 LS일렉트릭이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과 신뢰성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 인증을 받은 제품은 LS일렉트릭의 2세대 ‘MSSP(Modular Scalable String Platform)’ PCS로, 모듈형 PEBB(Power Electronic Building Block) 구조를 기반으로 병렬 연결이 가능해 용량 확장이 용이하다. 여기에 고출력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운전을 보장하는 ‘수냉식 냉각 기술’을 도입해 기존 제품 대비 열 효율을 크게 높였다. 수냉식 구조는 배터리와 PCS를 동시에 냉각할 수 있어 온도 제어가 정밀하고, 이를 통해 배터리 성능 향상 및 설비의 콤팩트화를 동시에 달성했다. 이러한 기술은 고밀도 ESS 솔루션을 요구하는 북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
협회-다쏘시스템 협력, 디지털 제조 생태계 주도할 실무형 인재 양성 국내 제조기업 연계 취업 지원·포트폴리오 리뷰까지 ‘완성형 과정’ 한국전파진흥협회(RAPA)가 디지털 제조 혁신의 중심에서 차세대 인재 양성에 나선다. 협회는 오는 12월 30일부터 ‘카티아(CATIA) 버추얼 트윈 스쿨 5기’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실제 산업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 설계, 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합한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실무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카티아 버추얼 트윈 스쿨’은 프랑스 다쏘시스템(Dassault Systèmes)의 3D 설계 플랫폼 ‘CATIA’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국내 대표 디지털 트윈 전문 교육과정이다. 프로그램은 △3D 모델링 및 디지털 트윈 설계, △버추얼 프로토타이핑 및 시뮬레이션 실습, △문제해결형 캡스톤 프로젝트, △산업형 포트폴리오 제작으로 구성돼 있다. 이론과 실습을 균형 있게 배치해 산업 현장 즉시 투입이 가능한 인재를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교육 과정에는 다쏘시스템코리아를 비롯해 국내 주요 제조기업이 참여해 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맞춤형 기술 교육과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한다. 특히
인더스트리4.0 15주년·한국인더스트리4.0협회 10주년 기념 국제컨퍼런스 개최 데이터스페이스와 SDM 결합, 글로벌 제조 혁신의 새 기준 제시 한국이 독일·일본과 함께 글로벌 AI 제조 확산(스케일업)을 위한 협력 무대를 연다. 한국인더스트리4.0협회는 11월 6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제5회 인더스트리4.0과 산업 AX 국제컨퍼런스’를 열고, AI 제조 혁신의 글로벌 협력 모델을 논의한다. 이번 행사는 인더스트리4.0 선언 15주년과 협회 창립 10주년을 기념하는 자리로, 각국의 산업 전문가와 국내 주요 기업이 한자리에 모인다. 전 세계 제조업이 데이터 중심의 대규모 확산 단계로 접어들면서, 협회는 데이터스페이스(Data Space)와 소프트웨어 중심 제조(SDM: Software Defined Manufacturing)를 결합한 새로운 협력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은 AI가 즉시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 등록·연결이 가능한 구조로, 글로벌 실증 허브로서 한국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컨퍼런스에서는 독일 LNI4.0의 도미니크 로무스 CTO가 ‘AI 제조 글로벌 스케일업 협력 모델(Manufacturing-X Port)’을, 도쿄대학교
현지 파트너십 강화로 인도와 동남아 시장 공략 가속화 R&D·품질경영·수출 성과 삼박자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원강이 최근 인도와 싱가포르에서 열린 해외 로드쇼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해외 진출 상담을 넘어 현지 주요 파트너사들과의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됐다. 원강은 인도 현지 대형 건설업체 A사와 만나 기존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한 사업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를 통해 인도 내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넓히고 시장 점유율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또 싱가포르에서는 현지 건설기업 B사 및 C사와의 미팅을 통해 판매망 확장과 파트너십 강화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을 협의하며 동남아 시장 내 입지를 다지는 성과를 거뒀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인도·싱가포르 로드쇼는 현지 기업들과의 신뢰를 강화하고 실질적 비즈니스 협력을 이끌어낸 의미 있는 결과였다”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과 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해 아시아 전역으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강서구 마곡에 위치한 원강의 ‘Total Foundation R&D Center’(연구소장 허엽)는 최상의 품
ETRI·LG전자·성균관대 등 산학연 공동 참여, 디지털 트윈 기술 상용화 박차 냉장고·식기세척기·폐수처리 등 4가지 공정 실증, 산업별 확장성 검증 완료 스마트제조혁신협회가 제조 디지털 트윈(MDT, Manufacturing Digital Twin) 표준모델을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공개했다. 이번 사례 공개는 디지털 트윈 기술이 표준화와 실증 단계를 넘어, 산업 전반의 생산성과 품질 혁신을 이끌 기반 기술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협회는 11월 3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냉장고 내함 성형 공정, 식기 세척기 제조 공정, 생물학적 폐수처리 공정, 식기 세척기 노즐 제조 라인 등 총 4가지 MDT 적용 사례를 선보였다. 이번 표준모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정보통신방송기술개발사업(스마트제조혁신기술개발 내역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과제명은 ‘대규모 확장성 및 고신뢰 분산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제조 디지털 트윈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주관을 맡았고 성균관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이즈파크,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스마트제조혁신협회, LG전자가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다양
민관이 함께 그린 ‘Green SDM-X 2030’…韓 제조업 미래 지도 산업별 데이터 스페이스 중심 민관 협력 모델 구체화 예고 국회가 제조혁신의 새 해법으로 ‘산업별 데이터스페이스(Data Space)’를 공식 의제로 다뤘다. 11월 4일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의실에서 열린 ‘산업별 데이터스페이스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 간담회는 정진욱·송재봉·최형두 의원 공동주최, 한국인더스트리4.0협회 주관으로 진행됐다. 이번 논의는 데이터 기반 제조혁신을 국가전략 차원에서 민간이 먼저 제안한 첫 공식 자리로, 산업계·정부·국회가 한자리에 모여 디지털 제조의 미래를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세계 스마트 제조가 단일 기업 중심의 시범 단계를 넘어 산업 간 데이터 연결과 스케일업으로 확산되는 글로벌 흐름 속에서 기획됐다. 제조업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25%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으로, 산업데이터 생산의 중심이자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의 근간이다. 이에 데이터 연계와 개방을 통한 산업 간 협력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핵심 의제는 ‘데이터스페이스’와 ‘소프트웨어 중심 제조(SDM: Software Defined Manufacturing)’였다. 발표에서
‘CENTUM 50주년’ 세미나 통해 DX·AI 융합 비전 제시 “계장 AI화”로 산업현장 효율과 지속가능성 동시 추구 계측·제어·정보 분야의 선도기업 한국요꼬가와전기가 자사의 대표 제어 시스템 ‘CENTUM’ 출시 50주년을 기념하며 산업 자동화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지난 10월 21일 울산, 23일 여수에서 열린 ‘Beyond 50, Toward the Next 100 years’ 세미나는 반세기 동안 이어온 요꼬가와 혁신의 궤적을 조명하고, 차세대 자율운전 기술로의 전환을 선언하는 자리로 마무리됐다. 1975년 세계 최초로 개발된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센텀은 공정 자동화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아왔다. 이번 행사는 센텀 시스템의 기술 진화와 더불어,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산업 환경에서 요꼬가와가 제시하는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세미나의 주요 세션에서는 ‘The Centum Future’를 주제로 △DX 기반 위의 AX: 데이터 중심 스마트 매뉴팩처링 로드맵 △산업 AI 진화(IA2IA) △ESG 경영을 위한 에너지 절감 전략 △원가 절감을 위한 인사이트 기반 분석 △디지털 인프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