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제품 공개를 비롯해 전략적 협력 기회 모색할 계획 밝혀 디노티시아가 오는 6월 26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스타트업 행사 '넥스트라이즈 2025'에 참가해 데이터 중심 AI 기술력을 선보인다. 올해 행사는 1600여 개 스타트업과 250여 개 투자사·대기업이 참가하는 가운데, 디노티시아는 고성능 벡터DB와 온디바이스 LLM 디바이스 등 핵심 제품을 공개하며 전략적 협력 기회를 모색한다. 행사 첫날에는 정무경 대표가 ‘모델의 시대를 넘어 : 데이터가 이끄는 AI 혁명’을 주제로 Rise Stage에서 발표에 나선다. 그는 생성형 AI 기술이 모델 크기 중심의 경쟁에서 벗어나, 데이터 검색 및 추론 최적화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강조할 계획이다. 디노티시아는 ‘누구나 접근 가능한 보편적 AI’를 철학으로 삼고, 멀티모달 데이터 활용과 효율적 추론을 기반으로 AI의 대중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두 가지 주력 제품을 통해 그 비전을 구체화한다. 첫 번째는 고성능 벡터 데이터베이스 ‘씨홀스(Seahorse)’다.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멀티모달 데이터를 고차원 벡터로 색인하고, 유사도 기반 시맨틱 검색을 지원
3일간 군산대 IT융합통신공학과 재학생 대상으로 프로그램 진행돼 AI 신뢰성 검증 기술 분야에서 국내 최초의 민간 공인 자격을 보유한 전문가가 탄생한다. 씽크포비엘이 국립군산대학교와 함께 ‘산업인공지능데이터검증전문가’ 2급 자격 취득 교육을 시행하면서다. 이 자격은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북테크노파크의 지원으로 마련된 비교과 프로그램 ‘ICT특성화취업연계형사업단’을 통해 운영된다. 교육은 6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군산대 IT융합통신공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AI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데이터 다양성 진단, 편향성 제거, 프로세스 설계 등 이론과 실습, 토론 중심으로 구성된다. 마지막 날 자격시험을 통과한 수강생은 한국산업지능화협회(KOIIA)가 발급하는 민간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이 자격은 AI 신뢰성 검증 기술 중 하나인 ‘데이터 밸런스’ 역량을 평가하며, 지난 2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 정식 등록되었다. 단순 교육을 넘어 공신력 있는 자격까지 부여되면서, 산업계에서도 해당 교육과정을 실제 채용 기준으로 인정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가다. 군산대와 씽크포비엘은 2020년부터 해당 교육을 시범 운영해왔으나, 자격 인증이 부족해 수료생의 실질
기업과 구체적인 기술 도입 방안 및 파트너십 전략 논의 예정 포티투마루가 오는 6월 26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넥스트라이즈 2025’에 참가해 산업 특화형 언어 모델 및 기업용 AI 에이전트를 앞세워 국내외 기업 및 벤처캐피탈(VC)과의 전략적 협력에 나선다. 포티투마루는 행사 기간 동안 20여 개 기업과의 1:1 미팅이 이미 확정된 상태로, 구체적인 기술 도입 방안 및 파트너십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LLM42 기반의 산업 맞춤형 경량화 언어모델과 Private AI 에이전트 기술에 대한 현장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산업별 데이터 보안 요구와 고도화한 생성형 AI 수요가 맞물리며 새로운 협력 기회로 이어질 전망이다. 포티투마루는 자체 기술인 검색증강생성(RAG42), 인공지능 독해(MRC42)를 통해 초거대 언어모델의 환각 현상을 최소화하고, 실제 산업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AI 응답 품질을 확보해 왔다. 이번 행사에서는 해당 기술이 어떻게 제조, 금융, 헬스케어 등 산업군별 워크플로우에 맞춰 커스터마이징될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데모와 전략 제안이 진행된다. 국내외 VC들과의 미팅을 통해 후속 투자 유치와 함께 글
핵심 키워드로 '고집적화', '보안 반도체', '친환경 전력 솔루션' 주목 올해 50주년을 맞이한 독일 뮌헨의 글로벌 전자 제조 전시회 ‘프로덕트로니카(productronica)’가 오는 11월 18일부터 21일까지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다. 칩 설계부터 SMT, 패키징, 테스트, 품질 검사, 전력 반도체까지 전자 제조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이 전시회는 14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하는 기술 집약의 장이 될 전망이다. 이번 전시의 핵심 키워드는 '고집적화', '보안 반도체', '친환경 전력 솔루션'이다. AI, 자율주행, 5G,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고성능과 소형화를 동시에 요구하는 반도체 산업의 변화가 주요 전시 테마로 반영됐다. 칩렛, 2.5D·3D 집적 기술, 웨이퍼레벨 패키징(WLP) 등 차세대 고집적화 기술이 집중 조명되며, ASMPT, 후지, BESI, 파나소닉 등 글로벌 패키징 및 실장 장비 기업들이 관련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는 반도체 후공정과 전자부품 자동화의 최신 트렌드를 집약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다. 보안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분야도 주목된다. 자율주행차, 의료기기, 방산 등 민감한 데이터 환경에서 하드웨어 기반
[헬로즈업 세줄 요약] ㆍAI 시대 데이터 폭증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데이터 관리 전략 제시 ㆍ스플렁크 AI 어시스턴트, 자연어 기반의 편의성과 자동화로 보안과 운영 효율 동시 상승 ㆍ한국 시장에서는 기업의 데이터 전략 고도화와 AI 도입 확산 적극 지원할 계획 밝혀 디지털 회복탄력성의 중심에 서다 스플렁크 코리아가 26일 서울 시그니엘 호텔에서 ‘스플렁크 리더십 포럼(Splunk Leadership Forum)’ 미디어 행사를 개최하고, AI 기반 데이터 관리 전략과 사이버 보안 대응 방안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AI 시대 급증하는 데이터 환경 속에서 기업들이 회복탄력성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를 주요 주제로 다뤘다. 이날 행사에는 스플렁크 AI 부문 총괄 부사장 하오 양(Hao Yang)과 스플렁크 코리아 최원식 지사장이 직접 연단에 나서, 글로벌 기술 트렌드와 국내 시장 대응 전략을 설명했다. 하오 양 부사장은 AI와 데이터가 유기적으로 결합해 기업 보안과 운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스플렁크의 AI 솔루션이 이를 어떻게 지원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특히 스플렁크가 강조한 키워드는 '디지털 회복탄력성'이다. 복잡해진 디지털
업스테이지 '솔라'를 퓨리오사AI의 레니게이드에 최적화할 계획 밝혀 업스테이지와 퓨리오사AI가 국내 AI 인프라의 자립화를 위해 손을 잡았다. 양사는 6월 26일 서울 강남구 퓨리오사AI 본사에서 ‘NPU 기반 생성형 AI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국산 NPU와 거대언어모델(LLM)의 결합이다. 업스테이지는 자체 개발한 LLM ‘솔라(SOLAR)’를 퓨리오사AI의 차세대 신경망처리장치(NPU) ‘레니게이드(Renegade)’에 최적화해 탑재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온프레미스 AI 솔루션 구축 사업을 공동 추진하고,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본격 나설 예정이다. 최근 생성형 AI 확산과 함께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은 엔비디아 중심의 공급 불균형, 가격 급등, 기술 종속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국내 기업들이 AI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고성능 연산 자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이번 협력은 AI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국산화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업스테이지와 퓨리오사AI의 협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22년 업스테이지는 퓨리오
풀스택 연결 기술 제품군으로 AI 인프라에 특화한 맞춤형 연결 실현 파네시아가 AI 인프라 최적화를 위한 ‘링크솔루션(LinkSolution)’ 전 제품군을 공식 공개하며, 자사의 기술 철학과 브랜드 정체성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발표는 파네시아가 새롭게 개편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으며, AI 인프라 설계 전반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파네시아는 AI 시대를 맞아 GPU, AI 가속기, 메모리 등 다양한 연산 자원을 유연하게 연결하는 연결 반도체 분야에 주력해 왔다. 이번에 선보인 링크솔루션은 하드웨어, 반도체 설계자산(IP), 네트워크 구조, 소프트웨어까지 아우르는 풀스택 연결 기술 제품군으로, AI 인프라에 특화한 맞춤형 연결을 가능케 한다. 제품은 크게 세 가지 구성으로 나뉜다. 첫째, 하드웨어 분야에서는 스위치 SoC(PanSwitch)와 리타이머(PanRetimer)가 핵심이다. 스위치는 여러 AI 장치를 연결해 대규모 네트워크 구성을 지원하며, 리타이머는 장거리 신호 전송 시 신호 세기를 보정해 통신 품질을 유지한다. 이들은 모두 파네시아의 저지연 설계자산이 적용돼 통신 오버헤드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둘째, 반도체 IP 분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과의 협업 사례로 주목받아 딥엑스가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MINDS(Meaningful, Intelligent, Novel, Deployable Solutions) 2025’ 프로그램에서 첫 번째 수상 기업으로 선정됐다. 이번 수상은 글로벌 무대에서 딥엑스의 기술성과 실용성이 동시에 인정받은 쾌거로, Foxconn, CATL, Schneider Electric, Siemens, Fujitsu, SAP 등과 함께 글로벌 혁신 기업 반열에 올랐다. 세계경제포럼이 새롭게 운영하는 MINDS 프로그램은 AI 기술이 사회와 산업 전반에 미치는 실질적인 변화와 파급력을 기준으로 수상 기업을 선정한다.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실제 도입·운영을 통해 기업의 전략을 전환시키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기업들이 조명 대상이다. 딥엑스는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과의 협업 사례를 통해 주목받았다. 이 협력에서 딥엑스는 5W 이하의 전력만으로도 고성능 GPU 수준의 AI 연산이 가능한 엣지 AI 칩을 활용해 로봇 비전 AI 솔루션을 실증했다. 이를 통해 현장 운영 최적화, 전력 효율 증대, 비용 절감이라는 세 가지 핵심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며, 실
사전 학습된 대규모 이미지 기반 AI 모델로, 추가 학습 없이 다양한 시각 작업에 적용 슈퍼브에이아이가 국내 최초 산업 특화 비전 파운데이션 모델 ‘제로(ZERO)’를 공개하며 AI 기술의 실용성과 확장성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이번 모델은 단 90만 개의 데이터와 8개월의 개발 기간으로 글로벌 1위 수준의 성능을 구현해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제로는 사전 학습된 대규모 이미지 기반 AI 모델로, 추가 학습 없이도 다양한 시각 작업에 적용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기존 텍스트 기반 LLM이 자연어 처리에서 역할을 해왔던 것처럼, 제로는 제조·물류·보안 등 산업 현장에서 이미지 인식과 분석을 수행하는 ‘비전 AI’로서의 역할을 맡는다. 슈퍼브에이아이는 이번 공개에서 AI 진입 장벽을 ‘제로’로 낮추겠다는 철학을 담아 네 가지 핵심 가치를 제시했다. 사전 준비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제로 학습’, 복잡한 설정이 필요 없는 ‘제로 복잡성’, 결과 확인까지 기다림이 없는 ‘제로 대기’, 다양한 환경에서도 일관된 성능을 제공하는 ‘제로 한계’가 그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데이터, 인력, 인프라 부족이라는 현실적 제약 없이 AI를 도입할 수 있게 됐다
공간 제약이 큰 차량 내부·외부 센서 및 액추에이터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가 자동차용 고전압 혼합 신호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신제품인 ‘PSOC 4 HVMS’ 시리즈를 공개했다. 이 제품군은 컴팩트한 폼팩터에 고전압 기능과 정밀 아날로그 센싱 기술을 집약해 공간 제약이 큰 차량 내부·외부 센서 및 액추에이터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됐다. 차량 전장 설계는 스마트하고 정교해지고 있다. 안전성과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자동차 산업은,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높은 정확도의 센싱이 가능한 솔루션을 요구하고 있다. 인피니언의 이번 신제품은 이런 시장 수요에 맞춰, 탑승자 감지, 핸즈온 감지, 도어 핸들, 윈도 리프터, 시트 조정, 선루프, 조명 제어, PTC 히터 등 다양한 HMI 및 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겨냥한다. PSOC 4 HVMS MCU는 ARM Cortex-M0+ 기반으로 최대 128KB 플래시와 16KB SRAM을 탑재하고, 고전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LDO), LIN 및 CXPI 트랜시버를 통합해 최소한의 외부 부품으로도 차량 배터리와 직접 연결되는
가상과 물리 디바이스 모두 지원, 앱 캡처 기술과 온디맨드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옴니사(Omnissa)가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의 전 수명 주기를 단일 플랫폼에서 관리할 수 있는 ‘옴니사 앱 볼륨(Omnissa App Volumes)’의 기능 확장을 발표했다. 새롭게 공개된 기능은 가상과 물리 디바이스 모두를 지원하며, 고유의 앱 캡처 기술과 온디맨드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중앙 집중식 통제 기능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앱 볼륨은 IT 팀이 애플리케이션을 한 번만 패키징하면, 다양한 운영 환경에서 필요 시 즉시 배포하도록 해 애플리케이션 관리 부담을 줄인다. 운영 단순화는 물론 보안 강화를 동시에 실현하고, 사용자에게는 모든 기기에서 일관된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주목할 만한 변화는 물리 디바이스를 위한 전체 애플리케이션 수명 주기 관리 기능이 포함된다는 점이다. 해당 기능은 올해 후반기에 제공될 예정이며, 버전 관리, 롤백, 앱 종료 등 기존 물리 환경에서 어려웠던 기능들을 통합 제공하게 된다. 이번 기능 확장을 통해 기업 IT 팀이 얻게 될 이점은 세 가지다. 첫째, 인프라 비용과 관리 시간을 절감한다. 운영체제 이미지와 애플리케이션을 분리해 이미지 확
크래프트의 AI 엔진과 DL 홀딩스의 글로벌 금융 운영 경험 결합해 크래프트 테크놀로지스(이하 크래프트)가 홍콩 금융그룹 DL 홀딩스와 손잡고 아시아 최초의 AI 기반 원스톱 금융 소셜 플랫폼 ‘뉴럴핀AI(NeuralFin.AI)’를 공식 출시했다. 이번 협력은 금융정보 탐색부터 맞춤형 투자 실행까지 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금융 참여 방식의 시작을 의미한다. 뉴럴핀AI는 크래프트의 독자적인 AI 엔진과 DL 홀딩스의 글로벌 금융 운영 경험을 결합한 차세대 금융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신뢰도 높은 실시간 금융 콘텐츠와 고수익 투자 기회, 그리고 LLM(대형언어모델) 기반의 직관적인 AI 툴킷을 하나의 공간에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 소셜 기능까지 더해져 커뮤니티 내 소통과 피드백, 지식 공유가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다. 플랫폼은 세 가지 주요 기능으로 구성된다. 첫째, 시장 인사이트와 전문가 분석, 교육 자료를 포함한 금융 콘텐츠를 통해 정보 기반의 투자 결정을 유도한다. 둘째, DL 홀딩스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희소성 높은 투자 상품에 접근할 수 있다. 셋째, AI 기반 포트폴리오 분석, 리스크 진단, 개인화된 금융 전략 수립이 가능한
감지부터 진압까지 전 과정 아우르는 원스톱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할 계획 인텔리빅스와 엠젠솔루션이 손잡고 차세대 재난안전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6월 26일 서울 서초구 인텔리빅스 본사에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AI 화재 대응 플랫폼 공동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인텔리빅스의 생성형 AI 기반 지능형 영상관제 플랫폼과 엠젠솔루션의 자율형 화재 대응 솔루션 ‘알파샷(AlphaShot)’을 연계해 감지부터 진압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원스톱 재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인텔리빅스의 엣지 영상분석 장치 ‘빅스원(VIXone)’과 시각언어모델(VLM) 기반 생성형 관제 시스템 ‘젠 AMS(Gen AMS)’, 엠젠솔루션의 자율형 화재진압 로봇 및 드론 시스템을 통합해 화재 발생 위험이 높은 건설 현장, 물류창고, 전기차 충전소, 폐기물 처리장, 산림지역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실시간 대응 가능한 안전 플랫폼을 구현할 방침이다. 양사는 기술 통합뿐 아니라 신규 사업 기회 발굴, 융합 솔루션 개발, 공동 수주 활동 등 다방면의 협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인텔리빅스는 국내 최초로 비전 AI와 생성형
실제 데이터 기반으로 GPU와 시스템 환경을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진행 디에스앤지(DS&G)가 AI 인프라의 성능과 효율성을 정밀하게 검증하는 ‘AI 테스팅 랩(Testing LAB)’을 본격 운영하며 산업 전반의 AI 신뢰성 강화에 나섰다. 지난 23일 디에스앤지는 실제 운영 환경을 모사한 하드웨어 기반의 테스트베드를 통해 AI 인프라의 성능과 안정성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모델과 워크로드가 다양화하는 상황에서, 고객이 사용하는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GPU와 시스템 환경을 시뮬레이션해 테스트할 수 있다는 점이 이 랩의 가장 큰 강점이다. AI 테스팅 랩은 서버, GPU, 스토리지 등 주요 컴퓨팅 자원의 연산 성능, 에너지 효율, 냉각 효율 등을 복합적으로 검증하는 인프라 실험 공간이다. 특히 24시간 이상 고부하 환경에서의 시스템 안정성, 전력 소비 및 사용 패턴 분석, 냉각 솔루션 효율성 비교,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PUE 지표 분석까지 이뤄진다. 인프라 설계 초기 단계부터 불필요한 투자(CAPEX)를 줄이고, 실제 구축 이후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디에스앤지는 테스트 환
지태현 CTO, ‘AI Agent 환경에서 PaaS의 역할’ 주제로 발표 진행 에이프리카가 ‘K-AI PaaS Summit 2025’에 참가해 AI 에이전트 환경에서의 PaaS 역할과 자사의 서버리스 플랫폼 ‘세렝게티 Functions’를 중심으로 한 기술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서밋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가 공동 주관했으며, 디지털 정부 구현을 위한 민간 클라우드 기술 확산과 PaaS 활성화가 핵심 목표로 설정됐다. 행사에는 전국 지자체와 공공기관, 산하기관 정책 실무자들이 대거 참석해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 및 운영 전략에 대한 현실적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에이프리카가 제시한 AI 에이전트 기반 PaaS 구조는 실무자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끌었다. 에이프리카의 지태현 CTO는 ‘AI Agent 환경에서 PaaS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며 “AI 에이전트는 더 이상 단순한 자동화 툴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 요소가 유기적으로 통합된 플랫폼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API 오케스트레이션, 워크플로우 자동화, LLMOps 기반 모델 운영, 보안 및 컴플라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