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부터 시행될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이제 단순한 무역 이슈가 아닌, 기업의 수출 경쟁력과 ESG 경영을 평가하는 본격적인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유럽 수출 기업들 사이에서는 제품별 탄소배출량의 산정과 검증이 실제 신고에서 가장 큰 허들로 지목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디지털ESG얼라이언스(회장 최갑홍, 이하 i-DEA)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CBAM 대응 전문가 교육 과정’이 실무 특화형 커리큘럼으로 업그레이드되어 4월부터 수강생 모집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CBAM은 EU 역내 산업이 부담하고 있는 탄소비용 수준을 역외 수입품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제도로, ‘탄소 회피(Carbon Leakage)’를 막기 위한 글로벌 조세 정의 실현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제도의 핵심은 명확한 탄소배출 데이터의 확보와 EU 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의 보고와 검증 절차이다.
이에 따라 국내 수출 기업들에게는 ▲범위(Scope) 1, 2, 3 탄소배출의 명확한 구분 이해, ▲제품 단위 배출계수 산정 능력, ▲3rd Party 검증기관 연계, ▲CBAM 포털 기반의 신고 시스템 대응력이 필수 요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CBAM 전문가 교육 과정은 위 요구사항들을 충실히 반영하여 총 4개 모듈로 구성되었다. 교육 과정은 ▲CBAM 제도의 본질과 정책 변화, ▲산업별 배출량 계산 사례 실습, ▲EU ETS와 CBAM의 통합 적용 전략, ▲CBAM 신고서 작성 및 검증기관 활용 실무 등으로 구성되며, 실습 중심의 강의로 구성되어 있어 현업 적용도가 매우 높다.
특히 본 교육은 실무에서 실제 CBAM 신고서를 작성해본 경험이 있는 강사진으로 구성되어, 현장의 실전형 사례와 함께 실습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교육 참가자에게는 산업별 표준 배출계수 샘플과 EU 기준에 부합하는 보고서 포맷도 제공될 예정이다. 아울러 검증기관 및 인증 전문가와의 네트워킹 세션을 통해 실무 연계성과 정보 교류의 장도 마련된다.
교육은 4월부터 본격 개강되며, 이론 강의와 워크숍, 사례 분석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교육 신청은 신청 페이지(https://buly.kr/3CNY5EW)를 통해 가능하다.
i-DEA 관계자는 "CBAM은 단순한 규제를 넘어, 기업이 ESG 리스크를 어떻게 정량화하고 대응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며 "탄소배출량을 '보여주는 기업'보다 ‘증명할 수 있는 기업’만이 살아남는 시대다. CBAM 전문가 교육은 이러한 시대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