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인식 등 엄격 통제키로...AI 위험성 분류·투명성 강화 안면인식 제한하되 국가안보 등 예외…위반시 최고 500억원 벌금 유럽연합(EU)이 장시간 치열한 논의 끝에 8일(현지시간) 밤 인공지능(AI) 기술 규제 법안에 합의했다. AI에 관한 세계 첫 규제 법안이다. 블룸버그 통신, 워싱턴포스트(WP),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와 유럽의회, EU 27개 회원국 대표는 37시간이 넘는 마라톤 회의 끝에 'AI 법'(AI Act)으로 알려진 법안에 합의했다. 타결안을 보면 AI의 위험성을 분류하고 투명성을 강화하며,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기업에는 벌금을 부과하는 내용이 담겼다. 정치·종교적 신념, 성적 지향, 인종과 같은 민감한 특성을 기준으로 사람들을 분류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인터넷 혹은 보안 영상에서 생체 정보를 스크랩하는 것을 금지했다. 다만 사법당국의 인신 매매 피해자 수색, 테러 위협 예방, 살인·강간 등 범죄 용의자 추적 등을 위한 '실시간' 안면 인식은 허용하는 등 일부 예외 조항을 뒀다. 오픈AI의 챗GPT, 구글 바드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은 규제하되 국가 안보와 법 집행을 위해 활용
3년간 20만개 규모로 대형 전기 상용차 3천대 물량 LG에너지솔루션이 폴란드 배터리 팩 제조·판매 기업 ICPT와 손잡고 유럽 지역 전기 상용차 배터리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LG에너지솔루션은 ICPT와 배터리 모듈 공급계약을 맺고 내년부터 3년간 약 20만개의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 모듈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대형 전기 상용차 약 3천여대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계약 금액은 수천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ICPT는 2005년에 설립된 배터리 팩 제조·판매업체로, 폴란드 내 '기가팩토리X' 팩·모듈 조립 공장을 운영하는 등 유럽 내 탄탄한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ICPT는 LG에너지솔루션에서 공급받은 모듈을 팩으로 조립한 뒤 유럽 내 전기버스 점유율 1위 업체인 솔라리스 버스 앤 코치(Solaris Bus & Coach)에 납품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과 ICPT는 배터리 제조부터 전기버스 생산에 이르는 전 과정을 폴란드 내에서 진행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에서 생산된 NCM 배터리 모듈을 ICPT에 공급하면 ICPT가 이를 팩으로 제조해 공급하는 방식이다. 현재 버스와 트럭 등 전기
원자재 가격 변동 시 납품 대금에 반영, 10월부터 시행 중 HD현대중공업은 8일 울산 동구 인재교육원에서 '하도급대금 연동제 설명회'를 열었다. 하도급대금 연동제는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 간 하도급 거래 과정에서 원자재 가격이 변동할 경우 이를 납품 대금에 반영하는 제도다. HD현대중공업은 지난해 6월 하도급대금 연동제 전담팀(TF)을 조직해 연동제 요건, 절차 등에 대해 협력회사와 의견을 교환해왔다. 올해 9월 운영세칙을 마련하고 10월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HD현대중공업은 이번 설명회를 통해 연동제 제도 전반과 관련 업무 절차, 전산시스템 등을 소개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협력회사 이해를 높인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하도급대금 연동제는 협력회사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는 좋은 제도로, 조기 정착을 통해 협력회사와 동반성장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기술기반 사전거래 탄소배출권 시장 연합…내년 탄소배출권 첫 발행 추진 SK㈜·SK E&S·신한투자증권·대한상의 등 11개 기업·기관 참여 SK그룹이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VCM) 확대를 위해 아시아 최초로 연합체 구축에 나선다. SK그룹은 지난 8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기술 기반의 사전 거래 탄소배출권 시장(EPCM) 연합' 구축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식을 열었다고 10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SK㈜, SK E&S, 에코시큐리티, 신한투자증권, PwC컨설팅, 대한상공회의소 탄소감축인증센터,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동발전, 하트리파트너스, 비브리오, 서울대 기후테크센터 등 총 11개 기관이 참여했다. 협약 참여자들은 COP28을 통해 내년에 탄소배출권(EPC) 최초 발행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참가 기업을 추가 모집해 내년 COP29에서 정식 발족할 계획이다. 또 ▲ 수소 생산 ▲ 플라스틱 재활용 ▲ 탄소 포집·저장 등 12개 유망 탄소 저감 기술을 대상으로 탄소감축 인증 방법론을 개발하는 동시에 EPC 발행·거래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SK㈜, SK E&S, 신
LG전자는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평가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상위 10% 기업을 의미하는 'DJSI 월드 지수'에 12년 연속 편입됐다고 10일 밝혔다. 글로벌 금융정보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이 발표하는 DJSI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ESG 분야를 포함하는 지속가능경영 평가지수다. LG전자는 DJSI 평가의 가전 및 여가용품 분야에서 가장 높은 종합점수를 받으며 ESG 경영 수준 상위 10% 기업에 선정됐다. 국내 기업 중 가전 및 여가용품 분야에서 DJSI 월드 지수에 12년 연속 편입된 기업은 LG전자가 유일하다. 또 LG전자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상위 600대 기업 중 상위 20% 지수인 'DJSI 아시아퍼시픽', 한국 상위 200대 기업 중 상위 30% 지수인 'DJSI 코리아'에도 각각 14년, 15년 연속 들어갔다. LG전자는 각 ESG 항목 평가에서 온실가스 감축 및 자원순환, 인권 경영, 이사회 역량지표 공개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혁신 DNA로 사업 경쟁력 강화…성장세 이어나간다 두산로보틱스가 혁신 DNA를 바탕으로 연구개발(R&D), 생산,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두산로보틱스는 경기도 수원시 생산공장에서 신규 협동로봇 솔루션을 대거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한 신규 솔루션은 ▲단체급식 솔루션 ▲복강경 수술보조 솔루션 ▲공항 수하물 처리 솔루션 ▲레이저용접 솔루션 ▲빈피킹(Bin-picking) 솔루션 등이다. 단체급식 솔루션은 지난 11월, 국내 최초로 서울시 한 중학교 급식실에 도입됐으며, 4대의 협동로봇이 국·탕, 볶음, 튀김 등 대규모 조리작업을 수행한다. 복강경 수술보조 솔루션은 협동로봇에 내시경 카메라를 탑재하고 몸 안에서 움직이는 작업을 해야 하는 만큼 정교한 움직임이 필요하다. 이 솔루션은 3kg의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조이스틱을 이용해 별도로 원격 통제가 가능하다. 공항 수하물 처리 솔루션은 덴마크 코봇 리프트(Cobot Lift)社와 협업해 만든 것으로, 공항에서 수하물을 옮길 때 활용된다. 최대 25kg의 사물을 들 수 있는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H시리즈는 코봇 리프트의 기술을 활용해 최대 70kg의 물건을 들어 올
올해 11월 캐나다 토론토 물류 법인 설립…12월 포스코 현지법인과 개소식 열어 포스코플로우(대표이사 김광수)가 지난 4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포스코플로우 법인 개소식을 열고 공식적인 토론토 법인을 설립했다고 밝혔다. 포스코플로우는 포스코퓨처엠이 GM과 합작으로 건설 중인 북미 배터리 양극재 합작사 Ultium CAM 공장의 건설단계 프로젝트 물류와 준공 후 운영 물류 수행과 지원을 위해 캐나다 법인 설립을 결정했다. 공장 건설을 위해 필요한 국내 설비ㆍ기자재를 현지까지 안정적으로 운송하고, 준공 후 원료 조달 및 제품 판매를 위한 현지 하역, 통관, 보관, 공로운송 등 포괄적인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향후 Ultium CAM의 소재ㆍ제품 물동량을 기반으로 현지 물류 기능을 강화해 한국에서 북미로 향하는 프로젝트 화물(설비ㆍ기자재)에 대한 3PL를 확대 유치하고, 북미에 진출한 K-배터리 관련 다수 기업의 물류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우선 Ultium CAM의 물류 안정화에 주력하고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글로벌 무역과 원료 부문의 최적 수송 체계 정립에도 기여해 그룹에서는 기대하는 포스코플로우 역할에 적극 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현지 개소식
산업집적법 국회 본회의 통과…매매·임대 제한 없애 미래차 전환 대비 자동차 부품산업 지원하는 '미래차특별법' 제정 앞으로 노후 산업단지에 첨단·신산업이 입주해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어온 생활 편의시설이 확충되는 길이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산업집적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산업집적법은 기업의 산단 투자를 막아왔던 입지 규제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 8월 규제혁신전략회의를 통해 발표한 '산업단지 입지 킬러규제 혁파 방안'을 입법화한 것이다. 산업집적법은 그간 도태된 '공장지대'로 여겨졌던 노후 산단의 입주 업종, 매매·임대 제한 규제를 풀고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우선 산업·기술 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 등장하는 첨단·신산업 등이 산단에 신속히 입주할 수 있도록 했다. 산단 조성 시 확정된 입주 업종을 주기적으로 재검토해 바꿀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고, 전력·용수 등의 기반 시설 영향을 분석하는 절차와 입주심의위원회 설치 근거를 마련하는 등 입주 업종 제한 규제를 풀었다. 또 자산유동화 제도를 신설해 매매·임대 제한을 없앴다. 비수도
日 중앙은행 긴축 시사, 亞 통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 8일 원/달러 환율이 엔화 강세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0분 현재 전날보다 12.7원 하락한 1312.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9.3원 내린 1,316.0원으로 개장한 뒤 1,310원대 초반에서 등락하고 있다. 일본은행(BOJ)이 양적 완화 종료를 시사한 점이 주된 환율 하락 요인으로 꼽힌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전날 "부양책 종료 시점이 가까워지면 어떤 통화정책 도구를 동원해야 할지 선택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엔화 강세는 원화를 비롯한 아시아 통화에 강세 요인으로 작용한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11.69원이었다.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905.38원)보다 6.31원 올랐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독자 개발 '이원자 촉매기술' 활용…탄소배출 줄이고 화학원료 얻는 효과 SK이노베이션은 독자 개발한 전기화학적 촉매 반응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 산하 연구개발(R&D) 조직인 환경과학기술원은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이원자(二原子) 촉매 기술'을 활용해 하루 1㎏ 상당의 일산화탄소를 제조하는 실증에 성공했다. 환경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이원자 촉매 기술은 화학반응 속도를 변화시키는 촉매의 성능을 한층 더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SK이노베이션은 설명했다. 원자를 하나씩 분리해 만든 단원자(單原子) 촉매는 수백개 원자가 뭉쳐진 기존 촉매와 달리 활성을 더욱 높이는 기술인데, 여기에서 나아가 이원자 형태로 만들면서 촉매 성능이 더 향상됐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니켈과 철이 이원자 형태로 존재하는 촉매를 제조해 촉매 성능을 높였고, 이를 여러 전극 셀이 적층된 전해조에 적용하자 전기화학 촉매 반응을 거쳐 이산화탄소가 일산화탄소로 전환됐다. 일산화탄소는 초산, 플라스틱 등 화학제품 생산에 쓰이며 최근에는 메탄올, 합성원유 등 대체연료 생산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SK이노베
광주 그린카진흥원이 완성차의 전자파 유해성을 측정하는 국제 공인 시험기관으로 지정됐다. 광주시는 출연기관인 광주그린카진흥원이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완성차 전자기 적합성(전자파 유해 간섭 환경) 분야 국제공인 시험기관으로 지정받았다고 3일 밝혔다. 전자기 적합성 평가는 전기·전자기기 또는 시스템이 전자파에 어떤 영향을 주고받고, 환경에 유해한 간섭 방해 요인은 무엇인지 측정하는 것이다. 전기 자동차가 증가하고 자율주행 차량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번 공인은 완성차 주행, 충전 중 안정성과 관련해 상호인정 협정을 체결한 세계 104개국으로부터 공신력을 확보한 것이어서 의미가 크다고 광주시는 전했다. 전자기 적합성 시험실은 국내 최대 규모로 전장 20m 굴절버스를 시험할 수 있는 챔버(실험실)를 갖췄다. 세계 최초로 전자파 발생 수신장치를 세 방향으로 상부에 매달아 조정할 수 있으며 바닥에는 노면과 동일한 주행 모의시험 설비를 보유해 차량의 자율주행 센서 동작과 전자기 적합성 시험이 가능하다. 그동안 다른 지역에서 인증을 진행했던 지역 완성차, 부품기업의 불편을 해소하고 미래 차 기업의 개발기간 단축, 해외 진출을 지원할 것으로
텔레다인 e2v는 2일, 최신 상태의 CMOS 이미지 센서 제품군인 Emerald Gen2를 출시했다. 텔레다인 e2v의 첨단 이미징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된 이 새로운 제품군은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머신비전 용도에 이상적으로 만든다. Emerald Gen2는 단색 또는 컬러로 8.9메가픽셀(4,096 x 2,160) 또는 12메가픽셀(4,096 x 3,072)로 제공되며, 표준 및 고속의 두 가지 속도 등급으로 제공된다. 고속 모델은 식품 분류, 검사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과 같이 매우 높은 속도로 선명한 이미지가 필요한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에 탁월한 성능을 제공한다. 센서는 최대 67dB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제공하는 Teledyne e2v의 최신 세대 광파이프 기술로 설계된 작은 2.8 µm 글로벌 셔터 픽셀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는 이미지에 노출 문제없이 고대비 장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이 새로운 세대는 원래 Emerald 제품군에 비해 여러 가지 개선된 기능을 제공한다. 매트릭스는 쉽고 비용 효율적인 통합을 위해 1인치 광학 포맷에 맞는 컴팩트한 21 x 20 mm² Ceramic Land Grid Array(CLGA) 패키지에 중
텔레다인 달사(Teledyne DALSA)가 고속 및 고해상도의 완전 통합 라인 스캔 이미징 모듈 ‘AxCIS’ 제품군을 생산한다고 발표했다. 사용이 용이한 이 밀착형 이미지 센서(CIS)는 센서, 렌즈 및 조명을 하나로 결합해 다양하고 까다로운 머신 비전 응용 제품에 필요한 합리적 비용의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텔레다인의 멀티라인 CMOS 이미지 센서로 구동되는 AxCIS는 28µm 픽셀 크기 또는 900dpi 해상도에서 모노의 경우 최대 120kHz 라인 레이트, HDR 이미징의 경우 60kHz x 2의 라인 레이트를 제공해 유례가 없는 정밀도로 결함 감지도 가능하다. 또한 독보적인 센서 디자인을 통해 누락되는 픽셀 없이 전체 시야를 확보해 보간 없이도 100% 균일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독립적인 노출 제어 기능이 있는 듀얼 라인을 사용해 HDR 이미징이 구현되며, 이 기능을 통해 개선된 다이내믹 레인지로 고반사 소재를 훨씬 더 잘 감지할 수 있어 계측과 같은 분야에 적용하는 데 이상적이다. AxCIS는 다양한 FOV로 확장할 수 있게 설계됐다. 소형 폼 팩터와 방진 설계를 갖춘 AxCIS는 수직 간격이 제한돼 있어도 시스템의 거의 모든 곳에 장착할 수
수소를 연료로 직접 투입하는 ‘H2-PEMFC’ 시스템 개발 ㈜두산이 수소연료전지 제품 라인업 다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두산은 수소연료를 직접 투입해 운영할 수 있는 1kW·10kW급 건물·주택용 수소연료전지 ‘H2-PEMFC(고분자전해질형연료전지)’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고, 고정형 연료전지 안전기준 ‘KGS AH371’의 설계 및 생산단계 인증을 획득했다고 11월 3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H2-PEMFC’ 시스템은 천연가스를 개질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소연료를 직접 투입하는 순수소 모델로, 50~55% 수준의 높은 전기효율을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타입의 수소연료전지 보다 저온에서 작동하는 만큼 부하의 변동에 대응해 발전량을 조정하는 부하추종운전이 빠르다. 1kW·10kW급 ‘H2-PEMFC’ 시스템은 1기 수소 시범도시 중 하나인 삼척시 수소타운에 적용돼 2024년까지 실증하고, 소규모 분산 발전용 100kW급 ‘H2-PEMFC’ 시스템도 2026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두산은 최근 ‘H2-PEMFC’ 시스템을 활용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기연)과 ‘암모니아 추출 수소 연계 수소연료전지 운전 실증’에도 성공했다. 국내 최초로 암모
대형 화면을 통해 전국 화약운반차량과 센터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화 글로벌부문(대표이사 양기원)이 화약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스마트 안전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통합관제센터'를 오픈했다. 충청북도 보은군 ㈜한화 보은사업장에 구축된 스마트통합관제센터는 전국 각지의 화약운반차량 및 화약저장소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첨단 IT기술을 도입해 전국 화약운반차량과 센터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분석, 공유되어 위험상황 감지 및 예방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먼저 ㈜한화는 스마트통합관제센터 운영을 통해 화약류 운반의 안전관리 법률 준수를 강화하도록 했다. 전국 각 센터에서는 화약 운반 시작 전 통합관제시스템과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신고된 운반자의 신원 일치 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화약운반차량의 위험물 표시와 뇌관 운반 전용 용기 사용 등 법적으로 준수되어야 하는 요소들도 사진으로 촬영하여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도록 했다. 또한 첨단 IT기술을 활용해 화약운반과정의 안전관리 프로세스를 시스템화한다. 우선 화약운반차량 출발 전 탑승자의 음주, 혈압, 체온을 의무적으로 체크하고 시스템에 입력하도록 했다. 화약 운송 중에는 스마트통합관제센터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