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한국서 최초 공개...MS AI에이전트 ‘리서처·애널리스트’ 주목

URL복사

 

고도화한 데이터 분석과 비즈니스 인사이트 도출 수행해

 

마이크로소프트가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개최한 ‘AI 투어 인 서울’을 통해 AI 혁신 기술과 글로벌 전략을 발표하며, 한국의 산업 전반에 걸친 AI 전환 가속화에 나섰다. 

 

이날 행사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CEO 사티아 나델라가 방한해 비즈니스 리더들과 직접 소통했으며, KT, LG전자, 씨젠, GS리테일, 아모레퍼시픽, 한화큐셀, 갤럭시 코퍼레이션 등 국내 유수 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각자의 AI 도입 전략과 사례를 공유했다.

 

AI를 통한 실질적 문제 해결력과 산업별 확장 가능성을 강조한 이번 행사에서는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공개된 두 가지 AI 에이전트가 주목을 받았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에 적용된 추론 모델 기반 ‘리서처(Researcher)’와 ‘애널리스트(Analyst)’는 고도화한 데이터 분석과 비즈니스 인사이트 도출을 가능케 하며, 4월부터 순차 도입될 예정이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AI는 이미 한국인의 삶과 비즈니스 방식에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의 혁신을 현장에서 확인했다”며, “마이크로소프트는 한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협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전사 도입, AI CoE 설립,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개발 등 다양한 실행 방안을 공개하며, 국내 AI 기반 업무 혁신과 규제 산업 내 신뢰성 확보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진 사례 발표에서는 LG전자가 스마트 홈 로봇 Q9을, 씨젠이 AI 기반 진단자동화 시스템을 선보이며 산업별 AI 활용 범위의 확장성을 증명했다. GS리테일과 아모레퍼시픽은 각각 유통과 뷰티 분야에서 AI를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는 사례를 공유했으며, 한화큐셀과 갤럭시 코퍼레이션은 에너지와 콘텐츠 산업에서 AI 기반 전략과 혁신 방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모든 적용 사례의 기반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책임 있는 AI’ 원칙이 강조됐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I 기술의 공정성, 투명성, 보안성 등을 담보하는 11가지 원칙을 토대로, 기업과 정부가 신뢰할 수 있는 AI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또한 AI 인재 양성을 위한 ‘AI 스킬 이니셔티브’를 한국에서도 본격 추진 중이다. 공무원, 교사, 학생, 기업인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내달 8일에는 ‘AI 스킬 페스트’를 열고 24시간 온라인 교육 참여 기네스 기록에 도전할 예정이다.

 

이번 AI 투어 인 서울은 한국 산업계 전반의 AI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실질적 실행 전략과 기술 협업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산업별 AI 도입 확대를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진정성과 실행력이 동시에 확인된 자리로 평가된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