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맨홀은 사회 인프라의 입구라고 할 수 있다. 용지나 도로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 하수, 가스 등의 라이프라인은 항상 보전돼야 한다. 매설기관이나 밸브 등을 지상에서 점검할 때, 맨홀뚜껑은 인프라의 창구역할을 한다.
ID를 키로 해 작업 대상물 특정이나 작업지원정보 열람을 순간적으로 할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회전방향을 실수로 잘못 설정하는 것과 같은 미숙한 조작이나 실수로 다른 뚜껑을 여는 등과 같은 휴먼에러를 배제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작업보고서 작성도 자동화가 가능하며 시간단축에 기여하는 등, 전체적인 IT화, 스마트화가 가시화된다. 이와 같이 소규모 시스템은 신설되는 뚜껑 1개부터 시작할 수 있으며, 결국 대규모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에도 소규모 시스템에서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기존의 뚜껑을 IC 태그 장착으로 변경시켜 최종적으로 스마트한 인프라 보전으로 연결시키는 내용에 대해 알아봤다. IC 태그의 ID는 데이터와 연결할 수 있는 열쇠라고 생각했을 때, 보수점검 정보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기사는 일본공업출판이 발행하는 자동인식지와의 저작권 협약에 의거하여 제공받은 자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