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현대글로비스, 완성차 해상운송 탄소집약도 새 기준 마련 '앞장'

실측데이터 기반 신 탄소집약 계수 첫 공개
기존 연구 기반 계수의 한계 보완한 표준 초안 마련

URL복사

 

현대글로비스가 글로벌 자동차 해상운송 업계와 함께 신(新) 탄소집약 계수를 공개하며 로로(RO-RO) 운송 부문의 탈탄소 표준화 작업을 본격화한다. 현대글로비스는 지난 18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글로벌 로로 커뮤니티(GRC)’ 총회를 공동 주최하고, 글로벌 주요 선사·완성차 제조사·화주사·연구기관과 함께 해운 탄소배출의 표준화 방향을 논의했다고 20일 밝혔다.

 

GRC는 2024년 구성된 글로벌 자동차운송 선사 협의체로, 현대글로비스를 비롯해 발레니우스 빌헬름센, 호그오토라이너, NYK 등 세계 주요 로로 선사가 참여한다. 이들은 전 세계 자동차 운송 능력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GRC의 논의는 향후 글로벌 완성차 공급망의 탄소 관리 기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현대글로비스는 3분기 기준 총 94척(사선 35척·용선 59척)의 자동차운반선을 운영하며 업계 최상위권의 운송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총회는 현대글로비스가 처음으로 주최한 자리로, 발레니우스 빌헬름센, 한국선급(KR), 글로벌 물류 탈탄소화 기관 SFC(Smart Freight Centre)도 공동 주최자로 참여하며 협의체의 위상을 강화했다.

 

이번 총회의 핵심 의제는 로로 해상운송 부문의 탄소배출량 산정 기준을 새롭게 정립하는 것이었다. 발표된 탄소집약 계수는 전체 로로 선사 수송량의 약 75%에 해당하는 선박 실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출됐다. 기존 업계에서 사용되던 값이 연구 기반 데이터였던 데 비해, 이번 계수는 실제 운항 데이터에 기반해 산정된 만큼 업계 현실을 더 정확히 반영한 표준 초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총회 참석자들은 이번 계수가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GRC는 지난 4월 완성차 전 과정 탄소배출(LCA: Life Cycle Assessment) 저감을 위해서는 해상운송 탄소집약 계수의 실증 기반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으며, 이후 탄소배출 계산 체계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해왔다. 새롭게 공개된 계수는 자동차 제조사가 선사별 탄소중립 성과를 비교하고, 이를 기반으로 운송 파트너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총회에서 비관세장벽 대응 측면에서도 해상운송 탄소 표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럽을 중심으로 강화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글로벌 규제가 확대되는 가운데, 해운 탄소집약도 표준화는 완성차 공급망 전반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완성차 제조사가 운송사별 탄소중립 성과를 비교해 선택하게 되면 자동차 LCA 전 과정의 탄소 감축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물류기업 또한 공급망 탄소감축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해관계자와 협력을 강화해 책임 있는 탈탄소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