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안전기술원은 20일 고양특례시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기간 중 ‘2025 국제 UAM 인증기술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토교통부와 UAM국가전략기술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 중인 ‘UAM 항공기 시범인증 및 인증체계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국내외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참여해 UAM 항공기 인증 관련 기술, 제도, 국제 협력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컨퍼런스는 항공안전기술원과 UAM국가전략기술사업단이 공동 주관했으며 한서대학교, KSEP 등 국내 주요 연구기관과 산업계 전문가를 비롯해 FAA DER, NLR(네덜란드 왕립항공우주연구소), EUROCAE 등 글로벌 기관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했다.
행사는 오전과 오후 두 개 세션으로 구성돼 ▲UAM 인증기술의 국제 동향 ▲국내 인증 및 연구개발 현황 ▲eVTOL 기체 개발과 국제 협력 방안 등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UAM 인증기술의 미래 발전 방향과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공유했다.
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 원장은 환영사에서 “항공안전의 핵심은 기체의 안전을 보장하는 ‘인증’이며, UAM 상용화를 위해서는 인증뿐 아니라 교통관리와 인프라를 포함한 통합안전운용체계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항공안전기술원은 정부·산업계·학계·국제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한국형 UAM 안전인증체계의 국제 신뢰성을 확보하고, 국내 UAM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도심항공교통정책 오송천 과장은 축사에서 “UAM 산업의 핵심은 안전성 확보이며, 이를 위한 인증기술 발전이 필수”라며 “국토교통부는 국가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기술 기반 마련과 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시험평가·실증 과정을 통해 UAM 안전운용체계를 완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항공안전기술원은 그동안 ‘UAM 안전·인증기술 연속 세미나’를 통해 국내 전문가 중심의 논의 기반을 구축해 왔다. 이번 ADEX 국제 컨퍼런스를 계기로 논의 범위를 국제 협력 차원으로 확장하며, UAM 안전·인증기술의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과 산업 생태계 발전을 촉진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 논의에서 축적된 기술적 경험과 글로벌 기관과의 협업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전문가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향후 UAM 안전·인증기술 관련 후속 연구 및 사업으로 연계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