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KAIST, 여성 문자 ‘여서’ 현대 기술로 확장...국제상 수상

URL복사

 

‘여서(女書)’는 중국 후난성에서 19세기 무렵부터 한자 교육에서 배제된 여성들이 서로의 삶을 기록하고 소통하기 위해 창조한 여성 문자 체계다. 이 문자 체계의 의미(억압 속 창조, 여성 연대, 언어 실험)를 현대 기술과 접목한 ‘AI 여서(Nüshu, 女书)’ 프로젝트에 KAIST 연구진이 참여해 국제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에서 상을 받았다.

 

KAIST는 산업디자인학과 이창희 교수 연구팀이 영국왕립예술학교 알리 아사디푸어 컴퓨터과학연구센터장과 공동으로 진행한 프로젝트 ‘AI 여서(Nüshu)’가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Prix Ars Electronica) 2025’ 디지털 휴머니티 부문 영예상에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 페스티벌에는 올해 98개국에서 3987개 작품이 출품됐으며, 디지털 휴머니티 부문 수상작은 2개다.

 

 

수상작 ‘AI 여서’는 문자 교육에서 배제된 여성들이 만든 여서를 기반으로, 컴퓨터 언어학과 인공지능을 결합해 관람객이 직접 체험하는 설치 작품으로 구현했다. 작품 속 인공지능은 전근대 중국 여성들의 소통 방식을 학습해 새로운 언어를 생성한다는 설정 아래, 가부장적 질서를 넘어서는 시도이자 서구 중심 언어관을 확장하는 접근으로 평가됐다. 또한 ‘언어는 인간만 만든다’는 통념을 넘어 기계가 새로운 언어를 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예술적으로 제시했다.

 

영국왕립예술학교 위 치엔 순 박사는 “삶과 연구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번 수상을 통해 큰 보람과 감회를 느낀다”고 말했다. 이창희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는 “역사·인문·예술·기술이 만난 사색적 예술이 국제 무대에서 인정받아 뜻깊다”고 밝혔다.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