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가 난치성 뇌전증 치료를 위한 RNA 신약 후보를 개발하고, 7500억 원 규모의 글로벌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KAIST는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의 교원 창업기업인 소바젠이 난치성 뇌전증 치료용 RNA 신약 후보를 발굴해 해외 제약사에 기술 수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계약 규모는 총 7500억 원으로, KAIST의 기초 의과학 연구에서 출발한 혁신 기술이 글로벌 신약 개발 단계로 확장된 사례로 평가된다.
이정호 교수 연구팀은 난치성 뇌전증과 악성 뇌종양 등 치명적 뇌 질환의 원인이 ‘뇌 줄기세포에서 생긴 후천적 돌연변이(뇌 체성 돌연변이, Brain Somatic Mutation)’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2015년과 2018년 각각 네이처(Nature)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에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이 교수는 신약 개발 전문가인 박철원 대표와 함께 돌연변이 유전자인 MTOR를 직접 겨냥할 수 있는 RNA 신약(ASO, Antisense Oligonucleotide)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해당 후보물질의 상업화 가능성까지 입증하며, 한국 기초 연구 기반의 신약 개발 역량을 세계 시장에 알렸다.
이 교수는 “국내 의과대학은 환자 진료 중심의 문화지만, KAIST는 연구 중심 구조를 통해 혁신적 기초 연구와 신약 기술 수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었다”며 “이번 사례는 KAIST 의과학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성과”라고 말했다.

소바젠의 박상민 수석연구원은 “질병 원인 규명부터 신약 개발, 글로벌 기술 수출까지 모두 국내 연구진의 역량으로 이뤄낸 결과”라며 “대한민국 과학의 힘을 입증한 성과”라고 말했다. 박철원 대표는 “KAIST와 의과학대학원의 적극적인 지원 덕분에 기술이전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기술이전이 기존 치료법이 없던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국내 의과학과 바이오벤처가 글로벌 신약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고 평가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이번 성과는 KAIST가 추구해 온 ‘기초에서 산업으로’라는 연구 철학이 의과학 분야에서도 실현된 사례”라며 “앞으로도 도전적 기초 연구를 통해 인류 건강과 미래 바이오산업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