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i-DEA-한전KDN-에너지공대, 탄소중립·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맞손'

URL복사

 

DX·AX 기반 ESG 솔루션 공동 개발…클라우드·데이터 스페이스·인재양성까지 포괄 협력

 

(사)디지털ESG얼라이언스가 한전KDN,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와 손잡고 탄소중립 실현과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공동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이번 MOU는 디지털 전환(DX), AI 전환(AX)을 기반으로 한 ESG 기술개발과 글로벌 확산을 목표로 하며, 산업계 전반의 지속가능경영과 국가적 탄소감축 전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디지털ESG얼라이언스(회장 최갑홍, 이하 i-DEA)는 17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에서 한전KDN, KENTECH과 ‘탄소중립 및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세 기관은 ▲DX/AX 기반 탄소중립 및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디지털 솔루션(CBAM·RE100·탄소감축 등) 개발과 확산 ▲디지털 ESG 기술 개발 및 글로벌 표준화에 적극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구체적으로는 △공동 국가사업 및 연구과제 발굴·기획·추진 △한전KDN 클라우드(K-ECP) 기반 기업 탄소관리 솔루션 서비스와 IaaS 제공 △KENTECH 내 DX-AX-GX 연구·실증 허브 구축 △데이터 스페이스 기반 산업 데이터망 구축 △지자체·산업계·학계·연구기관과의 공동 사업 추진 △교육·연수 프로그램 공동 개발 및 인재 양성 등 다각적 협력 방안을 담고 있다.

 

i-DEA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산업계·학계·공기업이 결집한 디지털 ESG 오픈 생태계를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한전KDN은 전력 ICT 역량을 활용해 탄소관리 및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KENTECH은 연구·교육 기반을 바탕으로 ESG 전문 인력 양성과 실증 프로젝트 추진에 나선다.

 

i-DEA 최갑홍 회장은 “이번 MOU는 디지털과 AI를 ESG에 접목해 탄소중립을 앞당기고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의미 있는 출발점”이라며 “산업 현장과 공공 영역을 아우르는 디지털 ESG 플랫폼 생태계를 적극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협약은 국내 ESG 전환 정책과 글로벌 공급망 규제 강화 추세 속에서 민·관·학 협력의 구체적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세 기관은 향후 실질적인 기술 상용화와 표준화 성과 창출을 통해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