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위로보틱스, 느끼고 반응하는 범용 휴머노이드 ‘알렉스’ 첫 공개

URL복사

 

알렉스(ALLEX), 힘·접촉에 반응한다...초저마찰 액추추에이터, 고자유도 로봇 핸드 탑재

제조·서비스·가사 등 분야서 새 기준 제시 기대

 

위로보틱스가 사람처럼 반응하는 정밀 조작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알렉스(ALLEX)’의 상반신 데뷔를 알렸다.

 

‘모든 경험(ALL-EXperience)’을 슬로건이자 브랜드 콘셉트로 한 알렉스는 시각 인식, 위치 제어, 물리 자극 반응 등을 구현하는 차세대 휴머노이드다. 특히 힘·접촉·충격 등에 반응하며 실제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사측은 사람처럼 역감을 느끼고 외력에 순응하는 독자적인 메커니즘과 제어 기술을 해당 로봇의 가장 큰 차별점으로 강조했다.

 

알렉스는 15자유도(Degree of Freedom, DOF)를 갖춘 고자유도 순응형 로봇 핸드를 탑재해 정교한 동작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핸드는 촉각 센서 없이도 100그램-힘(gram-force)의 미세한 힘을 감지·반응하며, 높은 수준의 파지력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기존 협동 로봇 팔 대비 10배 이상 낮은 마찰력과 회전 관성을 지닌 초저마찰 고하중 액에이터를 적용했다. 여기에 정밀 위치 제어와 힘 제어를 하나로 통합한 모터 제어 기술이 적용돼, 사람 수준의 적응력을 보여준다. 2DOF 기반 중력 보상 허리를 포함한 전신 설계도 이 모델의 주목 포인트다. 이는 안전하면서도 고하중,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 알렉스는 손 부위가 약 700g, 어깨 이하 전체가 약 5kg의 경량 구조로 설계됐다. 이를 통해 민첩하고 안전한 동작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받는다. 아울러 전 가동 범위에서 한 손으로 3kg 이상의 무게를 다루는 성능도 내재화됐다.

 

 

무엇보다도 팔·손가락·허리 등에 걸쳐 힘 센서 없이도 역감에 의해 반응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알렉스의 핵심 기술력이다. 이는 작업자와의 안전하고 역동적인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을 지원한다. 위로보틱스는 이번 알렉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실증 연구를 진행하며 범용 휴머노이드 플랫폼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더불어 로봇과 인공지능(AI) 융합을 위한 개방형 협업 생태계 조성도 추진 중이다. 현재 피지컬 AI(Physical AI) 기술 업체 리얼월드(Realworld)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알렉스의 핵심 지능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매사추세츠 대학교(UMass),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UIUC), 스위스 맥슨 그룹(Maxon Group) 등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 및 업체와의 협력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김용재 위로보틱스 공동대표는 “알렉스는 인간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모사하며, 실제 세계를 경험·반응하는 첫 번째 로봇”이라며 “오는 2030년까지 누구나 일상에서 활용 가능한 범용 휴머노이드 플랫폼을 구현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비전을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