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글로비스가 자율비행 드론을 활용한 첨단 재고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며 스마트 물류 운영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올해 상반기부터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통합물류센터(CC)에 드론 2대를 투입, 자동차 반조립부품(KD)의 재고조사에 본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재고조사에 소요되던 시간이 기존 평균 300분에서 30분으로 약 90% 이상 단축됐다. 특히 사람의 시야로는 확인이 어려운 지상 3.5m 이상 또는 사각지대의 물품까지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인력의 피로도는 낮추고 업무 정확도와 효율성은 대폭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드론의 비행은 CC의 통합관리 시스템인 ‘GCS(Global Consolidation Center Support System)’와 연동돼 자동화된다. 재고조사 명령을 받은 드론은 이륙 후 물품이 보관된 ‘빈(Bin)’ 단위를 따라 이동하며 촬영을 진행하고, 임무 완료 후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복귀해 데이터를 분석·전송한다. ‘빈’은 랙(Rack)의 한 칸 단위로 재고의 최소 위치 단위를 의미한다.
이 드론은 GPS 없이도 실내에서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비전 기반의 자율항법기술(VIO)과 관성측정장치(IMU)를 장착하고 있다. 여기에 어안(Fisheye) 카메라와 스테레오 카메라, 거리센서, 가속도·각속도 센서 등의 장비가 조합돼 물품의 위치, 높낮이, 이동 패턴 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한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드론이 실내 물류센터 환경에서도 정확히 비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센서 기술을 조합했다”며 “어안 카메라로 특징점을 추출하고 센서를 통해 물품의 좌표와 높이를 정밀하게 파악하는 방식으로 재고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설명했다.
또 드론의 배터리 충전 상태 및 수명은 실시간으로 측정되며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자동으로 충전 및 교체가 이뤄지는 완전 자동화 체계를 갖췄다.
현대글로비스는 HMGMA 내 드론 수를 추가 확대할 계획이며 현재 운영 중인 국내외 물류센터에도 드론 기반 재고관리 시스템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물류산업이 빠르게 디지털화되고 있는 만큼 자율주행 드론과 같은 스마트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미래 물류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