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프라이즈 푸드테크 기업 마켓보로(대표 임사성)가 운영하는 외식 사업자용 식자재 오픈마켓 '식봄'이 안정적인 전국 단위 직배송 물류 시스템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누적 회원 수 20만 명을 돌파했다.
식봄의 가파른 성장은 단순한 상품 중개를 넘어선 차별화된 '직배송 물류 경쟁력'이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된다. 식봄은 로켓배송을 넘어 식당 냉장고에까지 넣어주는 수준의 안정적이고 촘촘한 직배송 체계와 전국 단위 물류망을 구축, 외식 사업자들에게 높은 신뢰를 얻고 있다. 이러한 고도화된 물류 시스템은 특히 경기 불황, 식자재 가격 상승, 기존 배달 플랫폼 수수료 부담 등으로 비용 절감과 안정적인 식자재 공급처 확보에 고심하는 외식업자들에게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했다.
지난해 12월 16만 명이던 식봄의 누적 회원 수는 매달 1만 명에 가까운 신규 회원이 꾸준히 유입되며 불과 4개월여 만에 20만 명을 넘어섰다. 식봄 측은 "다양한 상품 구비가 회원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우수한 식자재 유통사의 입점 확대로 연결되어 더욱 강력한 상품 및 배송 경쟁력을 갖추게 되는 선순환 구조가 최근 회원 급증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달 기준 식봄에 입점한 식자재 유통사는 총 3,616곳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했고, 판매 상품 수 역시 약 17만 개로 32% 늘어나면서 전국 외식업소의 다양한 식자재 배송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식봄의 물류 네트워크 확장세는 지역별 신규 가입자 증가 추이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지난해부터 부산, 대구, 광주 등 지방 광역시를 중심으로 신규 가입자 수가 가파르게 증가했으며 최근에는 전북과 충청권 등 전국으로 그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어 식봄의 전국 직배송 물류망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켓보로 임사성 대표는 "약 17만 개에 달하는 다양한 식자재에 대한 가격 비교 기능, 매력적인 구매 혜택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안정적인 직배송 물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네이버나 쿠팡 등 일반 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던 많은 고객들이 빠르게 식봄으로 옮겨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는 채소, 축산, 수산 등 신선식품 전문관 운영을 강화하여 기존에 식자재 마트에서 직접 장을 보던 고객들도 식봄의 편리하고 저렴한 직배송 시스템을 통해 최상의 신선도를 갖춘 식자재를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물류 및 배송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할 것"이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한편, 엔터프라이즈 푸드테크 기업 마켓보로는 식자재 생산부터 최종 소비자인 식당까지 이어지는 복잡한 유통 과정을 디지털로 전환한 플랫폼 운영 기업이다. 외식 사업자용 식자재 오픈마켓 '식봄'과 B2B 식자재 유통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마켓봄'을 통해 기존 식자재 거래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부정확한 수기 거래, 외상으로 인한 미수금 발생, 오주문 및 오배송 등의 비효율을 정보통신(IT) 기술과 체계적인 물류 시스템으로 혁신하고 있다. 이러한 혁신을 바탕으로 마켓보로는 2025년 3월 기준 누적 거래액 10조 원을 달성했으며 국내 1위 식자재 유통기업 CJ프레시웨이로부터 2022년 403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