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장의 미래먹거리로 ‘AI 에이전트’가 떠오르고 있다. AI 에이전트는 인공지능의 복잡한 기술적 배경을 몰라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일반인부터 전문가까지 다양한 사용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일반인은 간편하게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전문가는 반복적이고 소모적인 업무에서 벗어나 한층 고차원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AI 에이전트는 기업과 개인 모두의 생산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으며 AI 시장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인포메이션의 조사에 따르면 2023년에 41억 달러로 추정되는 전 세계 자율 에이전트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해 2023-2030년에는 47.3%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할 전망이며, 2030년 618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AI 네이티브를 향해 움직이고 있는 기업들의 AI 에이전트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마이크로소프트(MS)는 자율 에이전트를 통해 이용자의 업무 지원에 나선다. MS는 사용자들이 직접 인공지능 비서를 구축할 수 있는 ‘코파일럿 스튜디오’에 자율 에이전트를 구축할 수
S2W가 22일 ‘S2W 파트너스데이’를 삼성동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개최했다. 첫회로 개최되는 이번 파트너스데이에서는 30여개 우수 총판, 파트너 임원진을 대상으로 S2W 보안 솔루션의 우수 사례를 공유했다. S2W는 국내 보안 솔루션 수요 기업 및 기관 고객에게 솔루션 공급의 효율적인 진행과 S2W와 총판 간의 파트너십 강화 목적으로 이번 파트너스데이를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파트너스데이에서는 ▲2024년 사업 전략과 비전 ▲파트너 정책 ▲주요 제품 ▲S2W 제품 도입 우수 사례 등이 소개됐다. 또한 S2W와 총판이 동반성장하기 위한 전략과 실행방안을 소개했으며 ‘S2W 제품 도입 우수 사례 소개’ 세션에서는 두 곳의 우수 총판에서 직접 S2W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공급한 사례를 전해 참가한 파트너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S2W는 ▲통합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 플랫폼 ‘QUAXAR(퀘이사)’ ▲취약한 기업 자산 관리 솔루션 ‘ASM(Attack Surface Management, 공격표면관리) 플러스’ ▲AI 기반 사이버 범죄 인텔리전스 플랫폼 ‘XARVIS(자비스)’ ▲기업 맞춤 생성형 AI 플랫폼 ‘SAIP(에스에이아이피)’ 등 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