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리서치가 발간한 ‘2025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산업 및 기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마이크로-LED TV 생산 능력은 2023년 연간 5만 대 수준에서 2030년 약 600만 대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체 마이크로-LED 시장 규모는 약 13억 달러(13억 42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로-LED는 OLED보다 밝기, 수명, 내구성이 뛰어난 자발광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로, 번인 우려가 없고 색재현력과 시인성이 우수하다. 대형 디스플레이부터 초소형 AR·VR 기기까지 적용 범위가 넓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유비리서치는 생산 효율 개선과 제조 원가 절감이 맞물리면서 2027년 이후 본격 상용화가 시작되고, 2028년부터는 연평균 50% 이상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 확대 요인으로는 ▲프리미엄 TV 수요 증가 ▲생산 인프라 확충 ▲응용 분야 다변화 ▲가격 경쟁력 강화를 꼽았다. 유비리서치 김주한 애널리스트는 “마이크로-LED 확산의 핵심은 epi wafer 안정 공급”이라며 “2026년 이후 MOCVD 발주가 확대되고, 2030년까지 wafer 생산량이 현재의 10배 수준으로 늘어날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주도하는 Micro-LED 주목 CES 2025는 'Connect, Solve, Discover : Dive in'이라는 주제로 적극적으로 변화와 혁신의 장에 뛰어들고 있는 글로벌 플레이어들의 현황과 미래 방향을 살필 수 있는 현장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번 CES는 AI 중심의 다양한 융합 기술, 미래 모빌리티 분야, 디지털 헬스 등 다방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는 자리로, 세부적으로는 Micro-LED 디스플레이 기반의 진전된 디바이스도 예측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24년부터 글로벌 OEM들이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반의 제품들을 출시하기 시작하면서 2025년은 본격적으로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시장이 성장하는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특히 Micro-LED 기술은 높은 밝기, 에너지 효율성, 내구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첨단 제품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 특히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올해 주요 화두 중 하나인 모빌리티 기술의 발전에서 디스플레이 기술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다양한 혁신의 중심에 자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증강현실(AR)과 혼
내년 상반기에 ASIC 반도체 샘플을 공급하고, 하반기부터 양산 착수 목표 삼아 사피엔반도체는 글로벌 마이크로발광다이오드(Micro-LED) 디스플레이 엔진 제조 기업과 약 44억 원 규모의 상보형금속산화반도체(CMOS) 백플레인 개발 계약을 지난 21일 체결했다. 사피엔반도체는 Micro-LED 픽셀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IC를 설계하는 팹리스 기업으로, 약 150개의 글로벌 특허를 보유했으며 지난 2월 코스닥 상장을 마쳤다. 상보형금속산화반도체 백플레인은 AI 스마트 글라스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등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엔진에 특화한 솔루션으로 초소형, 초저전력일수록 선호된다. 사피엔반도체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12인치 웨이퍼 한 장에 약 4000개 이상의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만들 뿐 아니라 3㎛ 이하의 화소 크기를 구현한다. 사피엔반도체는 이번 수주를 통해 내년 상반기에 ASIC 반도체 샘플을 공급하고, 하반기부터 양산 착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개발된 제품은 국내는 물론 중화권, 북미의 세트 업체에 공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이번 수주를 시작으로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 고객으로부터 추가 수주로 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