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퍼스키가 자사 보안 솔루션 개발 프로세스로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표준 ISO 26262 인증을 확보했다. 복잡한 전자제어 시스템이 확대되는 자동차 산업에서는 기능 안전 요건 충족이 제품 경쟁력을 좌우하는 만큼 이번 인증은 제조사와 보안 기업 간 협업 범위 확대에 의미가 있다. 기능 안전 표준은 전기·전자 시스템의 잠재적 오류 위험을 체계적으로 낮추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뿐 아니라 운송·산업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도 적용이 확산되는 추세다. 카스퍼스키는 ISO 26262 ASIL-B 등급 인증을 획득하며 자동차 기능 안전 요구사항을 갖춘 보안 소프트웨어 공급 역량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ISO 26262는 도로 차량의 기능 안전 확보를 목적으로 제정된 국제 표준으로, 개발 단계에서 위험 분석과 오류 대비 프로세스를 포함해 전기·전자 시스템 전반의 안전성을 요구한다. 이번 인증은 카스퍼스키의 개발 프로세스가 글로벌 기준에 부합함을 입증한 것으로 Kaspersky Automotive Secure Gateway를 포함한 자동차 적용 솔루션과 운송 및 산업 분야 애플리케이션 개발 참여 기회를 넓혔다. 회사는 인증을 기반으로 ASIL-B 요건을 충족하는 소프트웨어 제
카스퍼스키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포함한 글로벌 사이버 보안 전문가 대상 조사 결과를 담은 ‘사이버 범죄 대응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개최된 GITEX Asia 2025에서 공개됐으며, 아태지역 응답자의 71%는 ‘사이버 면역(Cyber Immunity)’을 사이버 범죄 대응 전략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사이버 면역은 보안 설계를 기반으로 시스템이 해킹에 취약하지 않도록 만드는 방식으로, 기존 보안 솔루션의 한계를 보완하는 접근이다.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응답자의 85%는 사이버 면역이라는 용어를 인지하고 있었고, 이 중 73%는 해당 개념이 사이버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전략이라고 답했다. 아태지역의 인지도도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태지역 전문가 가운데 28%는 사이버 공격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다고 평가했고, 36%는 피해 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봤다. 35%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카스퍼스키는 사이버 면역을 단순한 이론이 아닌 설계 기반 접근으로 정의하고 특정 아키텍처 요건을 충족하는 방식으로 보안 내재화 시스템을 구현하는 전략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