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영진 중 74%, 지속가능성이 비즈니스 성과 향상시킨다는 데 동의해 대부분의 국내 기업이 지속가능성을 비즈니스 전략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반면, 지속가능성 투자를 위한 예산을 마련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IBM 기업가치연구소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최고 경영진을 대상으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글로벌 조사 연구를 진행하고 ‘내재화한 지속가능성으로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Beyond checking the box – how to create business value with embedded sustainability)’이란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조사에 참여한 국내 경영진 중 74%는 지속가능성이 비즈니스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데 동의했으며, 지속가능성이 비즈니스 전략의 핵심이라는 데 동의했다. 그러나, 거의 절반(48%)에 가까운 경영진이 지속가능성 투자를 위한 예산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66%은 재무적 성과와 지속가능성 성과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답했다. 약 3분의 1(36%)은 지속가능성 전략을 실행하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답했으나 의도한 만큼의 영향력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FO, 디지털 전환 위한 전략 수립 및 실행에서 주요 비즈니스 파트너 역할 IBM 기업가치연구소(IBV)는 최고재무책임자(CFO)가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새로운 글로벌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IBM 기업가치연구소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이번 연구를 위해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총 43개국 28개 산업군에 종사하는 2000여명의 CFO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한국 CFO는 글로벌 평균 대비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보다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의 디지털 전환 관련 의사결정 과정에서 CFO의 역할이 기존의 재무 관련 위주에서 비즈니스 혁신을 주도하고 영향력을 발휘하는 인플루언서 역할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최근 CFO는 데이터,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과 같은 첨단 기술 도입을 통해 효율적인 재무 프로세스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 세계적으로 CFO는 업무 시간의 절반 이상(57%)을 여전히 예산 관리와 자금 조달 등 전통적인 재무팀의 업무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응답자 10명 중 4명 이상은 디지털화를 수용하는 기업 문화 육성을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