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이 26일 정기 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통해 최원혁 신임 대표이사를 선임했다고 발표했다. 물류업계에서 40년 이상의 풍부한 경력을 가진 최원혁 신임 대표이사는 CJ대한통운과 LX판토스 등 주요 물류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HMM의 새로운 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최 신임 대표이사는 특히 LX판토스에서 8년간 CEO를 역임하며 글로벌 물류 시장에서의 전문성과 탁월한 경영 능력을 인정받아 왔다. 그의 선임은 HMM이 글로벌 물류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최원혁 대표이사 외에도 이정엽 컨테이너사업부문 전무가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되었으며 서근우 사외이사가 재선임되었다. 이로써 HMM은 새로운 경영진 체제를 완성하며 변화하는 글로벌 물류 환경에 대응할 준비를 마쳤다. HMM 관계자는 "최원혁 대표이사의 선임은 HMM이 글로벌 물류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결정"이라며 "그의 풍부한 경험과 리더십이 HMM의 미래 성장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HMM(대표이사 김경배)이 국내 최초로 ‘선박용 3D 프린팅 시스템’의 실증을 진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실증은 9,000TEU급 컨테이너선 ‘HMM 그린호’에서 진행되며 선박 운항 중 필요 부품을 3D 프린팅으로 직접 제작하는 기술을 검증한다. 이를 통해 선박 유지보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박용 3D 프린팅 시스템(3D Printing Digital Workshop)은 선박의 다양한 운항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기술로 볼트, 너트부터 플렌지(연결 파이프)까지 350여 종의 중소 부품을 즉시 생산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선박용 3D 프린팅이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한 데 비해 이번 시스템은 금속분말을 사용해 스테인레스 소재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어 내구성을 크게 높였다. HMM은 이번 실증을 통해 실제 운항 환경에서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 여부와 선박 부품 조달 가능성을 면밀히 점검할 계획이다.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부품 조달 기간과 재고량을 개선할 수 있어 선박 운항 중 수시로 진행되는 유지보수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MM은 이번 기술 개발을 위해 지난 2023년 9월 HD현대중공업,
HMM(대표이사 김경배)은 내년 2월부터 대서양과 인도-유럽 구간에서 신규 컨테이너 서비스를 개설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신규 서비스는 대서양을 횡단하는 TA1(Transatlantic 1)과 인도와 북유럽을 연결하는 INX(India North Europe Express) 항로다. TA1 서비스는 HMM이 2018년 서비스 종료 후 7년 만에 재진출하는 대서양 항로다. 이를 통해 HMM은 태평양, 인도양 등 주요 동서항로에서 글로벌 네트워크를 완성하며 고객 요구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TA1 항로는 영국 사우샘프턴에서 시작되며, 46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이 투입되어 왕복 총 70일이 소요된다. 기항지는 사우샘프턴(영국), 르아브르(프랑스), 로테르담(네덜란드), 함부르크(독일), 앤트워프(벨기에), 마이애미(미국), 카르타헤나(콜롬비아), 파나마운하, 로드만(파나마), LA/롱비치(미국), 오클랜드(미국), 로드만(파나마), 파나마운하, 카우세도(도미니카공화국), 사우샘프턴(영국) 순으로 운항된다.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해 INX 서비스도 신규 개설한다. 인도와 북유럽을 연결하는 이 서비스는 기존 FIM(인도-지중해)과 IA
E-순환거버넌스 ‘모두비움, ESG나눔’ 자원순환 프로그램 참여 HMM이 E-순환거버넌스(구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와 폐전자제품 재활용을 통한 자원순환 활동을 함께 전개한다. E-순환거버넌스는 기업·기관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자원순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환경부 인가 비영리 공제조합이다. HMM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E-순환거버넌스의 자원순환 프로그램 ‘모두비움, ESG나눔’에 참여한다. 앞서 폐전자제품 1000여 대를 기증해 본격적인 활동에 신호탄을 쐈다. 앞으로 사무실·사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을 통해 ESG 경영 실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HMM 관계자는 “HMM은 지금까지 스코프(Scope) 1·2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친환경 연료 도입, 운항 기술 고도화 등 활동을 수행했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스코프 3까지 활동 범위를 확대해 2045년까지 넷제로(Net-Zoro)를 달성할 것”이라고 비전을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HMM이 상반기 매출 4조 9933억 원, 영업이익 1조 514억 원, 당기순이익 1조 1458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25% 증가했고 영업이익률은 21.1%로 글로벌 선사 중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 1분기에 이어 호조를 보인 2분기의 경우 매출은 2조 6634억 원, 영업이익 6444억 원, 당기순이익 6608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HMM의 성공적인 성적표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 먼저 홍해 사태의 지속화로 지난해 상반기 평균 976p였던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올해 상반기에는 평균 2319p로 상승한 부분이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전반적인 운임이 다시 코로나 때와 같이 상승함과 동시에 수익성 위주의 영업 전략이 주요했다고 HMM 측은 분석하고 있다. 아울러 지속적인 친환경 선박 및 초대형선 투입을 통한 전반적인 체질 개선도 한 몫을 했다는 평가다. 컨테이너 부문은 미국 경제 회복, 인플레이션 완화,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소비 수요 안정세가 예상되지만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마켓 상황의 급변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비로 HMM은 △중장기 선대계획에 따라 신조선 및 중
철도물류 확대 및 탄소저감 협력…국제복합운송체계 공동구축 HMM(대표이사 김경배)이 한국철도공사(이하 코레일)와 철도수송량 증대와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한 ‘친환경 철도물류 활성화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코레일 측에서 운영 개시 예정인 냉동컨테이너 철도수송 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상호협력하고 신규 개장 예정인 서해선 송산CY(컨테이너 야적장)를 서북부 내륙운송 허브기지로 활성화하는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HMM은 △국내 내륙물류 철도운송을 통한 탄소배출량 감소 △탄소저감을 통한 지속가능한 운송체계 구축 △해운-철도가 결합된 국제복합운송 협력체계 강화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특히, 선박과 철도 간에 화물수송이 바로 연결되는 ‘인터모달(Inter-modal) 원스톱 운송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철도수송 분담률 증대, 저탄소 물류 교통체계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코레일은 △냉동컨테이너 철도수송 인프라 구축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통한 친환경 운송서비스 제공 △송산CY의 컨테이너 기지 활용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정엽 HMM 컨테이너사업부문장은 “코레일과의 협약을 통해 당사가 중점 추진 중인 친환경 운송생
매출액·영업이익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2·33%↑ 영억이익률은 17%선 기록 HMM이 2024년 1분기 성과를 공개했다. 매출액 2조3299억 원, 영업이익 4070억 원, 당기순이익 4851억 원 수준이다. 엉업이익률은 17.5%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33·63% 증가한 수치로, 모든 그래프가 상향곡선을 그렸다. 아울러 15개 주요 항로의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평균 2010p로, 지난해 같은 기간 SCFI인 969p의 두 배를 상회한 결과를 도출했다. HMM은 이번 실적 청신호에 대해 지난해 12월 발생한 홍해 이슈로 인한 운임지수 상승과 수익성 위주의 영업 강화가 주효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국 경제 회복, 중국발 이커머스(e-Commerce) 물량 증가, 중국 인플레이션 완화 등 글로벌 주요 경제지표는 양호할 것으로 전망되나, 홍해 이슈 장기화로 인한 출항 지연 및 운송 기간 증가 등 위험요인에 따른 시장 상황 변화 및 공급망 불안정 가능성은 항상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MM은 올해 1월부터 지난 2021년 발주한 1만30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을 인도받아 연말까지 미주노선
중국 국영 항만 운영사 SIPG와 메탄올·LNG 연료 벙커링 협력 HMM(대표이사 김경배)이 상해국제항만그룹(이하 SIPG)과 ‘상해항 친환경 연료 벙커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달 27일 상해 SIPG 본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오승우 HMM 중국권역장과 후앙 하이동(Huang Haidong) SIPG 마케팅 이사 등 양사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HMM은 향후 상해항에서 메탄올, LNG 등 친환경 선박 연료 공급에 대해 협력할 예정이다. 글로벌 해운업계는 ‘2050 탄소 중립’이라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차세대 친환경 연료 개발 및 도입 등 이해관계자들과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현재 메탄올, LNG 등이 상용화 됐으며 암모니아, 수소 등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HMM 역시 지난해 2월 메탄올을 주연료로 하는 9000TEU급 친환경 컨테이너선 9척을 발주했으며, 올해 말에는 7700TEU급 LNG 추진선 2척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친환경 선박 확보만큼 중요한 것이 친환경 연료 공급망 구축인데, HMM은 상해항 뿐 아니라 부산, 싱가포르 등 주요 항만에서 친환경 연료 공급망을 확보하는 등 지속적
한국선급·HD한국해양조선 등과 공동개발…초대형 컨테이너선 적용 가능 HD현대 해양산업 분야 종합 솔루션 기업인 HD현대마린솔루션은 한국선급으로부터 '메탄올 이중연료 추진 개조 설계'에 대한 기본 인증(AIP)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설계 기술은 HD현대마린솔루션이 최근 한국선급,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이엔티와 공동개발 프로젝트 형식으로 수행했다. HD현대마린솔루션은 국내 최대 컨테이너선사인 HMM이 운항 중인 1만6천TEU급 초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프로젝트에서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과 기본설계 작업을 담당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자체 개발한 '저인화점 메탄올 연료공급시스템' 설계와 엔지니어링을 담당했다. HD현대이엔티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3D모델링과 상세설계를 수행했다. 메탄올은 기존 선박용 연료에 비해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온실가스 등 오염물질 배출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추가 설비 없이 보관·선박 운송이 가능한 친환경 연료로 꼽힌다. 이에 머스크, CMA CGM, HMM과 같은 글로벌 대형선사 중심으로 200여척의 메탄올 추진선 발주 또는 개조가 추진되고 있다. HD현대마린솔루션 관계자는 "친환경 개조 사업이 유망 사업
MAERSK, ONE, HMM 등 주요 해운사의 선적 스케쥴을 ‘쉽다’ 웹사이트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 해운사들과 직접 계약한 해상운임 기반으로 수입 B2B 기업 고객들에게 견적 제공 셀러노트가 운영 중인 디지털 수입물류 포워딩 서비스 ‘쉽다’에서 국내, 해외 주요 해운사의 선적 스케쥴 정보 및 운송료를 자사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게 신규 기능을 업데이트 했다고 24일 밝혔다. ‘쉽다’는 수입기업의 화물을 직접 책임지고 운송하는 “디지털 포워딩” 서비스로 기존 해상, 항공 운송은 물론, 국내외 택배배송까지 가능한 풀필먼트 서비스 등 원스톱 디지털 물류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러노트에 따르면, 현재 약 1만여 개의 수입기업이 ‘쉽다’ 서비스를 도입해 물류를 의뢰하고 있고, 최근 고도화된 서비스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공급망 관리에 수요가 있는 국내 굴지의 대기업 고객들도 서비스 사용을 시작했다. 기존 타 서비스들의 경우, 선적 스케쥴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정작 수입기업이 꼭 알아야 할 “실제 선적 가능한 스케쥴”, “확정 운임”은 제공하지 않거나, 추가적인 절차를 거쳐 확인해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쉽다’에서는 해운사들과 직접 계약 및 연동을 통해 단순 예상
현재 전 세계에서 폭염·폭우·폭설·태풍·홍수·가뭄·한파 등 기후적 요인에 의한 재난 및 재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는 급격한 생태계 변화를 초래했고, 결국 그 영향은 인간에게까지 확산되는 중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전 세계적 이상기후의 배후로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키는 이산화탄소(CO₂)·메탄(Methane, CH₄)가스 등 온실가스를 지목한다. 이에 세계 각국 및 조직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활발한 움직임을 펼치고 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IRENA)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에너지 전환 시나리오(Transforming Energy Senario)’를 발표하며 구체적인 온실가스 배출 개선안을 산업에 제시했다. 이 시나리오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처럼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목소리는 결국 한곳으로 모인다. 온실가스를 줄이는 탈탄소화를 위해 나아가자는 것. 탄소중립 나아가 ‘넷-제로(Net-Zero)’가 인류 생존 위기에 지평을 열어줄 것이라는 기대로부터 시작된 목소리다. 이는 결국 온실가스를 내뿜는 전 세계 산업에 무게추가 달려있는 모양새다. 특히 현재 모
韓 해운·조선업계 손잡고 선박 탄소배출 잡는다 국내 해운·조선업체들이 선박이 배출한 탄소를 포집·저장하는 기술 개발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HMM과 삼성중공업, 파나시아, 한국선급은 '선박용 이산화탄소 포집·액화 저장 기술(OCCS) 통합실증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들 기업은 공동 실무단을 구성해 연내 HMM이 운항하는 2,100TEU급 컨테이너선에 국내 기술로 개발한 OCCS를 직접 탑재한 후 해상 실증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국내 최초로 진행되는 이번 실증에는 하루 24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액화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OCCS가 탑재된다. 삼성중공업과 파나시아가 설계부터 제작, 설치, 시운전을 담당하고 HMM이 실제 운용을 맡는다. 한국선급은 선박의 위험성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실증 기간 컨테이너선의 배기가스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는 육상에서 스마트팜이나 드라이아이스 제조를 위해 공급될 예정이다. 이동연 삼성중공업 조선해양연구소장은 "OCCS 기술은 해운업계 탄소 배출 감축이라는 새로운 가치 창출에 기여할 대표적 친환경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CEO스코어, 349개 기업 대상 조사…21개 업종 중 17개 투자 확대 국내 주요 대기업의 올 상반기 설비 투자액이 9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경기 전망이 불투명함에도 6조원 이상 설비 투자를 늘리며 미래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기업별로는 SK하이닉스가 반도체 공장 증설 등으로 투자액을 가장 많이 늘린 반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투자액을 3조원 이상 줄였다. 21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지난해 기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49곳의 상반기 설비투자 금액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설비 투자액은 총 92조78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85조8천857억원)보다 6조1천928억원(7.2%) 증가했다. 이번 조사대상 21개 업종 중 작년보다 투자를 늘린 업종은 17개에 달했다. 이 중 설비투자를 가장 많이 늘린 업종은 IT 전기·전자 업종이었다. 설비투자 증가액을 비교해보면, 롯데케미칼 LG이노텍,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물산, LG에너지솔루션 순으로 나타났다. IT 전기·전자 업종의 투자액은 지난해 상반기 39조4천253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43조2천492억원으로 3조8천238억원(9.7%↑) 늘었다. 반면 공기업
한국해운협회와 공동주최… 선사 관계자에 준법경영 중요성 전파 포스코플로우가 지난 18일 해운빌딩에서 선사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공급망 ESG 강화를 위한 Compliance 특강’을 진행했다. 이 날 △HMM △KMC 해운 △대한해운 △대호상선 등 14개 선사가 참여했으며, 정연수 포스코플로우 경영기획실장의 개회사에 이어 이준영 포스코플로우 법무섹션 리더의 Compliance 특강과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준법경영과 ESG’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특강에서는 △준법경영과 ESG 개념 △청탁금지법(김영란법) △FCPA △공정거래법상 담합행위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다. 준법경영과 ESG의 개념에서는 준법경영의 정의와 중요성, ESG와의 연관성 등을 다뤘으며, 이어 청탁금지법 상세내용과 FCPA 사례, 등장배경 등이 소개되었다. 마지막으로 담합 관련 부분에서는 담합의 유형, 성립요건, 규제동향 및 제재, 자진신고자 감면정책 등을 다뤘다. 강의 직후에는 질의응답 세션이 이어져 업계와의 소통을 이어나갔다. 특강에 참여한 한 선사 관계자는 “최근 ESG의 중요성이 커지며 준법경영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관련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마땅치 않았는데 포스코플로우에서 특강을
HMM은 상반기 영업이익이 6조857억원을 기록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10일 밝혔다. HMM의 상반기 매출은 9조9527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5조3347억원) 대비 4조6180억원 증가(87%)했다. 영업이익은 6조857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4082억원) 대비 3조6775억원(153%)으로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6조648억원으로 같은 기간(3646억원) 대비 5조7002억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2분기 매출은 5조340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9067억원) 대비 2조1273억원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조9371억원으로 같은 기간(1조3889억원) 대비 1조5482억원으로 증가했다. HMM은 미주·유럽·기타 지역 등 전 노선의 운임이 상승하면서 시황이 크게 개선했으며 △초대형 선박 투입 △항로 합리화 △화물 비용 축소 등 ‘원가 구조 개선’과 ‘운임 상승효과’로 컨테이너 부문과 벌크 부문(Tanker, Dry Bulk) 모두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단, 유가 상승으로 인해 2분기 연료비는 4436억원으로 1분기(3303억원) 대비 1133억원 증가했다. 부채 비율은 2022년 6월 말 기준 46%로, 지난해 12월 기준 73%보다 더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