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 "다수의 로봇 기업과 휴머노이드 부품 개발을 협의 중" LG이노텍이 내년부터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용 핵심 부품 양산에 나선다. 관련 부품은 현재 카메라 모듈을 비롯해 손과 관절 등 다양한 부위에 활용될 예정이며, 이르면 조만간 글로벌 유력 로봇 기업과의 협력도 공개될 전망이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24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제49기 정기 주주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내년 양산을 목표로 준비 중이며, 조만간 의미 있는 협력 사례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LG이노텍은 현재 다수의 로봇 기업과 휴머노이드 부품 개발을 협의 중이며, 초기 양산 수량은 수천 대 수준으로 예상된다. 문 대표는 “2027년에서 2028년 사이에는 연간 수요가 지금보다 10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며 시장 확대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골드만삭스의 조사에 따르면, 휴머노이드 시장은 2035년까지 약 380억 달러(약 51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LG이노텍은 CES 2025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기조연설에 소개된 14개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업체 가운데 절반 이상과 접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무대에 함께
배틀독, 글로벌 로봇 콘텐츠 브랜드로 성장시킬 계획 밝혀 긱블이 사족 보행 로봇을 활용한 새로운 로봇 배틀 콘텐츠 ‘배틀독’을 선보이며 로보틱스 기반 엔터테인먼트 시장 개척에 나섰다. 기존 로봇 배틀이 바퀴형 차량 로봇 중심이었다면, 긱블이 새롭게 내놓은 배틀독은 사족 보행 로봇을 활용해 차별화했다. 참가자들이 직접 제작한 사족 로봇끼리 겨루는 이 콘텐츠는 로봇을 직접 보는 대신 로봇 시점(1인칭 시점)에서 조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상대 로봇을 전투 불능 상태로 만들거나 특정 미션을 달성해야 승리하는 구조다. 배틀독은 단순 로봇 싸움을 넘어 첨단 기술 간 융합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참가자들은 카본 소재 부품을 직접 3D프린터로 제작하고, 불꽃 방사나 물 분사 등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공격 방식까지 구현했다. 실제로 최근 진행된 첫 대결에서는 전국적으로 인지도를 얻은 크리에이터들이 참가해 높은 관심을 모았다. 긱블은 최근 CES 2025에서도 큰 관심을 받은 로보틱스 트렌드를 이 콘텐츠에 반영했다. 올해 CES는 휴머노이드 로봇과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로봇 기술이 주목받았다. 긱블은 글로벌 로봇 산업의 흐름을 이해하기 쉽고 대중 친화적인 콘텐
수면 분석 AI 기업 에이슬립과 헬스케어 가전 전문기업 세라젬이 CES 2025에서 슬립테크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며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척추 의료기기, 홈 메디케어 베드 등 다양한 홈 헬스케어 가전에 수면 분석 기술을 결합하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에이슬립은 착용이 필요 없는 비접촉식 수면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병원 수면검사의 94%에 달하는 정확도를 제공하며 이번 CES 2025에서 디지털 건강과 인공지능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 세라젬은 척추 의료기기와 건강한 매트리스 플랫폼으로 CES에서 3개의 혁신상을 수상하며 건강한 집(Home Wellness)을 선보였다. 양사는 각자의 강점을 결합해 개인 맞춤형 숙면 기능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슬립테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에이슬립의 기술은 수면 중 숨소리를 분석해 사용자의 수면 단계를 파악하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척추 의료기기나 홈 메디케어 베드를 사용하는 동안 수면 패턴을 인식하고 온도와 조도 등을 조절해 최적의 숙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면 장애 없는 편안한 수면을 경험하도록 돕는 제품과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