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인포테인먼트 발달 따른 정보과잉속 가치 부각" 차량 전면 유리에 주행 정보를 보여주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HUD) 기술이 완전 자율주행 시대 이전까지 지속해서 발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16일 발표한 산업동향 보고서에서 "HUD는 운전자와 탑승자 구분이 사라지는 완전 자율주행 시대가 도래하기 전까지는 운전자 지원을 위한 독립적인 장치로서 여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병행해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HUD는 전면 유리에 텍스트나 이미지를 투사해 주행 관련 정보를 보여주는 편의 장치다. 주로 차량 속도, 차량 상태, 길 안내, 사고 위험 경고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애초 전투기 비행 데이터를 조종사 시야로 집중시키기 위해 개발됐으며, 차량용은 1988년 제너럴모터스(GM)가 상용화했다. 전용 반사 패널에 직접 영상을 투사해 화면 크기가 다소 제한되지만 안정적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고 설치 공간 확보에 유리해 주로 소형차에 탑재되는 '콤바이너'(Combiner) 타입과 오목거울에 의해 확대된 허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부피가 크고 고가여서 대형·고급차에 주로 적용되는 '윈드실드'(Winds
한자연, '車산업에서의 AR 기술 활용 동향' 보고서 발표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최근 자동차 산업에 확장현실(AR) 기술이 도입되는 추세에 대해, 이러한 AR 기술 활용 시도가 지속될 것이라며 관련 산업 성장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최근 자동차 산업에는 AR, VR 등 확장현실 기술의 적용이 본격 진행 중이다. 첫째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경험 개선을 위해 차내 유리에의 확장현실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각종 주행 정보 표시를 위해 차내 디스플레이가 확대 적용되고 있으나 주의 분산, 실수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 등의 한계점이 있어 그 대안으로 차내 유리에 대한 확장현실 적용 사례가 증가한 것이다. 탑승자에게 현실적이고 직관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지도 데이터와의 실시간 연동 및 사물 감지가 가능한 AR Head-up Display(AR HUD)가 출시되고 있다. AR HUD는 전면 유리에 텍스트·이미지를 투사해 주행 관련 정보를 보여주는 편의 장치다. Markets and markets에 따르면, 글로벌 HUD 시장은 2020년 13억달러에서 2025년 46억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둘째로, 미래차 생산‧정비를 효과적으로 지원하